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 - 영원한 새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효 - 영원한 새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원효는 누구인가.

3. 왜 출가를 하였는가.

4. 무엇을 깨달았는가.

5. 깨달음을 어떻게 실천하였는가.

6. 영원한 새벽, 원효

본문내용

화엄경」에 근거한 자신의 중생제도행을 '무애행(無碍行)' 이라하여 '승속불이(僧俗不二)의 거사불교(居士佛敎)'를 지향한 운동을 폈다. 또한 당시의 수많은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반목, 대립과 불신을 해소하고, 불교 내부에서의 신·구역간의 대립을 해결하고자 저술활동도 열심히 하였다. 그리하여 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근원이 다같이 '한마음(一心)'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상적 바탕을 중심으로 무애행이라는 실천을 몸소 행하며, 승려와 속인의 구분을 초월하고자 하고 나아가 폐쇄적 신분제인 골품제, 상호간의 폭력을 넘어서 불심 안에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한 원효의 노력은 당대의 구체적인 성과물이나 시대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그는 자신의 신분적 특권을 모두 버리고, 승려가 되어 세상의 모든 고통과 번민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고자 하였으며, 혼자만이 그 깨달음을 얻는데 그치지 않고, 세상 사람들과 함께 그 깨달음을 얻고 세상 사람들과 그 기쁨을 함께 하고자 하였다. 특히 당시 소외받던, 그렇기 때문에 더욱 세상의 고통과 번민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을지도 모르던 대다수의 민중들과 함께 하고자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쳤다. 원효로 인하여 민중들은 현생의 고통으로부터 잠시나마, 조금이나마 위안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그를 추앙하고 싶었던 민중들로부터 수많은 전설 속에 그 모습을 드러내며 죽은 후에도 그들과 함께 하였고, 천 삼백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그의 모습을 여전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서적> - 「영원한 새벽, 원효」, 남동신, 서울: 새누리 1999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6.0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