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禮節), 매너(Manner)에 관한 짧은 생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절(禮節), 매너(Manner)에 관한 짧은 생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동, 서양 예절의 원류

2.동, 서양 예절의 사례

3.상황별, 장소별 예절

4.개인적 일화

본문내용

다. 학생 상호간의 만남에서, 선생님과의 만남에서, 각종 교육매체를 통해서 인격을 쌓아가고 민주 시민으로서의 품격을 함양하는 곳으로서의 자리를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선생님에 대한 예절, 상·하급간의 예절, 동급생간의 예절, 학교를 찾아오는 손님에 대한 예절, 각종 의식행사에서의 예절 등을 교육시킴으로써 바람직한 사회인을 양성해야 한다.
또한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므로 인간성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의 대인관계에서 형성됨을 구성원 모두가 인식해야 된다. 사회예절은 직장생활, 사회생활, 국가생활, 국제생활 등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예절을 총칭한다. 말하자면 직장인으로의 정신예절, 자기관리, 대인관계, 근무예절, 사회생활에서의 소개, 안내와 방문, 모임에 대한 예절, 경조에 관한 예절, 공중도덕, 국제생활에서의 의사소통 예절, 사교예절, 식탁예절, 파티예절, 복장예절, 출입국 예절 등을 가르쳐야 전개되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당면하고 있는 일상생활의 행동 면에 있어서의 윤리·도덕적 혼란을 민족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헤쳐나갈 수 있기 위해서는, 우리 조상들의 전통윤리 정신과 지혜가 담겨 있는 예절을 올바르게 계승 실천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이 높아져 가고 있다.
예절은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삶을 정돈함으로써 인격의 통합(統合)을 이룩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예절은 자기수양을 통해 거짓이 없는 진실된 마음으로 서로의 인격을 존중함을 뜻하며, 옛날처럼 사회구조가 단순하고 생활환경의 변화도 매우 완만했던 시대보다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국제 개방화 시대 속에서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다.
일상화되어 자주 입에 오르내리는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의 본질은 모든 나라들의 국민들이 그들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뜻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결로 인해서 상호경쟁도 매우 격심해 짐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격심한 상호경쟁에서이기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일반적인 윤리·도덕수준이 높지 않으면 안 된다. 예절 바르고 근면하면서 정직하고 지성적인 민족은 늘 경쟁에서 앞설 수밖에 없다.
나 역시 이러한 많은 부분들을 잊고 살고 있다. 무엇이든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천하지 못함은 모르는 것만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예절 또한 그 내용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예절을 몰라서 지키지 못하면 용서받을 수 있지만 알면서 지키지 않는 것은 자신에 대해 욕심을 내 온 수많은 것들이 결국엔 부질없는 것이 되어버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겠다.
생활함에 있어 지나치게 자신의 개성을 돋보이려하기보다는 남과의 어울림을 한 번쯤 생각하고 자기방식만을 고집하기보다 모두가 정해놓은 약속에 자신을 끼워 넣을 줄 알며 상대를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공손함이 있어야겠다. 사람을 대할 때에도 부모에게 효도하듯이 다른 어른을 공경하고, 동기간에 우애하듯이 남과 어울리며, 사랑하는 사람을 아끼듯 아랫 사람을 아낀다는 생각으로 사람들을 대해야겠다. 「맹자」에도 있듯이 자기의 부모에게 효도해서 그와 같이 다른 어른을 공경하며, 자기의 자식을 사랑해서 그와 같이 아랫사람을 아끼면 다른 일은 손바닥을 뒤집듯이 수월할 것이다.
참고문헌
사단법인 예지원, 교원예절연수교재, 2000.
한국예절교육학회, 예절교육, 1999.
경기도 예절교육원, 생활 속의 전통예절, 1997.
경기도 예절교육원, 교원예절교육기본과정교재, 1998.
한국전례연구원 김득중, 실천예절개론, 1999.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우리의 전통예절, 1996.
한국전례연구원(대학예절연구회), 국제생활과 예절, 1999.

키워드

예절,   매너,   교양,   예의범절,   인사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6.0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