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도 입
■ 공기조화의 정의
■ 환경부의 공기질 기준
■ 노동부의 공기질 기준
■ 보건복지부의 공기질 기준
■ 교육 인적자원부의 공기질 기준
■ 결론
■ 공기조화의 정의
■ 환경부의 공기질 기준
■ 노동부의 공기질 기준
■ 보건복지부의 공기질 기준
■ 교육 인적자원부의 공기질 기준
■ 결론
본문내용
박을 체질하는 장소
0.7
-
-
-
주물모래를 재생하는 장소
0.7
-
-
-
주형을 부수고 모래를 터는 장소
0.7
1.3
1.3
-
그 밖의 분진작업장소
0.7
1.0
1.0
1.2
1)이 표에서 제어풍속이란 국소배기장치의 모든 후드를 개방한 경우의 제어 풍속을 말한다.
2)이 표에서 제어풍속은 후드형식에 대하여 각각 다음에 덩한 위치에서의 풍속을 말한다.
가. 포위식 후드에서는 후드 개구면 에서의 풍속
나. 외부식 후드에서는 당해 후드에 의하여 분진을 빨아들이고자 하는 범위 안에서 당해 후드 개구면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작업 위치에서의 풍속
3)연삭기·드럼센더 등의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에 관련되어 분진작업을 행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한다.
2.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 중 연삭기· 드럼센더 등의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에 관련되어 분진작업을 행하는 장소에 설치된 국소배기장치의 후드의 설치방법에 따른 제어풍속
후드의 설치 방법
제어풍속(미터/초)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 전체를 포위하는 방법
0.5
최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진의 흩날림 방향을 후드의 개구면으로 덮는 방법
5.0
회전체만을 포위하는 방법
5.0
1)이 표에서 제어풍속이란 국소배기장치의 모든 후드를 개방한 경우의 제어풍속을 말한다.
2)이 표에서 제어풍속은 회전체를 정지한 상태에서 후드의 개구면에서의 최소풍속을 말한다.
보건 복지부의 공기질 기준
항 목
보건복지부(공중위생 관리법)
공중 이용 시설
(학원, 공연장, 업무시설, 등)
미세먼지(PM10,㎍/㎥)
150
일산화탄소(CO,ppm)
25
이산화탄소(CO2,ppm)
1000
이산화질소(NO2),ppm
-
포름알데히드(HCHO,㎍/㎥)
-
총부유세균(CFU/㎥)
-
라돈(RN,pCi/ℓ)
-
휘발성유기화합물(VOC,㎍/㎥)
-
석면(개/cc)
-
오존(O3,ppm)
-
*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기정화 시설(덕트) 및 설비를 교체 또는 청소하여야 한다.
교육인적자원부의 공기질 기준
항 목
교육인적자원부(학교보건법)
미세먼지(PM10,㎍/㎥)
150
일산화탄소(CO,ppm)
이산화탄소(CO2,ppm)
1000
이산화질소(NO2),ppm
-
포름알데히드(HCHO,㎍/㎥)
-
총부유세균(CFU/㎥)
-
라돈(RN,pCi/ℓ)
-
발성유기화합물(VOC,㎍/㎥)
-
석면(개/cc)
-
오존(O3,ppm)
-
-
-
Conclusion
조사 결과
위와 같이 각 부처별 법령 및 기준을 조사하여본 결과 역시 환경부에서 시행하는 기준이 가장 많았다. 그중에서도 특히 실내 공기질에 관한 기준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실내 공기질 개선 방안
- 환기 : 일반적인 방안이다. 그러나 점점 건물이 초고층화 되고 사생활이 중요시 되면서 이에 대한 기대는 점차 줄고 있다.
-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 최근 대두되는 방안이다. 화학물질을 최대한 줄인 친환경 건축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질을 개선한다.
- 공기조화 : 이번학기에 우리가 배울 공기조화 방법이다. 가장 완벽을 추구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비용이 많이 든다.
0.7
-
-
-
주물모래를 재생하는 장소
0.7
-
-
-
주형을 부수고 모래를 터는 장소
0.7
1.3
1.3
-
그 밖의 분진작업장소
0.7
1.0
1.0
1.2
1)이 표에서 제어풍속이란 국소배기장치의 모든 후드를 개방한 경우의 제어 풍속을 말한다.
2)이 표에서 제어풍속은 후드형식에 대하여 각각 다음에 덩한 위치에서의 풍속을 말한다.
가. 포위식 후드에서는 후드 개구면 에서의 풍속
나. 외부식 후드에서는 당해 후드에 의하여 분진을 빨아들이고자 하는 범위 안에서 당해 후드 개구면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작업 위치에서의 풍속
3)연삭기·드럼센더 등의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에 관련되어 분진작업을 행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한다.
2.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 중 연삭기· 드럼센더 등의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에 관련되어 분진작업을 행하는 장소에 설치된 국소배기장치의 후드의 설치방법에 따른 제어풍속
후드의 설치 방법
제어풍속(미터/초)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 전체를 포위하는 방법
0.5
최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진의 흩날림 방향을 후드의 개구면으로 덮는 방법
5.0
회전체만을 포위하는 방법
5.0
1)이 표에서 제어풍속이란 국소배기장치의 모든 후드를 개방한 경우의 제어풍속을 말한다.
2)이 표에서 제어풍속은 회전체를 정지한 상태에서 후드의 개구면에서의 최소풍속을 말한다.
보건 복지부의 공기질 기준
항 목
보건복지부(공중위생 관리법)
공중 이용 시설
(학원, 공연장, 업무시설, 등)
미세먼지(PM10,㎍/㎥)
150
일산화탄소(CO,ppm)
25
이산화탄소(CO2,ppm)
1000
이산화질소(NO2),ppm
-
포름알데히드(HCHO,㎍/㎥)
-
총부유세균(CFU/㎥)
-
라돈(RN,pCi/ℓ)
-
휘발성유기화합물(VOC,㎍/㎥)
-
석면(개/cc)
-
오존(O3,ppm)
-
*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기정화 시설(덕트) 및 설비를 교체 또는 청소하여야 한다.
교육인적자원부의 공기질 기준
항 목
교육인적자원부(학교보건법)
미세먼지(PM10,㎍/㎥)
150
일산화탄소(CO,ppm)
이산화탄소(CO2,ppm)
1000
이산화질소(NO2),ppm
-
포름알데히드(HCHO,㎍/㎥)
-
총부유세균(CFU/㎥)
-
라돈(RN,pCi/ℓ)
-
발성유기화합물(VOC,㎍/㎥)
-
석면(개/cc)
-
오존(O3,ppm)
-
-
-
Conclusion
조사 결과
위와 같이 각 부처별 법령 및 기준을 조사하여본 결과 역시 환경부에서 시행하는 기준이 가장 많았다. 그중에서도 특히 실내 공기질에 관한 기준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실내 공기질 개선 방안
- 환기 : 일반적인 방안이다. 그러나 점점 건물이 초고층화 되고 사생활이 중요시 되면서 이에 대한 기대는 점차 줄고 있다.
-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 최근 대두되는 방안이다. 화학물질을 최대한 줄인 친환경 건축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질을 개선한다.
- 공기조화 : 이번학기에 우리가 배울 공기조화 방법이다. 가장 완벽을 추구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비용이 많이 든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사회복지 재정의 현황과 과제
[사회복지] 외국의 장애범주와 한국과의 비교 차이점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정책][영유아보육서비스][보육정책]국내외 영유아보육의 동향과 영유...
시각장애(시각장애인, 시각장애아) 정의, 시각장애(시각장애인, 시각장애아) 분류, 시각장애(...
한국 사회복지재정의 현황과 과제
[토양][토양오염][토양오염 해결책]토양의 구성, 토양의 중요성, 토양오염의 유형, 토양오염...
압력 측정 실험을 통한 공기 역학의 기본 이해 실험보고서
국내보육제도와 정책에 관한 뉴스 또는 기사 3개를 스크랩한 후 기사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
김화중의 '장관이 된 간호사'를 읽고(보건정책 결정과정에서의 역할)
[생산관리] 자신이 생각하는 품질을 기준으로 생활에서 좋은 품질이 미치는 영향을 생산자 입...
[인간공학human engineering]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제도 및 재해예방활동 - 안전보건 조직체계...
[만점 받은 과제물][프랑스어발음연습] 프랑스어 발음의 주요 특징을 기술하시오. 또한 자음...
희망리본사업과 취업성공패키지사업
누리과정을 기준으로 유아수학활동교육의 목적, 내용, 이론,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