목차
1. introduction , abstract
2. procedure
3. results
4. discussion
5. reference
2. procedure
3. results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ard Curve를 구하기 위해 BSA를 이용하여 표준 용액을 만들어 흡광도를 측정하는 경우,
Blank에서의 그 값이 CBB 자체의 흡광성 때문에 0.4정도까지 높아진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서 Blank는 Bradford 시약을 제외한 순수 Buffer의 흡광도만을 측정하여
Curve를 구하게 되었다.
● Bradford 시약을 4℃에서 보관하더라도 그 감도가 떨어져서 표준곡선을 다시 그려야한다.
- Bradford 시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백질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하게 되는데, 따라서
실험이 1시간 이상 길어지게 되거나 시약을 보관했다가 다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Standard
Curve도 다시 구해야하는 상황이 이르게 된다.
우리의 실험에서도 어느 정도의 시간적 간격이 있었으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5. References
(1) 효소 단백질 정제법. 안용근. 양서각. 1994. 63~70쪽
(2) 실험생화학. 한국생화학회. 탐구당. 1986. 230~231쪽, 255~257쪽
(3) Chemistry Principles & Reaction. Masterton & Hurley. Saunders College Pub. 333~337쪽
<끝>
Blank에서의 그 값이 CBB 자체의 흡광성 때문에 0.4정도까지 높아진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서 Blank는 Bradford 시약을 제외한 순수 Buffer의 흡광도만을 측정하여
Curve를 구하게 되었다.
● Bradford 시약을 4℃에서 보관하더라도 그 감도가 떨어져서 표준곡선을 다시 그려야한다.
- Bradford 시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백질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하게 되는데, 따라서
실험이 1시간 이상 길어지게 되거나 시약을 보관했다가 다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Standard
Curve도 다시 구해야하는 상황이 이르게 된다.
우리의 실험에서도 어느 정도의 시간적 간격이 있었으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5. References
(1) 효소 단백질 정제법. 안용근. 양서각. 1994. 63~70쪽
(2) 실험생화학. 한국생화학회. 탐구당. 1986. 230~231쪽, 255~257쪽
(3) Chemistry Principles & Reaction. Masterton & Hurley. Saunders College Pub. 333~337쪽
<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