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머릿말
2. 수업․학습의 이론적 기초
1) 수업의 본질
2) 학습의 본질
3.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비교
1) 수업․학습의 개념 비교
2) 수업․학습이론의 비교
4.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차이점
5. 맺음말
※참고자료
1. 머릿말
2. 수업․학습의 이론적 기초
1) 수업의 본질
2) 학습의 본질
3.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비교
1) 수업․학습의 개념 비교
2) 수업․학습이론의 비교
4.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차이점
5. 맺음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줌으로써 향상되며 이는 의사교환에도 효과적이다. 학습효과는 목적적이고 효과적이며 기능적인 학습은 직접적 혹은 대리적 경험을 통해 의미와 이해를 얻게 해준다.
9)감각기관의 활용
수업효과는 여러 감각기관을 동원하여 인상깊게 함으로써 증가된다. 학습경험은 여러 감각기관을 조화롭게 활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고 효과적이다.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이 그 성격상 차이가 크다는 점은 Bruner가 잘 밝혀주고 있다. 그에의하면 수업이론은 처방적이고 규범적인 성격을 띈다는 것이다. 학생이 어떤 지식이나 태도 등을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마련하는데 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처방적이라 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지식이나 태도가 일정한 수준까지 도달하는데 있어 모든 학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수준을 높게 진술한다는 점에서 규범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학습이론은 학습자가 무엇을 어떻게 배워가는가를 단순히 서술하거나 묘사한다는 점에서 기술족이고 간접적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수업이론은 학습이론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고 주장할수도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교수이론을 내놓고 있는 학자들 거의 모두가 심리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학습이론과 완전히 분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Bruner는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성격을 구별하면서도 두 이론은 서로 상반되어서는 안되고 합치점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5.맺음말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절적인 변화를 유도해 나가는 과정이며, 학습과정을 통해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변화,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과정인 것이다. 점점 세분화 되어가는 교육활동의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에 대해 이모저모 알아보았다. 간단히 보자면 수업이론은 교사의 입장에서 어떻게 잘 가르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었고, 학습이론은 학생의 입장에서 어떻게 잘 배울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었는데, 두 활동이 가지는 목적은 하나였다. 그것은 어떻게 잘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느냐의 문제가 같은 현장에서 같은 목적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강정구 : 현대 학습심리학(1996) - 문음사
강낙근 : 교수방법(1997) - 보고사
임규혁 : 교육심리학(1996) - 학지사
REPORT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관계
·과목: 교육심리학
·담당교수: 김혁곤 교수님
·제출일: 04.05.28.
·학과: 농업교육과
·학번: 015084
·이름: 김정현
9)감각기관의 활용
수업효과는 여러 감각기관을 동원하여 인상깊게 함으로써 증가된다. 학습경험은 여러 감각기관을 조화롭게 활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고 효과적이다.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이 그 성격상 차이가 크다는 점은 Bruner가 잘 밝혀주고 있다. 그에의하면 수업이론은 처방적이고 규범적인 성격을 띈다는 것이다. 학생이 어떤 지식이나 태도 등을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마련하는데 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처방적이라 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지식이나 태도가 일정한 수준까지 도달하는데 있어 모든 학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수준을 높게 진술한다는 점에서 규범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학습이론은 학습자가 무엇을 어떻게 배워가는가를 단순히 서술하거나 묘사한다는 점에서 기술족이고 간접적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수업이론은 학습이론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고 주장할수도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교수이론을 내놓고 있는 학자들 거의 모두가 심리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학습이론과 완전히 분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Bruner는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성격을 구별하면서도 두 이론은 서로 상반되어서는 안되고 합치점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5.맺음말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절적인 변화를 유도해 나가는 과정이며, 학습과정을 통해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변화,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과정인 것이다. 점점 세분화 되어가는 교육활동의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에 대해 이모저모 알아보았다. 간단히 보자면 수업이론은 교사의 입장에서 어떻게 잘 가르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었고, 학습이론은 학생의 입장에서 어떻게 잘 배울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었는데, 두 활동이 가지는 목적은 하나였다. 그것은 어떻게 잘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느냐의 문제가 같은 현장에서 같은 목적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강정구 : 현대 학습심리학(1996) - 문음사
강낙근 : 교수방법(1997) - 보고사
임규혁 : 교육심리학(1996) - 학지사
REPORT
<수업이론과 학습이론의>
관계
·과목: 교육심리학
·담당교수: 김혁곤 교수님
·제출일: 04.05.28.
·학과: 농업교육과
·학번: 015084
·이름: 김정현
키워드
추천자료
교수 학습이론
미술 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
교수 학습이론의 유형(스키너,브루너,오스벨,피아제,비고츠키)
2008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E형(기록작업의 교육적의미)
2007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D형(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기록작업의 교육적 의미)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아교육의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D형(레지오에밀리아 프로그램 기록작업)
[교수학습이론과매체]유아교육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하고 좋은 소프트웨...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의 정의와 발달,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의 목적과 중요성, ...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이론
교수방법론 보고서 - 제 학습이론과 교수법,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한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