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마케팅사례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마케팅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환경

2.STP분석(마케팅 전략)
- 세그멘테이션
- 타겟
- 프로덕트 포지셔닝

3.4p's
- place, price, promotion, product

4. 판매후 고객관리

5. 미샤의 성공근거

본문내용

누적되는 활동 점수이다.
◈ CM이란?
뷰티넷 사이트의 아바타샵에서 아이템을 구입할 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이다.
◈ BM이란?
뷰티넷 쇼핑몰에서 제품 구입 시, 현금을 대신하여 구매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수단을 말한다. (단, BM은 단독으로만 결재할 수 있다.)
② CM 계산
CM 환전 (POINT -> CM)
계산법
POINT * 나의 CM 환율
나의 CM 환율
기본환율 * 출석가중치 * 제품구매가중치 = 0.015
기본환율
0.05
출석가중치
0.3 (전월출석일 : 1)
제품구입액가중치
1.0 (전월구입액 : 0 원)
③ BM 계산
BM 환전 (CM -> BM)
계산법
CM * 나의 BM 환율
나의 BM 환율
기본환율 * 아바타가중치 * 제품구매가중치 = 0.002
기본환율
0.002
아바타구입가중치
1.0 (전월사용CM:0)
(CM:0 + 현금:0 원)
- 현금은 기본환율을 적용하여 CM에 합산
제품구입액가중치
1.0 (전월구입액 : 0 원)
뷰티넷에서는 회원들에게 게시판 서비스를 통한 소비자들이 제품 후기를 제공하여 제품 Feedback을 바로바로 할 수 있게 하였고 회원들이 직접 다양한 커뮤니티를 개설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구성하여 뷰티넷을 통해 많은 정보를 공유하게 하였다. 뷰티넷의 회원들은 뷰티넷 사이트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포인트를 획득하여 이를 제품 구매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포인트제는 사이트 방문 율을 높이고 다른 사이트로의 이탈을 막는 효과를 보고 있다.
3. Off-line System
· Off-line 촉진전략
1) 광고
: 첫 번째 광고는 '믿어지니 3300원' 으로 케이블을 통하여 방송되었다. "화장품을 똑똑하게 사자" 라는 카피와 제품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경쾌한 음악을 사용하여 제품의 저렴함을 강조했다
두 번째 광고는 '쇼윈도우 편'으로 첫 번째 공중파 방송이다. 톱스타 보아를 모델로 기용하여 저렴성으로 인한 제품불신감을 감소시키고 또한 홍콩, 중국, 미국 진출을 위한 장기적인 이점을 꾀했다. 내용면으로는 보아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서브모델을 주인공으로 제작하여 호기심을 유발한 광고이다.
2) 협의의 촉진 <소비자 촉진>
① 매장구성(display)
: 기존의 저렴성을 내세운 화장품들은 조악하고 유치한 색상의 포장을 떠올리게 한다. 또한 기존의 소규모 화장품 점포들은 아무데나 널려있는 박스들, 일관성 없는 진열 등을 떠올리게도 한다. 그러나 미샤는 포장을 간소화 시켜 경제성을 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흰색 플라스틱 용기에 심플한 꽃 모양 로고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장구성에 있어서는 고급스럽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지만 최대한 깔끔하게 구성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호감을 유발하게 한다. 매장 직원들도 유니폼을 착용한다.
미샤의 기초 4종세트 샘플
② Sample
초기에는 '미샤'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브랜드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하여 매장 앞에서 아로마비누나 수첩 등으로 '미샤'라는 이름을 알렸으며, 구입한 고객에게는 사용량이 많은 각종 기초화장품 샘플을 나눠줌으로서 사용해보지 않은 제품의 구매를 유도한다. 또한 일정금액 이상의 구매자들에게는 거울 등의 사은품을 제공해서 계속적인 판매를 유도한다.
3) PR
신문이나 뉴스 등을 통해 '미샤'의 파격적인 저가 화장품 시장을 보도함.
KBS 8시 뉴스 '견미리의 여성파워' 2003. 11.
KBS 경제전망대 2004. 01. 11
4. 판매 후 고객관리
· 홈페이지에서 소비자들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수렴
· 소비자들이 직접 가격결정 한 만큼 만족도 증가
· 100호점 돌파기념으로 무료콘서트 등의 행사마련
홈페이지를 통한 의견수렴을 통해 신제품 개발
· 신제품 제안: 계속적인 개발
· 홈페이지를 통한 계속적인 이벤트
· 불만족한 고객에게 환불 등의 추후 서비스
-사용후기를 통해 불편한 부분에 대한 의견 수렴
-매장이용 불편신고
5. 미샤의 성공근거
'미샤'는 고가제품만을 선호하는 화장품시장에 틈새시장을 정확히 공략하여 본격적으로 선보인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시장규모가 1천억대로 급성장하였다. 이런 추세라면 조만간 전체 화장품 시장의 10%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국경제 3월 8일자]
매장 개수도 100개를 돌파했으며 그에 따른 이벤트도 마련 중이다.
매출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은 인터넷 판매 50억원, 직영점 및 가맹점을 통해서 벌어들인 100억원 등으로 총 150억원이다. 초창기와 비교하면 정확하게 500% 증가한 것이다.
[화장품값 파괴 주역 '미샤' - 매경이코노미 2004. 3. 24 ]
'미샤'는 기존 중소화장품 업체인 에이블씨엔씨에서 만든 화장품 브랜드로 초창기엔 25억원이던 매출이 2001년엔 40억원, 2002년엔 50억원, 2003년엔 180억원으로 급격히 상승중이다. 이 상태로 계속된다면 2004년엔 800억원에 이를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표 참조).
[3300원을 내건 초저가 화장품 불티 - 여성신문 2004. 2. 11 ]
[VI로 일궈낸 '미샤'의 꿈 - 한국경제 2004. 3. 9]
지금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지만, 저가화장품시장은 아직 성장초기단계에 불과하다. '미샤'를 따라하는 경쟁시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시장의 규모가 확대될 것이다. 저가화장품이 깜짝 신드롬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될 수 있도록 판매 후 고객관리와 고가격의 화장품과 경쟁할 수 있는 정도로의 품질향상 등의 노력이 더욱 중요시된다. 앞으로 '미샤'가 추구하는 방향은, 크게 둘로 나뉘어 지는데 먼저 코스닥등록과 세계시장으로의 진출이다. 그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전 세계 여성이 공감할 수 있는 화장품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계획수립과 노력이 요구된다. 앞으로도 중산층을 위한 저렴한 화장품 '미샤'의 계속적인 성장을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굿데이
한국경제
제일경제
중앙일보
여성신문
매경이코노미
머니투데이
동아일보
헤럴드 경제
주간동아
이코노미스트
네이버사전
광고정보센터 (http://lib.adic.co.kr)
뷰티넷 사이트 (
www.beautynet.co.kr
)

키워드

미샤,   마케팅,   사례,   SWOT,   경영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5.3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6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