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사 3-1학기 기말 06 붕당정치와 탕평책(교사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전제 토지 개혁론 → 정전제 토지 개혁론
①농업의 근대화
②농민 생활의 안정▶
③농업 인구의 증가
④상업적인 농업으로의 전환
⑤모든 국민에 대한 토지 균등 배분
중농학파(유형원, 이익, 정약용) : 농업 중시, 토지 제도의 개혁을 주장
[중상 학파의 대표적 인물] ★
다음 내용과 관계 깊은 사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④
실학의 흐름을 분류할 때 중상 학파에 속함
상공업 발달과 청의 문물 수용을 주장함
㉠ 이익 ㉡ 유형원 ㉢ 홍대용 ㉣ 박지원
①㉠, ㉡②㉠, ㉣③㉡, ㉢
④㉢, ㉣▶
⑤㉡, ㉢, ㉣
중상학파(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 상업 중시, 상공업의 발달을 통한 사회의 번영을 주장함
[중상 학파의 주장] ★
다음 글에서 주장하는 핵심적인 내용은? ④
영남 어린이들은 새우젓을 모르고, 관동 백성들은 아가위를 절여서 장 대신 쓰며, 서북 사람들은 감과 감자의 맛을 분간하지 못하며, 바닷가 사람들은 새우나 정어리를 거름으로 밭에 내건만 서울에서는 한 움쿰에 한 푼을 하니, 이렇게 귀함은 무슨 까닭인가? (중략) 이것은 오로지 멀리 운반할 힘이 없기 때문이다. -《열하일기》-
①화폐의 유통②양반 사회 비판

③청의 문물 수용④교통 수단 개선
⑤토지 제도 개혁
[실학자 정약용] ★★
다음 중 중농 학파인 정약용의 대표적인 주장은? ⑤
①청의 발달한 문물 수용
②대동법의 전국적인 확대 실시
③신분에 따른 토지의 차등 분배
④성리학 중심의 사회 질서 유지
⑤농지의 공▶
동 경작을 통한 공동 분배
농지 공동 소유, 경작, 분배(여전제) 주장
[중상 학파의 특징] ★
다음 인물들의 공통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①상공업을 중시하였다.
②북학파라고 불렸다.
③농업 기술 발▶
달에는 관심이 없었다.
④한양의 도시적 분위기에서 성장하였다.
⑤청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중상학파(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 상업 중시, 상공업의 발달을 통한 사회의 번영을 주장함
[실학자의 주장] ★★
다음 글에 나타난 내용과 관계 있는 실학자는? ④
우리 나라 상인들은 장사를 한다고 해도 실제로는 장사하는 이치를 모르고 있다. 무릇 장사하는 도리는 반드시 점포를 가진 상인이 있은 후에야 돌아다니는 행상이 이익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 나라의 지방에는 점포가 전혀 없으니, 어떻게 교역이 번창할 수 있겠는가?
①이익②이수광③정약용
④유수원⑤유형▶

중상학파(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 상업 중시, 상공업의 발달을 통한 사회의 번영을 주장함
[실학자의 대표 저서] ★
다음 내용과 관련이 없는 저서는? ③
실학자들은 중국 중심의 생각에서 벗어나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지고, 우리의 역사, 지리, 언어, 경제, 군사 등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①발해고②택리지③동국통감
④해동역사⑤훈민정음운해
[실학자들의 개혁 방안] ★★★
실학자들의 개혁안이 국가 정책에 반영되지 못한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⑤
①소론 세력의 반대가 심하였다.
②실학자들의 개혁 의지가 부족하였다.
③실학자들의 연구 수준이 깊지 못하였다.
④실학자들의 개혁안이 너무 이상적이었다.
⑤▶
실학자들이 대부분 현실 정치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실학의 의의:자유로운 비판 정신, 실증적 연구
한계: 실학자들의 주장이 국가 정책에 반영되지 못함
[실학의 영향] ★★★
실학의 다음과 같은 성격이 후대에 미친 영향은? ②
실학자들은 사회 모순을 개혁하고, 산업을 발달시켜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기를 바랬다.
①농민 봉기를 유발하였다.
②개화 사상에 ▶
영향을 주었다.
③동학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④세도 정치의 종식에 기여하였다.
⑤서민 문화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민족적, 근대 지향적 성격→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침
[대동법의 영향] ★★
다음과 같은 제도가 실시되었을 때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계층은? ①
1608년 대동법이 실시되자 많은 반대에 부딪혔다. 대동법은 공납을 농토의 면적에 따라 쌀베돈으로 납부하게 한 제도였다. 한편, 김육은 대동법의 확대 실시를 주장하여 충청도에서도 이를 시행하게 하였다.
①양반▶
②상인③농민
④노비⑤수공업자
대동법 : 특산물을 바치는 공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농민에게 부과하던 토산물 공납 대신 대동미를 부담하도록 세제를 개혁한 것이다.
[중농 학파의 주장] ★★
다음 글에 나타난 조선 후기의 사회 현실을 개혁하려는 방법과 관련이 적은 것은? ①
농촌에서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부농이 생기는가 하면, 가난한 농민들은 농사지을 땅도 없는 지경이 되어 농촌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①수▶
레나 배와 같은 교통 수단을 발전시킨다.
②농민들에게 일정한 면적의 농지를 나누어 준다.
③농민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서 생활을 안정시킨다.
④농가에 토지를 분배하고 매매하지 못하도록 한다.
⑤농지를 공동 소유공동 경작하고 수확물을 함께 나눈다.
[발해고의 의의] ★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지닌 역사서의 의의는? ①
부여씨(백제)와 고씨(고구려)가 망하게 되니, 김씨(신라)가 남쪽 땅을 차지하고 대씨가 북쪽 땅을 차지하여 발해라 하였다. 이것을 남북국이라 한다.(중략) 그 남쪽에 있는 김씨의 땅은 완전한 채로 있었으나, 그 북쪽에 있는 대씨의 땅은 완전하지 못하고 혹은 여진으로 들어가고 혹은 거란으로 들어갔다.
①한국사의 ▶
무대 확대 ②지리적인 환경 정리
③상업 발달에 대한 관심 ④대외 무역에 대한 관심
⑤청의 우수한 문물 인식
발해고 : 유득공-발해를 우리 역사의 일부로 다룸
[지리서의 편찬]
다음 글의 내용과 관계 깊은 지리 관련 서적은? ①
충청도와 전라도의 육지와 바다 사이에 위치하여 금강 남쪽들 가운데에 하나의 도회로 되었다. 바닷가 사람들과 산골 사람이 모두 여기서 물건을 교역한다. 해마다 봄과 여름 동안 생선을 잡고 해초를 뜯을 때에는 비린내가 마을에 넘치고 큰 배와 작은 배가 밤낮으로 두 갈라진 항구에 담처럼 벌려 있다.
①택리지▶
②동국지도③팔도지리지
④대동여지도⑤동국여지승람
택리지 : 이중환-우리 나라 지리적 환경과 각 지역 경제 생활, 풍속 조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