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의 탕평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조의 탕평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탕평이란?
(2) 영조의 즉위와 탕평책의 모색
1) 즉위초 탕평책의 대두
2) 노론정권하 탕평책의 시도

3. 결 론

본문내용

조태억 · 유봉휘등 소론대신의 처형과 소하재인의 처단을 요구하는 庭請(정청)을 개시하였다. 공평을 앞세워 보복을 허용하지 않던 용의 탕평책이 큰 시련을 맞게 된 것이다. 탕평의 제2단계는 여기서 시작된다. 왕은 우선 老論(노론)의 요구를 일부 들어주었고 유봉휘를 遠竄(원찬)하고 이광좌와 조태억은 官爵(관작)을 파하였다.
그러나 왕의 이러한 설득작업이나 一時的(일시적)인 威脅(위협)이 노론측의 정세를 차지하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이제는 왕의 탕평론에 맞서 민진원이 자기의 進退(진퇴)를 걸고 이광좌 등에 대한 치죄를 직접 요구하고 나오기까지 하였다. 하지만 이 문제는 왕으로서도 선뜻 처리할 수 없는 難題(난제)였다. 이광좌가 소론의 領袖(영수)로서 소론의 輿論(여론)을 좌우하고 있기 때문이다. 왕은 이제 선택의 기로에 선 셈이었다. 여기서 영조는 민진원을 좌의정에서 물러나게 하면서 한편 노소론간의 조절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게 된다. 즉 노론정권상 탕평의 제3단계라 할 수 있는 것인데 그 내용은 한마디로 자기의 탕평론에 동조하는 자를 발탁 그로 하여금 정권을 왕도케 하여 保合(보합)을 꾀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왕의 탕평은 주로 洪致中(홍치중)을 통해 대변되었다.
결론
이상에서 乙巳處分(을사처분)이후 약 2년 반에 걸치는 노론집권기의 탕평책에 대하여 살폈다. 그것은 대체로 辛壬事(신임사)에 대한 老(노) · 少論(소론)간의 忠逆是非(충역시비)에서 노론측 명분의 정당성을 인정 노론정권을 構成(구성)하면서도 노론의 일방적인 獨走(독주)와 소론에 대한 탄압을 억제하려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소론의 불만과 반발로 인한 政 局(정국)의 격화나 왕권의 불안이 초래되지 않을까 하는 왕의 우려에서 나온 결과였다.
요컨대 영조초의 蕩平(탕평)은 老論政權(노론정권)의 형성과 그로 인한 政局(정국) 및 主權(주권)의 안정을 목표로 즉위초의 소론정권하에서는 노론의 漸進的(점진적) 진출을 꾀하며 乙巳年後(을사년후) 노론정권하에서는 노론의 攻勢(공세)로부터 소론을 보호함으로써 공평을 標榜(표방), 黨派間(당파간)의 균형을 점차 이루려는 기본 방향에서 왕에 의해 주도된 정책이었고 그러나 아직 효과적인 방법을 찾지 못함으로써 摸索(모색)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채 丁未換局(정미환국)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英祖代(영조대) 初半(초반)의 蕩平策(탕평책)과 蕩平派(탕평파)의 活動(활동)」 정만조

키워드

영조,   탕평책,   노론,   조선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0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