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 역사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건군 초기
(1) 해방후 혼란기
(2) 군사영어학교와 국방경비대

2.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국군
(1) 한국군 장교의 양성

3. 한국전쟁과 국군의 팽창
(1)한국군 간부의 정예화와 전문화
(2) 정규 한국육사
(3) 기타 군사 교육기관과 미군 고문단

4. 한국 군대문화 만들기

본문내용

25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서울)
제31대 국방부장관(이병태) 취임
주중 한국무관부 설치
1994
1. 1
3.18
4.16
4.28
5. 4
5.24
7.25
8.18
9. 6
예비군 복무제도를 연령제에서 연한제로 개선 시행(동원훈련 기간 및 훈련시간 단축), 방위병제도 폐지후 상근예비역과 공익근무요원 소집제도 신설
소말리아 PKO(공병대대) 철수 완료
주한 중국 무관부 개설
북한, 새로운 평화보장체제 요구 선언
한·독간 국방 및 군사교류 증진에 관한 합의서 체결
한·필 군수·방산협력 양해각서 체결
ARF(아세안 지역안보포럼) 최초 개최
한·미간 전시 미7함대의 연합사 배속 합의
서부 사하라에 PKO(의료지원단) 파견
1995
2.28
3. 9
5. 1
5. 5
6.19
8.27
10. 5
10. 9
10.13
11. 3
11.28
12.15
12.29
폴란드, 북한측 철수압력으로 판문점 중립국 감독위원회에서 철수
KEDO(한반도 에너지개발기구) 발족
한·캐나다간 군사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의향서 체결
한·폴란드간 군사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의향서 체결
압록강연습 최초 실시
한·이스라엘 군사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앙골라에 PKO(공병대대) 파견
한·인니 국방군수 및 방산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NSG(핵공급그룹) 가입
제27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서울)
국산 최초 군용항공기(KT-1) ‘웅비’ 명명식 및 시범 비행
KEDO와 북한간 경수로 공급협정 체결
여자도 사관학교에 입교할 수 있도록 하는 사관학교설치법 부분개정 공포
1996
3.28
4. 4
4.16
4.17
9.18
10. 1
10.18
10.21
11. 1
12.23
호국훈련 최초 실시
북한, DMZ 관리책임 포기 선언
한·미 정상 한반도 평화를 위한 4자회담 제의
연합전시증원(RSOI)연습 최초 실시
북한 잠수정 및 무장공비 강릉 침투사건 발생
AG(호주그룹) 가입
제33대 국방부장관(김동진) 취임
1996 서울 국제에어쇼 개최
주 베트남 한국 무관부 개설 / 제28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서울)
앙골라 PKO(공병대대) 철수 완료
1997
1. 1
1.13
3. 3
4.28
6.30
9.24
10.27
11.17
11.20
11.27
12. 9
상근예비역 복무기간을 28개월에서 26개월로 단축
통합방위법 공포
(공군)사관학교 여생도 최초 입교
CWC(화학무기금지협약) 가입
국산전투기 KF-16 1호기 출고
CTBT(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가입
국산 지대공 미사일 ‘천마’ 시범사격 성공
한·독간 방산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한·러간 군사기술분야 방산 및 군수협력에 관한 협정 체결
한·루간 방산·군수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4자회담 1차 본회의 개최, 제29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서울)
1998
3. 4
4.15
6.22
6.23
6.30
7. 9
7.15
8.31
9.30
9.31
10.13
10.26
11.27
12.18
12.31
제34대 국방부장관(천용택) 취임
국방개혁추진위원회 출범
속초, 북한 잠수정 침투사건 발생
제1차 판문점 장성급회담 개최
ADD, 잠수함·정 탑재용 중어뢰 개발 성공
한·미 국방장관회담
ADD, 단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천마) 개발 성공
북한 대포동(미사일) 1호 발사
ADD, 신형 155미리 자주포 개발 성공
한·일 국방장관회담 개최
국제관함식 개막
1998 서울 국제에어쇼 개최
한·뉴간 군수협력 약정 체결
남해상에 북한 반잠수정 침투사건 발생
ADD, 국내 최초 군용항공기(KT-1) 개발 성공
1999
1. 7
1.17
2. 2
5.24
5.26
6.15
7.29
8. 2
8.23
9. 3
10.4
11.3
한·일 국방장관회담 개최
제30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서울)
한·영 국방부간 자료교환 및 과학기술자 교환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제35대 국방부장관(조성태) 취임
한·호 국방장관회담
서해상에서 남북(해군)간 교전 발생(연평해전)
한·미 국방장관회담 개최
한·일 해군간 최초 ‘평화목적의 수색 및 구조훈련’ 실시(8.2∼8.9)
한·중 국방장관회담 개최
한·러 국방장관회담 개최
동티모르에 PKO 파견
제31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워싱톤)
2000
1. 6
1.20
3.18
3.23
5.16
5.22
6.13
9.21
9.25
국방대학원, 국방참모대학, 국방정신교육원을 통합하여 국방대학교 창설
한·중 국방장관 회담 개최
한·미 국방장관 회담 개최
북한, 서해5도 통항질서 발표
한·러 국방장관회담 개최
한·일 국방장관회담 개최
김대중 대통령 평양 방문/남북정상회담 (6.13∼6.15)
제32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 개최(서울)
남북국방장관회담(9.25~9.26, 제주)
<출처 : 2000년도 국방백서 부록>
※참 고 문 헌
재미가 솔솔붙는 군대문화 이야기 1998 양희완편저 연경문화사
국방부 홈페이지 http://www.mnd.go.kr/
국방홍보원 홈페이지 http://www.dapis.go.kr/
※ 레포트를 마치며....
과제물을 하기 앞서 게시판을 살펴본 우리는 주제의 선택이 너무나 넓었기 때문에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고민 끝에 우리는 우리의 공통점인 예비역의 특성을 살려 국군의 역사를 하기로 했다. 우리가 3년이란 시간 동안 몸을 담았던 곳... 눈물과 설움이 서려있는(?)
그곳을 찾아보며 솔직히 우리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을 느꼈다. 이렇게 한번 찾아 본 것으로 많은 걸 알지는 못하겠지만 적어도 대한민국의 예비역인 우리가 자랑스럽다.
※과제와는 관계없는 내용이지만 국인들이 왜 초코파이를 좋아할까? 에 대해서....
보통 군대 식사(일명 짬밥)에는 설탕류를 포함한 당분류가 들어가지 않는다. 들어간다 하더라도 그 양이 거의 극소량이기 때문에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우리몸에서는 당분을 필요로하고 그것을 당분의 주공급원이 없는 관계로 주말에 종교행사 참여시에 나오는 초코파이 하나에 그렇게도 목을 메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6.07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4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