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제주 4.3의 역사적 의미와 콘텐츠 활용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 ) 제주 4.3의 역사적 의미와 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주 4.3의 역사적 의미와 콘텐츠 활용방안

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건의 전개
(2) 사건의 역사적 의미
(3) 사건의 콘텐츠적 성격
(4) 콘텐츠 전달 매체의 탐색
(5) 활용 방안 상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현재의 국민들의 공감대를 얻는 것\'에 대한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콘텐츠 전달 매체의 선택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야기가 설명적인 만큼 매체는 트렌디하고 재미가 있어야 했다. 그래서 게임의 요소를 차용하면서도 참여자들이 디테일한 요소에 집중하고, 전체 과정을 통해 그려지는 메시지로 여운을 얻는 형태인 \'방 탈출 게임\'이란 매체를 선택했다. 그리고 이 매체를 활용하여 전체의 큰 컨셉하에 디테일한 부분을 채워 넣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사건이 전개된 시간의 순서대로 밀실의 공간을 꾸미되, 각 밀실의 주인이 되는 관점을 다양하게 제안했다.
단계별로 꾸며지는 밀실이 \'군중의 결집 공간\'에서부터 시작하여, \'미군의 방\', \'중산간 마을 주민들의 결집지\', 마지막으로 \'형무소\'로 이어진다. 게임 참여자들은 이러한 밀실을 차례로 경험하는 과정에서 사건의 다양한 주체의 이야기에 집중할 것이다. 각 공간에서 게임 참여자들은 사건의 디테일을 통해 전체 사건의 잔혹함을 그려나갈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공간들에서 참여자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군중의 결집 공간\'에서 참여자는 제주 43 사건의 도화선인 \'31절 발포 사건\'이 31절 행사 뒤의 가두시위를 준비하던 이들에게 가해진 갑작스러운 총성에서 시작했음을 알 것이다. \'미군의 방\'에서는 발포 사건으로 인해 벌어진 \'민관 합동 총파업\'에 미군은 빨갱이 딱지를 지우며 탄압했던 사실을 알 것이다. \'중산간 마을 주민들의 결집지\'에서는 그야말로 지옥을 느낄 것이다. 물러서지도 못하는 그야말로 \'앉아서 죽던지, 나가서 싸우던지\'의 심경으로, 불안과 위기의 상황을 온몸으로 겪어낸 주민들이 여기 제주에 살았음에 사무친 슬픔을 느낄 것이다. \'형무소\'에서 무고한 그러나 죄가 지워진, 그래도 살아있는 도민들을 통해 전해지는 이야기들은 참혹했던 현장에서 참여자를 조금은 떨어져서 생각하게 하면서, 어쩌면 현재의 시점과 연결 짓는 감상을 만들어낼 것이다. 7년여에 걸쳐 무고한 희생과 복수와 증오가 굴레를 반복해서 빚어나갔음에 깊은 슬픔을 느끼며 애도할 것이다.
이렇게 제주 43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되짚고 콘텐츠로서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며, 이 사건을 총체적으로 알아갈 수 있었다. 또한 사건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 지어보고 또 슬픔에 공감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콘텐츠를 그려볼 수 있었다. 기존의 문학적 서술이나 강의 형식의 전달 방식을 벗어나, 접근에 대한 문턱을 낮추면서도 적극적인 공감을 이끌어내는 방식의 콘텐츠 활용을 제안할 수 있었음이 만족스럽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들이 낮은 문턱으로 제주 43 사건을 알게 되고, 기억하고,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여 떠올려주길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제주4·3정신, 문화 콘텐츠에 담아 미래로 세계로\", 김정은, 제주일보, 2020.08.18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0042
2. \"제주4·3사건\",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07.12.01
https://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4400&pageFlag=&sitePage=1-2-1
3. \"제주 43이란\", 제주 43 평화재단,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1.do
4. \"73주년 맞은 제주 43, 유튜브 콘텐츠 게임과 만나다\", 홍창빈, 헤드라인제주, 2021.03.30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5213

키워드

  • 가격2,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5.05.01
  • 저작시기202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1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