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정조의 정국추이
2. 탕평정치와 성왕의 정치
3. 의리탕평론
결론
본론
1. 정조의 정국추이
2. 탕평정치와 성왕의 정치
3. 의리탕평론
결론
본문내용
뒤에 정민시도 서거하여 정조의 탕평을 주도한 노론과 남인, 소론의 노성한 중심인물들이 사라지자 정조는 그 사이의 공백을 친위 관료들로 배치했다. 척족등 특권세력의 발호라는 앞 시기의 탕평정치의 한계를 극복하려던 정조의 의리탕평론은 정조 치세의 마지막 단계에 와서 이렇게 다시 전대와 유사한 한계를 반복하기에 이르렀다. 정조의 정치력과 탕평정국의 위기가 초래된 가운데서 사림정치론과 의리탕평론의 원칙이 흔들렸다.
결론
정조는 아버지의 죽음 후에 왕위에 오르고 선조의 탕평정치를 계승하면서 극복을 시도했다. 정조대에 꾸준히 추구되어서 정조 12년에 정조 득의의 탕평정국이 실현되었고, 우문정치에 힘입어서 사회적인 안정과 문화적인 기틀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는데, 갑자년이후에 장기적인 정국구상을 실천해가던 후반기에 새로운 정국 운영 방향을 모색하였다. 왕권강화를 실천하면서 새로운 정계구도를 지향하면서, 오회연교를 통해서 자신의 입장을 관철시키려하였다. 신료들이 수긍하지 않자 혼란이 가중되었고, 이 와중에 정조의 서거로 인해 순조가 등극하자 정국은 더욱 혼란에 빠지게 되었고, 어린 순조를 대신해 정순왕후의 조정으로 정조의 측근들을 처단하면서 정조가 이루려고 하였던 정치목표는 좌절되고 말았다. 어디서나 느끼는 것이지만 만약 정조가 계속해서 집권했다면 조선은 정치적으로 확연히 달라져있지 않았을까 한다. 탕평이라는 어려운 정치 분야를 간략하게 정리해보았는데, 내용을 이해하기가 무척이나 어려웠다. 그러나 한번쯤 해보고 싶었던 부분이기에 앞으로도 정조와 영조의 정치 분야를 공부해 보고 싶다.
참고문헌
1. 박현모, 『정치가 정조』,푸른역사, 2001
2. 정옥자,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돌베게, 1999
3.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4. 김성윤, 「朝鮮後期 正祖의 蕩平政治 硏究」, 부산대 대학원석사논문, 1996
5. 오종록, 「 과거 역사에서 찾은 '탕평'과 '대동'의 교훈 『영조와 정조의 나라』, 역사비평1998년 가을호
6. 박광용, 「정조년간 時僻 당쟁론에 대한 재검토」, 한국문화 제 11집, 1990
7. 박현모, 「正祖의 蕩平政治 硏究」,한국정치학회, 2000
8. 박광용, 「朝鮮後期 〈蕩平〉硏究」, 서울대 대학원, 1994
9. 박광용, 「英·正租代 蕩平策의 推移와 性格」, 서울대 대학원, 1983
10. 방유미, 「正祖의 王權中心 政治와 社會·經濟 改革」, 연세대 대학원, 2000
결론
정조는 아버지의 죽음 후에 왕위에 오르고 선조의 탕평정치를 계승하면서 극복을 시도했다. 정조대에 꾸준히 추구되어서 정조 12년에 정조 득의의 탕평정국이 실현되었고, 우문정치에 힘입어서 사회적인 안정과 문화적인 기틀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는데, 갑자년이후에 장기적인 정국구상을 실천해가던 후반기에 새로운 정국 운영 방향을 모색하였다. 왕권강화를 실천하면서 새로운 정계구도를 지향하면서, 오회연교를 통해서 자신의 입장을 관철시키려하였다. 신료들이 수긍하지 않자 혼란이 가중되었고, 이 와중에 정조의 서거로 인해 순조가 등극하자 정국은 더욱 혼란에 빠지게 되었고, 어린 순조를 대신해 정순왕후의 조정으로 정조의 측근들을 처단하면서 정조가 이루려고 하였던 정치목표는 좌절되고 말았다. 어디서나 느끼는 것이지만 만약 정조가 계속해서 집권했다면 조선은 정치적으로 확연히 달라져있지 않았을까 한다. 탕평이라는 어려운 정치 분야를 간략하게 정리해보았는데, 내용을 이해하기가 무척이나 어려웠다. 그러나 한번쯤 해보고 싶었던 부분이기에 앞으로도 정조와 영조의 정치 분야를 공부해 보고 싶다.
참고문헌
1. 박현모, 『정치가 정조』,푸른역사, 2001
2. 정옥자,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돌베게, 1999
3.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4. 김성윤, 「朝鮮後期 正祖의 蕩平政治 硏究」, 부산대 대학원석사논문, 1996
5. 오종록, 「 과거 역사에서 찾은 '탕평'과 '대동'의 교훈 『영조와 정조의 나라』, 역사비평1998년 가을호
6. 박광용, 「정조년간 時僻 당쟁론에 대한 재검토」, 한국문화 제 11집, 1990
7. 박현모, 「正祖의 蕩平政治 硏究」,한국정치학회, 2000
8. 박광용, 「朝鮮後期 〈蕩平〉硏究」, 서울대 대학원, 1994
9. 박광용, 「英·正租代 蕩平策의 推移와 性格」, 서울대 대학원, 1983
10. 방유미, 「正祖의 王權中心 政治와 社會·經濟 改革」, 연세대 대학원,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