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에 관련 조사 및 우리가 대응 할 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동북공정이란

2.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노력은 언제부터 시작됐나

3.중국의 역사논리

4.중국이 고구려사 왜곡에 심혈을 기울이는 까닭

5.동북공정에 관한 중국학자들의 논거와 모순

6.우리가 해야 할 일

본문내용

려와 왜의 산동지역설 등 동이족의 역사를 전적으로 무시하는 학계의 풍토에서는 거시적인 역사체계가 나올수 없기 때문이다.
다섯째, 아직도 중국 역사책의 기록은 믿고 중시하면서도 우리 조상들이 기록한 주체적인 역사책은 믿지 않으려는 비주체적인 인식때문이다. 이러한 주체적 역사책은 조성왕조 초기에 우리가 스스로 태웠고, 일제가 역사 왜곡을 위해 의도적으로 수거하여 없애는 등의 훼손 과정에서 그이 없어지고 일부가 필사본으로 남아있다. 우리 겨레 라면 당연히 우리 조상들이 쓴 이 글들이, 그것이 비록 필사본이더라도, 귀중히 여겨 연구를 해야 할 텐데. 그것을 중국인이나 일본인, 미국인이 아닌 우리 스스로 위서운운하며 내팽개치고 있는것이다. 이런 자세로는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연구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리가 대처 해야 할 일
-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동북 공정을 뛰어 넘는 한국사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서는 인적 교체, 학설 변화, 거시담론이 전개 되어야 한다.
먼저, 구시대를 상징하는 제1, 제2세대가 물러나고 제3세대 신진사학자들이 역사학계의 전면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인적교체가 없으면 구체제로의 회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통설이란 이름으로 지배하는 역사학계의 집단논리를 깨는 다양한 학설이 쏟아져 나와 백가 쟁명을 이루어야 한다. 이동설, 신라 정통론을 뛰어넘는 신채의 전·후 삼한 학설, 윤내현의 고조선 거수국 이론, 이형구의 발해문명론 등이 활발하게 논의되는 학설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거시담론은 한국사를 한반도의 틀 속에 가두는 소한국사에서 탈피하여 동아시아 여러 민족과의 관계 속에서 서술하는 대한국사, 즉 동아시아사를 추구해야 한다. 그 기본틀은 중국 중심이 아닌 중국역사의 주축인 한족과 그 보다 더욱 선진적인 문화를 가졌던 동이의 동방문화권, 북방문화권과 화남문화권 등 서로 다른 역사와 문화를 이루어온 다양한 연구가 깊어 질 때 한국사는 동아시아의 범주에서 자체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한 역사이고 나아가, 주변 민족에게 자극을 주고 발전을 추동한 역사로 거듭 태어날 것이다.
참고 자료
- cafe.daum.net/Goguryeoguard (고구려 지킴이)
-
www.coo2.net
(우리역사의 비밀)
- 한배달 기획특집 2004년 3월호(고구려사, 지금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중국사회과학원 변강사지연구중심 홈페이지(
http://www.chinaborderland.com
)
- 좌좌목신창,1988 '다민족국가 중국의 기초구조' <세계사상사>
- 김한규,1992 '고대 동아시아의 민족 관계사에 대한 현대 중국의 사회주의적 이해' <동아연구>24
- 여호규,2003 '중국학계의 대외관계사 연구현황' <한국고대사연구>31
- 송기호,2003 '중국의 한국 고대사 빼앗기 공작' <역사비평> 2003년 겨울호
- 윤휘탁,2003 '현대 중국의 변강 민족의식과 '동북공정'' <역사비평> 2003년 겨울호
- 한국고대사학회 외, 2003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대책 학술발표회 발표 요지문'

키워드

동북,   공정,   동북공정,   중국,   고구려,   발해,   동북3성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30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