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전통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부키

2. 다도

3. 꽃꽃이

4. 와카

5. 하이쿠

6. 노

7. 교겐

8. 일본음악

본문내용

狂言)이 귀족과 무사의 연희였던 반면, 가부키는 에도 시대에 서민의 연희로 탄생해 오늘날까지 사백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연희이다. 무대장치를 비롯해 갖가지 의상의 오색찬란한 빛깔에 눈이 부실 정도다. 가부키란 문자 그대로 가(歌),무(舞),기(伎)를 뜻한다.
매우 서정적인 가부키는 물론 예외가 있긴 하지만, 문학이라기보다는 한 배우가 몸짓 목소리 연기를 통해 자신의 폭넓은 기교를 드러내는 데 쓰이는 수단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가부키에서는 배우와 관객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오고 간다. 배우들은 관객에게 말을 걸기 위해 자주 연기를 중단하고, 관객들은 미리 지시된 양식대로 적절한 찬사나 박수 갈채를 보내 응답한다. 또 관객들은 공연 중에 좋아하는 배우의 이름을 소리쳐 부르기도 한다.
가부키의 진행순서에는 사계절을 반영하는 주제와 풍습들이 포함되기도 하고, 동시대에 일어난 사건들에서 따온 소재들이 삽입되기도 한다. 17세기 후반 이래 무대 앞에 홍예(虹霓)를 두어 배우와 관객을 분리시켰던 서구의 연극들과는 달리, 가부키에서는 배우들이 계속해서 관객들 사이로 들어가곤 한다.
가부키의 기원은 16세기 후반 여승이었던 오쿠니(阿國)가 불교도들을 풍자해서 인기를 얻었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녀는 남자로 분장하고 춤추는 여자배우들와, 여자로 분장하고 춤추는 남자배우들을 자기 주변에 끌어 모았다. 오쿠니의 가부키는 평민의 기호에 맞추어 만든 일본 최초의 중요한 연극이었다. 그 뒤 가부키는 천박하고 묘사가 대담하며 관능적이라는 이유로 1629년 정부에 의해서 공연이 금지되었다. 그러자 소년 배우들이 여자옷을 입고 연기했지만(와카슈가부키[若衆歌舞伎]), 이런 형태의 가부키도 곧 금지되었다. 그 뒤 나이든 남자가 역을 맡게 되었고, 이것이 수세기에 걸쳐 오늘날까지 이어져옴으로써 남자만으로 이루어진 가부키의 형식을 이루게 되었다. 원숙한 나이의 남자들이 여자역을 포함한 모든 배역을 맡게 됨으로써 가부키는 더욱 발전하고 연기도 섬세한 맛을 더하게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0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53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