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급에 사용하면 투자를 위해 필요한 자금
현금 20000
고정자산 80,000
투자기회 NPV(I)
0 부채
100,00+NPV(I) 자기자본
총자산 100,000+NPV(I)
100,000+NPV(I) 총자본
< S 산업」의 대차대조표 >
인 20,000원은 신규로 주식을 발행하여 조달할 수 있다. 배당지급으로 인하여 20,000원의 현금자산의 감소가 있었으나 신주발행으로 20,000원이 조달되었기 때문에 총자산가치는 100,000+NPV(I)로 변화가 없다.
이 경우에 배당을 지급받은 기존주주의 부는 어떻게 변하였는가를 구해보자. 신주발행으로 인하여 구주주는 배당지급 후의 총자산가치인 100,000+NPV(I) 중에서 20,000원만큼을 차감한 금액이 자신의 소유이다.
구주주의 주식가치=100,000+NPV(I)-20,000
그러나 구주주는 20,000원 배당을 지급받았기 때문에 그들 소유의 총자산가치는 원래의 기업가치인 100,000+NPV(I)와 동일하게 되어, 배당지급과 무관하게 부의 가치의 변화가 없게 된다.
구주주의 부의 총가치=배당지급후 주식가치+배당지급액
=(100,000+NPV(I)-20,000)+20,000
=100,000+NPV(I)
현금 20000
고정자산 80,000
투자기회 NPV(I)
0 부채
100,00+NPV(I) 자기자본
총자산 100,000+NPV(I)
100,000+NPV(I) 총자본
< S 산업」의 대차대조표 >
인 20,000원은 신규로 주식을 발행하여 조달할 수 있다. 배당지급으로 인하여 20,000원의 현금자산의 감소가 있었으나 신주발행으로 20,000원이 조달되었기 때문에 총자산가치는 100,000+NPV(I)로 변화가 없다.
이 경우에 배당을 지급받은 기존주주의 부는 어떻게 변하였는가를 구해보자. 신주발행으로 인하여 구주주는 배당지급 후의 총자산가치인 100,000+NPV(I) 중에서 20,000원만큼을 차감한 금액이 자신의 소유이다.
구주주의 주식가치=100,000+NPV(I)-20,000
그러나 구주주는 20,000원 배당을 지급받았기 때문에 그들 소유의 총자산가치는 원래의 기업가치인 100,000+NPV(I)와 동일하게 되어, 배당지급과 무관하게 부의 가치의 변화가 없게 된다.
구주주의 부의 총가치=배당지급후 주식가치+배당지급액
=(100,000+NPV(I)-20,000)+20,000
=100,000+NP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