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심폐소생술>
1. 순환계(Circulatory system)
2. 호흡계(Respiratory system)
3. 심정지와 심폐소생술
4. 기본 인명구조술
5. 기도유지와 호흡 보조법
1. 순환계(Circulatory system)
2. 호흡계(Respiratory system)
3. 심정지와 심폐소생술
4. 기본 인명구조술
5. 기도유지와 호흡 보조법
본문내용
안구에 고농도의 산소가 함유된 혈액이 순환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고농도의 산소가 투여되어도 수정체 후부 섬유증식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5. 산소 공급용 기구
1) 비관 캐놀라(Nasal cannula)
비관은 각 비공에 끼우는 2개의 돌출관으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기구이다. 유량계를 분당 5-8L로 조절하면 흡입 산소 농도는 35-44%로 유지할 수 있다. 비관은 비공으로 건조기체를 바로 공급하는 방법이므로, 장기간 사용할 때 비점막의 과도한 건조를 막기 위하여 산소를 가습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관으로 장기간 산소를 공급해야 할 경우에는 공기 증발형 가습기를 유량계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구강 호흡을 하거나, 코가 막힌 환자에게는 이 방법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없다.
그림 4-31 비관은 35-44%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2) 단순 안면마스크(oxygen mask)
단순 안면 마스크는 입과 코를 동시에 덮어주는 산소공급기구로서 작은 구멍의 배출구와 산소가 유입되는 관 및 얼굴에 고정시키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인에서부터 영아 및 소아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마스크가 있다. 모든 형태의 마스크는 동일한 방법으로 얼굴에 꼭 밀착시켜 사용한다. 마스크의 정점부가 비량을 가로지르도록 하고 기저부는 아랫입술과 턱 사이에 위치시킨다. 분당 6-10L의 유량을 투여하면 흡입 산소 농도를 35-60%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장기간 사용할 떠에는 비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가습기가 필요하다.
그림 4-32. 단순 안면 마스크.
3) 저장낭이 달린 안면 마스크(mask with oxygen reservor)
산소 저장낭이 달린 마스크의 모양은 앞서 설명한 산소 마스크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일방 통행 조절용 밸브를 통해 들어온 산소에 의하여 마스크에 부착된 산소저장낭이 부풀게 되며, 산소 저장소에 있는 높은 농도의 산소가 환자의 흡기시에 공급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흡입 공기내의 산소농도를 60%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산소의 유량은 환자의 흡기 시에 산소 저장낭이 완전히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조절한다.
마스크 천공부에 밸브를 설치하여 호기시 일방통행로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호기한 공기가 재호흡되지 않도록 만들어 놓은 마스크도 있다. 이 변형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산소와 섞여 산소 농도를 희석시키는 것을 막는다. 필요시에는 호기 밸브를 부착하거나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기구도 장기간 사용할 때에는 가습을 하여야 한다.
그림 4-33. 저장낭이 달린 안면마스크
4) 벤트리 마스크(Venturi mask)
벤트리 마스크는 표준 산소 마스크에 연결된 공급 배관을 통해 특정한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는 호흡기구이다. 산소 공급관이 마스크에 연결되는 부위에 공기 유입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유입장치는 공급된 산소의 농도와 단위 시간당 환자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까지도 조절한다. 벤트리 마스크는 흡입산소를 24%, 28%, 40% 또는 53%의 농도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된 농도가 아주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구도 장기간 사용될 때 가습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이 기구의 가장 큰 장점은 흡입산소의 농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만성 폐색성 폐질환 환자에서와 같이 이산화탄소 혼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특정한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 4-34. A.전형적인 벤트리 마스크, B. 벤트리 마스크의 기능을 도식화.(산소가 공급됨에 따라 일정한 양의 실내공기가 매 흡기마다 섞여 들어가면서 일정한 산소 농도를 제공한다.)
6. 흡입기(Suction apparatus)
의식이 없는 환자는 구강 또는 비강에 있는 타액, 분비물, 이물질 등을 스스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물질을 제거하여 주어야한다. 흡입기는 음압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의료기구이다.
휴대용 흡입기는 효과적인 인두부 흡입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진공압과 흡입력을 가져야 한다. 흡입기는 음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와 구강 또는 비강에 넣어서 흡입을 하도록 고안된 흡입관(suction catheter), 발생장치와 흡입 첨두를 연결하는 연결선 및 흡입된 흡입물이 수집되는 수집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관은 흡입 압력에 의하여 꼬이거나 막히지 않는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잇따. 흡입기는 300mm Hg 이상의 음압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의식이 없는 환자를 이송할 때에는 흡입 첨두, 수집병, 세척용수 그리고 흡인관은 환자의 머리쪽에 있는 구조자가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놓아야 한다.
플라스틱으로 된 인두 흡인관은 인두부위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사용된다. 첨두의 구멍은 크고 수축되지 않게 고안되어 있으며, 모양이 굽어져 있으므로 인두 속으로 흡입 첨부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입관을 삽입할 때에는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식이 있거나 반혼수 상태의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흡입기구는 사용한 후 반드시 소독하여야 한다. 흡입을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100%의 산소로 환자를 호흡시켜 흡입기를 사용하는 동안 환자가 저산소증에 빠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①
흡입기의 모든 구성물이 적절히 조합되어 있는지 관찰하고 흡입기를 작동시킨다. 배관을 죄어서 압력계가 300mmHg이상을 가리키는지 살펴본다.
②
인두 흡입관을 흡입기의 연결관에 연결시킨다.
③
교차수지법으로 환자의 입을 벌린다.
④
흡입기의 볼록한 쪽을 입천장을 따라 집어 넣어 인두부까지 삽입시킨다.(4-35).
⑤
흡입첨두가 제 위치에 놓이면 배관의 조임을 풀고 흡입한다.
⑥
한 번에 15초 이상 흡입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흡입에 의해 기도에서 산소가 제거되기 때문이다.
⑦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통해 산소공급을 한 후 다시 흡입을 반복한다.
표 4-8. 백-밸브 마스크 인공호흡시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
그림 4-35.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는 구강 및 인두에 있는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흡입해 주어야 한다.
5. 산소 공급용 기구
1) 비관 캐놀라(Nasal cannula)
비관은 각 비공에 끼우는 2개의 돌출관으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기구이다. 유량계를 분당 5-8L로 조절하면 흡입 산소 농도는 35-44%로 유지할 수 있다. 비관은 비공으로 건조기체를 바로 공급하는 방법이므로, 장기간 사용할 때 비점막의 과도한 건조를 막기 위하여 산소를 가습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관으로 장기간 산소를 공급해야 할 경우에는 공기 증발형 가습기를 유량계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구강 호흡을 하거나, 코가 막힌 환자에게는 이 방법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없다.
그림 4-31 비관은 35-44%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2) 단순 안면마스크(oxygen mask)
단순 안면 마스크는 입과 코를 동시에 덮어주는 산소공급기구로서 작은 구멍의 배출구와 산소가 유입되는 관 및 얼굴에 고정시키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인에서부터 영아 및 소아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마스크가 있다. 모든 형태의 마스크는 동일한 방법으로 얼굴에 꼭 밀착시켜 사용한다. 마스크의 정점부가 비량을 가로지르도록 하고 기저부는 아랫입술과 턱 사이에 위치시킨다. 분당 6-10L의 유량을 투여하면 흡입 산소 농도를 35-60%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장기간 사용할 떠에는 비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가습기가 필요하다.
그림 4-32. 단순 안면 마스크.
3) 저장낭이 달린 안면 마스크(mask with oxygen reservor)
산소 저장낭이 달린 마스크의 모양은 앞서 설명한 산소 마스크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일방 통행 조절용 밸브를 통해 들어온 산소에 의하여 마스크에 부착된 산소저장낭이 부풀게 되며, 산소 저장소에 있는 높은 농도의 산소가 환자의 흡기시에 공급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흡입 공기내의 산소농도를 60%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산소의 유량은 환자의 흡기 시에 산소 저장낭이 완전히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조절한다.
마스크 천공부에 밸브를 설치하여 호기시 일방통행로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호기한 공기가 재호흡되지 않도록 만들어 놓은 마스크도 있다. 이 변형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산소와 섞여 산소 농도를 희석시키는 것을 막는다. 필요시에는 호기 밸브를 부착하거나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기구도 장기간 사용할 때에는 가습을 하여야 한다.
그림 4-33. 저장낭이 달린 안면마스크
4) 벤트리 마스크(Venturi mask)
벤트리 마스크는 표준 산소 마스크에 연결된 공급 배관을 통해 특정한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는 호흡기구이다. 산소 공급관이 마스크에 연결되는 부위에 공기 유입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유입장치는 공급된 산소의 농도와 단위 시간당 환자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까지도 조절한다. 벤트리 마스크는 흡입산소를 24%, 28%, 40% 또는 53%의 농도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된 농도가 아주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구도 장기간 사용될 때 가습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이 기구의 가장 큰 장점은 흡입산소의 농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만성 폐색성 폐질환 환자에서와 같이 이산화탄소 혼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특정한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 4-34. A.전형적인 벤트리 마스크, B. 벤트리 마스크의 기능을 도식화.(산소가 공급됨에 따라 일정한 양의 실내공기가 매 흡기마다 섞여 들어가면서 일정한 산소 농도를 제공한다.)
6. 흡입기(Suction apparatus)
의식이 없는 환자는 구강 또는 비강에 있는 타액, 분비물, 이물질 등을 스스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물질을 제거하여 주어야한다. 흡입기는 음압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의료기구이다.
휴대용 흡입기는 효과적인 인두부 흡입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진공압과 흡입력을 가져야 한다. 흡입기는 음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와 구강 또는 비강에 넣어서 흡입을 하도록 고안된 흡입관(suction catheter), 발생장치와 흡입 첨두를 연결하는 연결선 및 흡입된 흡입물이 수집되는 수집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관은 흡입 압력에 의하여 꼬이거나 막히지 않는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잇따. 흡입기는 300mm Hg 이상의 음압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의식이 없는 환자를 이송할 때에는 흡입 첨두, 수집병, 세척용수 그리고 흡인관은 환자의 머리쪽에 있는 구조자가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놓아야 한다.
플라스틱으로 된 인두 흡인관은 인두부위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사용된다. 첨두의 구멍은 크고 수축되지 않게 고안되어 있으며, 모양이 굽어져 있으므로 인두 속으로 흡입 첨부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입관을 삽입할 때에는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식이 있거나 반혼수 상태의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흡입기구는 사용한 후 반드시 소독하여야 한다. 흡입을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100%의 산소로 환자를 호흡시켜 흡입기를 사용하는 동안 환자가 저산소증에 빠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①
흡입기의 모든 구성물이 적절히 조합되어 있는지 관찰하고 흡입기를 작동시킨다. 배관을 죄어서 압력계가 300mmHg이상을 가리키는지 살펴본다.
②
인두 흡입관을 흡입기의 연결관에 연결시킨다.
③
교차수지법으로 환자의 입을 벌린다.
④
흡입기의 볼록한 쪽을 입천장을 따라 집어 넣어 인두부까지 삽입시킨다.(4-35).
⑤
흡입첨두가 제 위치에 놓이면 배관의 조임을 풀고 흡입한다.
⑥
한 번에 15초 이상 흡입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흡입에 의해 기도에서 산소가 제거되기 때문이다.
⑦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통해 산소공급을 한 후 다시 흡입을 반복한다.
표 4-8. 백-밸브 마스크 인공호흡시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
그림 4-35.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는 구강 및 인두에 있는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흡입해 주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