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정시키는 것을 레일체결이라 하고, 레일을 침목 또는 다른 레일 지지구조물에 결속시키는 장치를 레일 체결장치라 한다.
(2) 레일체결 장치의 역할과 기능 (구비조건)
1) 부재의 강도 (내구성) : 각종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도 확보
2) 궤간의 확보
3) 레일 체결력 : 레일을 누르는 힘, 레일의 복진방지, 레일의 신축 및 축력의 규제, 레일의 부상(浮上)등 궤도의 안전성 관계, 항상 일정한 힘 유지.
4) 하중의 분산과 충격완화
5) 진동의 감쇠 및 차단
6) 전기적 절연성능의 확보
7) 조절성 : 슬랙, 레일마모 등에 대해 궤간은 조정되어야 함
8) 구조의 단순화 및 보수성력화: 부설수량이 많으므로 시공·보수제작이 용이
(3) 체결장치의 종류
1) 일반체결
- 일반스파이크 : 가장단순하며 오래 전부터 사용 된 것이나 단점으로 지지력이 적고, 침목섬유 손상이 되며, 부패되기 쉬우며, 박았던 것을 다시 뽑아 박으면 저항력이 떨어짐
- 나사스파이크 : 일반스파이크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 스파이크, 스크류 볼트라고 하며, 단점으로는 박기와 뽑기의 품이 많이 듬
2) 단 탄성체결 : 탄성크립만으로 체결하는 것
3) 2중 탄성체결 : 고무제의 타이패드를 깔고 상하 쌍방에서 체결하는 것
4) 탄성체결구의 특징
- 레일 압력에 따른 레일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열차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 완화한다.
- 레일과 침목이 항상 압착상태에 있으므로 레일의 복진을 방지하고 횡압력에도 유효하게 저항한다.
- 타이패드를 사용하면 침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 궤간의 틀림, 레일두부의 경사, 레일마모 등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 높은 진동수의 진동이 흡수되기 용이하므로 침목이동의 동적 부담력을 완화하고 궤도의 동적 틀림을 경감시킨다.
- 궤도보수노력의 절감과 소음의 흡수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
- 콘크리트침목 및 콘크리트도상의 탄성부족을 보충할 수 있다.
- 타이패드의 전기절연성에 의한 레일과 침목과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용어정리; 탄성체결이란 : 열차가 주행할 때 레일에 발생하는 고주파(매초 1000회 정도)진동을 흡수 완화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크립과 타이패드 등을 사용하게 되는 데, 탄성크립만으로 체결하는 것을 단탄성체결이라 하며, 고무제의 탄성패드를 깔고 상하 쌍방에서 체결하는 것을 이중탄성체결이라 한다.
5) 궤도 패드(track pad) : 타이패드(tie pad)
- 레일과 침목사이 레일과 타이플레이트 사이, 타이플레이트와 침목사이에 삽입하는 완충판
- 궤도패드의 역할 : 레일로부터의 진동소음 완화 및 하중분산과 복진저항의 증가 및 전기절연이다.
5. 레일 이음매
(1) 레일이음매의 기능 및 구비조건
1) 분단된 전후의 양레일은 연속으로 작동되므로 레일이음매 이외의 부분은 강도와 강성이 동일할 것.
2) 양레일의 단부는 온도신축에 대하여 필요한 응력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
3) 구조가 간단하고 이음매 재료의 제조 보수작업이 용이할 것.
4) 연직하중 및 횡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
(2) 레일체결 장치의 역할과 기능 (구비조건)
1) 부재의 강도 (내구성) : 각종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도 확보
2) 궤간의 확보
3) 레일 체결력 : 레일을 누르는 힘, 레일의 복진방지, 레일의 신축 및 축력의 규제, 레일의 부상(浮上)등 궤도의 안전성 관계, 항상 일정한 힘 유지.
4) 하중의 분산과 충격완화
5) 진동의 감쇠 및 차단
6) 전기적 절연성능의 확보
7) 조절성 : 슬랙, 레일마모 등에 대해 궤간은 조정되어야 함
8) 구조의 단순화 및 보수성력화: 부설수량이 많으므로 시공·보수제작이 용이
(3) 체결장치의 종류
1) 일반체결
- 일반스파이크 : 가장단순하며 오래 전부터 사용 된 것이나 단점으로 지지력이 적고, 침목섬유 손상이 되며, 부패되기 쉬우며, 박았던 것을 다시 뽑아 박으면 저항력이 떨어짐
- 나사스파이크 : 일반스파이크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 스파이크, 스크류 볼트라고 하며, 단점으로는 박기와 뽑기의 품이 많이 듬
2) 단 탄성체결 : 탄성크립만으로 체결하는 것
3) 2중 탄성체결 : 고무제의 타이패드를 깔고 상하 쌍방에서 체결하는 것
4) 탄성체결구의 특징
- 레일 압력에 따른 레일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열차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 완화한다.
- 레일과 침목이 항상 압착상태에 있으므로 레일의 복진을 방지하고 횡압력에도 유효하게 저항한다.
- 타이패드를 사용하면 침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 궤간의 틀림, 레일두부의 경사, 레일마모 등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 높은 진동수의 진동이 흡수되기 용이하므로 침목이동의 동적 부담력을 완화하고 궤도의 동적 틀림을 경감시킨다.
- 궤도보수노력의 절감과 소음의 흡수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
- 콘크리트침목 및 콘크리트도상의 탄성부족을 보충할 수 있다.
- 타이패드의 전기절연성에 의한 레일과 침목과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용어정리; 탄성체결이란 : 열차가 주행할 때 레일에 발생하는 고주파(매초 1000회 정도)진동을 흡수 완화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크립과 타이패드 등을 사용하게 되는 데, 탄성크립만으로 체결하는 것을 단탄성체결이라 하며, 고무제의 탄성패드를 깔고 상하 쌍방에서 체결하는 것을 이중탄성체결이라 한다.
5) 궤도 패드(track pad) : 타이패드(tie pad)
- 레일과 침목사이 레일과 타이플레이트 사이, 타이플레이트와 침목사이에 삽입하는 완충판
- 궤도패드의 역할 : 레일로부터의 진동소음 완화 및 하중분산과 복진저항의 증가 및 전기절연이다.
5. 레일 이음매
(1) 레일이음매의 기능 및 구비조건
1) 분단된 전후의 양레일은 연속으로 작동되므로 레일이음매 이외의 부분은 강도와 강성이 동일할 것.
2) 양레일의 단부는 온도신축에 대하여 필요한 응력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
3) 구조가 간단하고 이음매 재료의 제조 보수작업이 용이할 것.
4) 연직하중 및 횡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