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종류와 분포
2. 생태
3. 종묘 생산
4. 양 성
2. 생태
3. 종묘 생산
4. 양 성
본문내용
, 양성장의 오염생물 및 적조생물
※ 식해성 동물 : 불가사리류, 문어, 고등류 및 물새무리
※ 대합류에 기생하는 기생충 : Cercaria pectinata(기생한 어린 개체들은 양성용 종묘로 사용하지 않도록 함)
※ 적조 대책 : 일반양식종의 관리 대책과 마찬가지로 발생 전에 유발요인들을 억제시켜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
다. 수 확
. 개방식 양성인 경우 : 조개틀로써 채취
. 간석지에서 조위망식으로 양성하는 경우 : 손으로 직접 채취
. 육질의 비만
- 계절에 따라 다르나 산란기가 끝나는 10월경에 최저값을 보임
- 1월부터 4월 사이에는 유질이 전 중량의 약 25% 차지
산란기 직전인 6월경에는 최고값을 나타내어 약 30% 이상이 됨
. 수확기
- 가격이 가장 비싼 겨울에 수확
- 개방식 양성인 경우 : 그 이전 수확해서 축양한 다음 공급(겨울에 수확이 곤란함)
. 상품의 질 향상
- 수확한 대합류를 해수중에 수하시켜 9시간 정도 두면 대부분의 모래가 없어짐
- 약 70ℓ들이 채롱에 20㎏정도의 대합을 수용해 두면 하루만에 모래가 거의 없어지고, 큰 용기에 40㎏정도의 대합을 넣고 1분간에 10ℓ의 해수를 유수시켜 주면 6시간 지나면 거의 없어짐
※ 식해성 동물 : 불가사리류, 문어, 고등류 및 물새무리
※ 대합류에 기생하는 기생충 : Cercaria pectinata(기생한 어린 개체들은 양성용 종묘로 사용하지 않도록 함)
※ 적조 대책 : 일반양식종의 관리 대책과 마찬가지로 발생 전에 유발요인들을 억제시켜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
다. 수 확
. 개방식 양성인 경우 : 조개틀로써 채취
. 간석지에서 조위망식으로 양성하는 경우 : 손으로 직접 채취
. 육질의 비만
- 계절에 따라 다르나 산란기가 끝나는 10월경에 최저값을 보임
- 1월부터 4월 사이에는 유질이 전 중량의 약 25% 차지
산란기 직전인 6월경에는 최고값을 나타내어 약 30% 이상이 됨
. 수확기
- 가격이 가장 비싼 겨울에 수확
- 개방식 양성인 경우 : 그 이전 수확해서 축양한 다음 공급(겨울에 수확이 곤란함)
. 상품의 질 향상
- 수확한 대합류를 해수중에 수하시켜 9시간 정도 두면 대부분의 모래가 없어짐
- 약 70ℓ들이 채롱에 20㎏정도의 대합을 수용해 두면 하루만에 모래가 거의 없어지고, 큰 용기에 40㎏정도의 대합을 넣고 1분간에 10ℓ의 해수를 유수시켜 주면 6시간 지나면 거의 없어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