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드민턴 경기의 역사
2. 배드민턴 경기의 규칙
1) 단식 경기의 규칙
2) 복식 경기의 규칙
3) 배드민턴 경기의 반칙 사항
3. 용어해설
4. 네트와 코트
1) 네트 사이즈
2) 코트 사이즈
5. 배드민턴 전법과 심판법
1) 배드민턴의 전법
2) 배드민턴의 심판법
6. 응용 기술
2. 배드민턴 경기의 규칙
1) 단식 경기의 규칙
2) 복식 경기의 규칙
3) 배드민턴 경기의 반칙 사항
3. 용어해설
4. 네트와 코트
1) 네트 사이즈
2) 코트 사이즈
5. 배드민턴 전법과 심판법
1) 배드민턴의 전법
2) 배드민턴의 심판법
6. 응용 기술
본문내용
를 심판 용지에 기입한다.
6. 응용기술
<그립>
그립(래킷 쥐는 법)에는 이스턴 그립과 웨스턴 그립의 두 종류가 있다. 이스턴 그립은 손목을 잘 활용할 수 있고 리치가 넓으므로, 이스턴 그립이라야 한다.
<서브>
서브는 그 플라이트(flight)에 의해 크게 나누면, 롱 서브·드리븐 서브(driven serve)·숏 서브의 세 종류이며, 싱글즈인 때에는 원칙적으로 롱 하이 서브를, 더블즈인 때에는 숏 로우 서브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포어핸드 롱서비스 요령
체중이 실린 오른발을 뒤쪽으로 왼발은 한 걸음 앞으로 내밀고 네트를 향하여 측면으로 선다. 오른발에서 왼발 쪽으로 몸의 체중을 옮기면서 중심이 이동하는 힘의 반동을 이용하여 셔틀이 높게 멀리가도록 타구한다. 이상적인 롱서비스는 엔드라인의 바로 앞까지 높이 오른 셔틀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서브이다
·백핸드 숏서비스 요령
오른발을 앞으로 왼발을 뒤로 하여 준비한다. 쇼트 서비스 라인과 센터 라인 근처에 위치하고 중심은 오른발에 둔다. 오른발을 가볍게 굽히고 라켓이 몸에서 조금 왼쪽 앞으로 오도록한다.
<푸시>
푸시(push)는 네트 근처에서 작고 강한 스윙으로 셔틀콕을 밀어쳐, 셔틀콕이 상대 코트의 중간으로 밀고 들어가는 형태의 플라이트로 아주 공격적인 기술이다. 푸시는 스매시의 응용 동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스매시와 구별되는 점은 손목의 스냅만 조금 이용하여 셔틀콕을 밀어칠 뿐 어깨 위로 휘둘러 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리시브>
리시브 때는 코트의 거의 중앙에서 자세를 갖추는 것이 원칙이지만, 자신의 약점을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 반구는 상대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운 곳을 목표로 하여 되도록 재빨리 한다. 배드민턴의 기본적인 플라이트는 클리어·드롭·드라이브·스매쉬·헤어핀 다섯 가지로,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셔틀을 강타할 수 있다.
<클리어>
클리어는 되도록 팔을 뻗쳐, 높은 곳에서 셔틀을 때리는 것이 원칙이다. 그 밖에, 신체의 오른쪽·왼쪽·앞에서 때리는 방법도 있다. 상대에 의해 뒤쪽으로 몰리게 되었을 때 불리한 자세를 가다듬기 위해서나, 반대로, 상대를 뒤쪽으로 가게 하여 앝은 반구를 시킬 때 등에 사용한다. 클리어를 칠 때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한다. ① 팔꿈치가 높이 올라가 있는지, ② 어깨에 힘이 지나치게 들어가 있는지, ③ 타점이 지나치게 앞에 있거나 지나치게 뒤에 있는지, ④ 래킷의 면이 바른 방향을 향해 있는지, ⑤ 손목이 잘 활용되고 있는지 등, 클리어는 모든
스트로크의 기본이 된다.
·포어핸드 오버헤드 클리어 요령
오른발을 뒤쪽으로 옮기면서 체중을 오른발에 둔다. 상체는 가볍게 뒤로 젖히고 오른쪽 팔꿈치와 어깨를 뒤쪽으로 당기며 왼쪽어깨는 네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왼손은 셔틀콕의 방향을 가리키고 오른손은 등 뒤로 한다. 타점의 위치는 머리보다 약간 뒤쪽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백핸드 오버헤드 클리어 요령
왼발을 중심으로 하여 라켓을 왼쪽 어깨 쪽으로 당긴다. 팔꿈치는 높이 올리고 라켓은 가볍게 내려 잡는다. 타점은 어깨위가 되어야 하고 팔꿈치를 펴면서 스냅을 이용하여 타구한다. 마무리는 가능한 한 짧게 한다.
<드롭>
드롭은 높은 위치에서 셔틀을 포착, 래킷을 가볍게 되어 네트에 스칠 듯 말 듯한 높이에서 떨어뜨려 네트 가까이에 넣는다. 타구때 셔틀을 문지르듯이 하여 치면, 셔틀은 곡선을 그리며 떨어진다. 하이 클리어의 타법과 같은 요령으로 친다. 드롭은 상대가 뒤쪽에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앞을 공격하는 경우, 상대의 자세를 무너뜨리기 위한 탐색적인 샤틀을 넣을 경우 등에 사용된다. 드롭을 하는 것을 상대에게 간파당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드라이브>
드라이브는 마룻바닥에 평행되게, 네트에 닿을 듯 말듯한 높이에서 보낸다. 되도록 스피드를 붙여 반구한다. 사이드 암 스트로크로 치는 편이 강타하기 쉽다. 주로 더블즈의 공격에 사용되나
싱글즈의 경우에도, 상대가 반구한 셔틀이 뜰 기미를 보이는 때에는 이 스트로크를 사용하여 상대로 하여금 치명적인 폴트를 하게 할 수 있다
<스매쉬>
스매쉬는 하이 클리어나 드롭과 마찬가지로 높은 타점에서 셔틀을 포착, 순간적으로 손목을 활용하여 직선적으로 스피드를 가지게 하여 상대측 코트에 떨어 뜨린다. 스매쉬는 배드민턴 공격에 있어서 최대의 무기이지만, 네트에 걸리거나 아웃이 되기 쉽고, 자신의 체력 소모도 심하다. 스매쉬할 때의 코스에도 신경 쓰지 않으며, 스스로 자신의 무덤을 파게 될는지도 모른다. 스피드 있는 셔틀을 상대에게 보낸 경우, 상대에 의해 반구되는 시간이 짧으므로, 자세가 무너져 있는 때 등에는 반구된 셔틀을 따라 잡을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한다.
<헤어핀>
헤어핀은 되도록 네트 앞의 높은 위치에서 친다. 네트를 넘은 다음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스트레이트로 반구하는 경우와 크로스로 반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방법이든 네트 위에서 굴러 떨어지는 것처럼 되는 것이 최선이다.
·포어핸드 헤어핀의 요령
라켓을 세워 잡고 앞으로 이동하여 오른발과 오른팔을 셔틀 쪽으로 뻗는다. 팔꿈치와 손목의 힘을 빼고 라켓을 셔틀 아래로 밀어넣듯이 가볍게 친다. 다음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완벽한 풋워크가 이루어져아 한다.
·백핸드 헤어핀의 요령
오른발을 왼쪽 즉 셔틀콕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내딛고 몸을 왼쪽으로 돌린다. 오른쪽 팔꿈치를 구부려서 라켓을 몸의 왼쪽으로 당겼다가 뻗는다. 체중이 오른발에 걸리게 라켓을 들어올린다는 기분으로 임팩트한다. 다음 동작의 연결을 위한 정확한 풋워크가 이루어 져야 한다.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은 셔틀콕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서 상대의 사이드 라인 가까이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셔틀콕 콜크의 측면을 비껴치는 샷이다.
목차
1. 배드민턴 경기의 역사
2. 배드민턴 경기의 규칙
1) 단식 경기의 규칙
2) 복식 경기의 규칙
3) 배드민턴 경기의 반칙 사항
3. 용어해설
4. 네트와 코트
1) 네트 사이즈
2) 코트 사이즈
5. 배드민턴 전법과 심판법
1) 배드민턴의 전법
2) 배드민턴의 심판법
6. 응용 기술
6. 응용기술
<그립>
그립(래킷 쥐는 법)에는 이스턴 그립과 웨스턴 그립의 두 종류가 있다. 이스턴 그립은 손목을 잘 활용할 수 있고 리치가 넓으므로, 이스턴 그립이라야 한다.
<서브>
서브는 그 플라이트(flight)에 의해 크게 나누면, 롱 서브·드리븐 서브(driven serve)·숏 서브의 세 종류이며, 싱글즈인 때에는 원칙적으로 롱 하이 서브를, 더블즈인 때에는 숏 로우 서브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포어핸드 롱서비스 요령
체중이 실린 오른발을 뒤쪽으로 왼발은 한 걸음 앞으로 내밀고 네트를 향하여 측면으로 선다. 오른발에서 왼발 쪽으로 몸의 체중을 옮기면서 중심이 이동하는 힘의 반동을 이용하여 셔틀이 높게 멀리가도록 타구한다. 이상적인 롱서비스는 엔드라인의 바로 앞까지 높이 오른 셔틀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서브이다
·백핸드 숏서비스 요령
오른발을 앞으로 왼발을 뒤로 하여 준비한다. 쇼트 서비스 라인과 센터 라인 근처에 위치하고 중심은 오른발에 둔다. 오른발을 가볍게 굽히고 라켓이 몸에서 조금 왼쪽 앞으로 오도록한다.
<푸시>
푸시(push)는 네트 근처에서 작고 강한 스윙으로 셔틀콕을 밀어쳐, 셔틀콕이 상대 코트의 중간으로 밀고 들어가는 형태의 플라이트로 아주 공격적인 기술이다. 푸시는 스매시의 응용 동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스매시와 구별되는 점은 손목의 스냅만 조금 이용하여 셔틀콕을 밀어칠 뿐 어깨 위로 휘둘러 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리시브>
리시브 때는 코트의 거의 중앙에서 자세를 갖추는 것이 원칙이지만, 자신의 약점을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 반구는 상대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운 곳을 목표로 하여 되도록 재빨리 한다. 배드민턴의 기본적인 플라이트는 클리어·드롭·드라이브·스매쉬·헤어핀 다섯 가지로,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셔틀을 강타할 수 있다.
<클리어>
클리어는 되도록 팔을 뻗쳐, 높은 곳에서 셔틀을 때리는 것이 원칙이다. 그 밖에, 신체의 오른쪽·왼쪽·앞에서 때리는 방법도 있다. 상대에 의해 뒤쪽으로 몰리게 되었을 때 불리한 자세를 가다듬기 위해서나, 반대로, 상대를 뒤쪽으로 가게 하여 앝은 반구를 시킬 때 등에 사용한다. 클리어를 칠 때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한다. ① 팔꿈치가 높이 올라가 있는지, ② 어깨에 힘이 지나치게 들어가 있는지, ③ 타점이 지나치게 앞에 있거나 지나치게 뒤에 있는지, ④ 래킷의 면이 바른 방향을 향해 있는지, ⑤ 손목이 잘 활용되고 있는지 등, 클리어는 모든
스트로크의 기본이 된다.
·포어핸드 오버헤드 클리어 요령
오른발을 뒤쪽으로 옮기면서 체중을 오른발에 둔다. 상체는 가볍게 뒤로 젖히고 오른쪽 팔꿈치와 어깨를 뒤쪽으로 당기며 왼쪽어깨는 네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왼손은 셔틀콕의 방향을 가리키고 오른손은 등 뒤로 한다. 타점의 위치는 머리보다 약간 뒤쪽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백핸드 오버헤드 클리어 요령
왼발을 중심으로 하여 라켓을 왼쪽 어깨 쪽으로 당긴다. 팔꿈치는 높이 올리고 라켓은 가볍게 내려 잡는다. 타점은 어깨위가 되어야 하고 팔꿈치를 펴면서 스냅을 이용하여 타구한다. 마무리는 가능한 한 짧게 한다.
<드롭>
드롭은 높은 위치에서 셔틀을 포착, 래킷을 가볍게 되어 네트에 스칠 듯 말 듯한 높이에서 떨어뜨려 네트 가까이에 넣는다. 타구때 셔틀을 문지르듯이 하여 치면, 셔틀은 곡선을 그리며 떨어진다. 하이 클리어의 타법과 같은 요령으로 친다. 드롭은 상대가 뒤쪽에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앞을 공격하는 경우, 상대의 자세를 무너뜨리기 위한 탐색적인 샤틀을 넣을 경우 등에 사용된다. 드롭을 하는 것을 상대에게 간파당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드라이브>
드라이브는 마룻바닥에 평행되게, 네트에 닿을 듯 말듯한 높이에서 보낸다. 되도록 스피드를 붙여 반구한다. 사이드 암 스트로크로 치는 편이 강타하기 쉽다. 주로 더블즈의 공격에 사용되나
싱글즈의 경우에도, 상대가 반구한 셔틀이 뜰 기미를 보이는 때에는 이 스트로크를 사용하여 상대로 하여금 치명적인 폴트를 하게 할 수 있다
<스매쉬>
스매쉬는 하이 클리어나 드롭과 마찬가지로 높은 타점에서 셔틀을 포착, 순간적으로 손목을 활용하여 직선적으로 스피드를 가지게 하여 상대측 코트에 떨어 뜨린다. 스매쉬는 배드민턴 공격에 있어서 최대의 무기이지만, 네트에 걸리거나 아웃이 되기 쉽고, 자신의 체력 소모도 심하다. 스매쉬할 때의 코스에도 신경 쓰지 않으며, 스스로 자신의 무덤을 파게 될는지도 모른다. 스피드 있는 셔틀을 상대에게 보낸 경우, 상대에 의해 반구되는 시간이 짧으므로, 자세가 무너져 있는 때 등에는 반구된 셔틀을 따라 잡을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한다.
<헤어핀>
헤어핀은 되도록 네트 앞의 높은 위치에서 친다. 네트를 넘은 다음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스트레이트로 반구하는 경우와 크로스로 반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방법이든 네트 위에서 굴러 떨어지는 것처럼 되는 것이 최선이다.
·포어핸드 헤어핀의 요령
라켓을 세워 잡고 앞으로 이동하여 오른발과 오른팔을 셔틀 쪽으로 뻗는다. 팔꿈치와 손목의 힘을 빼고 라켓을 셔틀 아래로 밀어넣듯이 가볍게 친다. 다음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완벽한 풋워크가 이루어져아 한다.
·백핸드 헤어핀의 요령
오른발을 왼쪽 즉 셔틀콕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내딛고 몸을 왼쪽으로 돌린다. 오른쪽 팔꿈치를 구부려서 라켓을 몸의 왼쪽으로 당겼다가 뻗는다. 체중이 오른발에 걸리게 라켓을 들어올린다는 기분으로 임팩트한다. 다음 동작의 연결을 위한 정확한 풋워크가 이루어 져야 한다.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은 셔틀콕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서 상대의 사이드 라인 가까이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셔틀콕 콜크의 측면을 비껴치는 샷이다.
목차
1. 배드민턴 경기의 역사
2. 배드민턴 경기의 규칙
1) 단식 경기의 규칙
2) 복식 경기의 규칙
3) 배드민턴 경기의 반칙 사항
3. 용어해설
4. 네트와 코트
1) 네트 사이즈
2) 코트 사이즈
5. 배드민턴 전법과 심판법
1) 배드민턴의 전법
2) 배드민턴의 심판법
6. 응용 기술
키워드
추천자료
탁구 경기의 개요
[농구]농구 경기규칙 및 경기기술
제주지역(제주도)의 의식주, 제주지역(제주도)의 역사, 제주지역(제주도)의 세시풍속, 제주지...
[스포츠]스포츠의 개념, 스포츠의 역사, 스포츠의 기능, 스포츠의 발달, 스포츠의 매료요인, ...
스쿼시 경기장 규격 및 경기규칙
농구의 경기방법 규칙
테니스 학습지도안 (테니스 역사, 시설과 용구, 예절과 복장, 수업의 배경 및 목적)
[그리스][그리스음악][그리스 철학][그리스 예술][그리스음악 역사][그리스음악 모방기법]그...
[경륜] 경륜의 정의, 역사, 경륜의 종류, 운영, 경륜의 시설, 국내 산업 현황, 경륜의 문제점...
[경륜] 경륜의 정의, 역사, 경륜의 종류, 운영, 경륜의 시설, 국내 산업 현황, 경륜의 문제점...
[객체지향기술][객체지향기술 역사][객체지향기술 필요성][객체지향]객체지향기술의 정의, 객...
해상과 해상수송망(MTS), 해상수송수단, 해상과 해상운송, 해상교통방송(NAVTEX), 해상과 해...
[경륜, 경륜선수, 경륜경기, 사이클, 경륜장]경륜의 정의, 경륜의 역사, 경륜의 종류, 경륜의...
가정간호(가정간호 개요, 가정간호 발전과정, 가정간호 사업유형, 가정간호 인력 및 조직,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