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유교의 세계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와 유교의 세계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환경적 영향
2. 세계관의 차이
1)유교의 세계관
2)불교의 세계관
3)불교와 유교의 생사관

결론

본문내용

멸할 때에도 가는 곳이 없다. 이와 같이 눈은 진실이 아니면서 생기고, 생겼다가는 다 멸한다. 업과 과보는 있지만, 그러나 그것을 지은 자는 없다. 이 쌓임[존재, 蘊]이 멸하고 나면 다른 쌓임이 이어받는다.
비유하면 우유와 같다. 우유는 변하여 酪이 되고, 酪은 生 가 되며, 生 는 熟 가 되고, 熟 는 醍 가 된다. 윤회를 위해서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영혼과 같은 어떤 것이 반드시 옮겨가야 할 이유는 없다. 윤회란 고정 불변하는 어떤 주체가 있어서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옮아가는 것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가 변화하면서 계속하는 것이다. 그것을 붓다는 업과 과보는 있지만, 그러나 그것을 짓는 자는 없다. 이 존재가 사라지면 다른 존재가 계속된다"라고 설명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르게도 설명이 가능하다. 즉 우유는 변하여 酪이 되고, 酪은 生 가 되며, 生 는 熟 가 되고, 熟 는 醍 가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우유가 낙에서 제호로 될 때 우유에서 제호까지 변하지 않고 계속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우유 전체가 변해서 낙이 되고 낙 전체가 변해서 생소로, 생소 전체가 변해서 숙소, 제호로 된다. 무아윤회에서는 한 존재가 다른 존재로 윤회할 때 고정 불변하는 영혼과 같은 실체가 옮겨가는 것이 아니라 존재 전체가 변해서 다른 존재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힌두교처럼 아뜨만[ tman]을 상정하거나, 자이나교처럼 지바[Jiva]를 상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마치 나비의 알이 나비가 되는데 고정 불변한 어떤 요소가 없어도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2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