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악골 운동의 목적
2. 하악 기본운동.
1. 개폐운동.
2. 전방운동.
3. 측방운동.
4. 후방운동.
3. 하악운동이 교합면에 미치는 영향
1. 교두 높이와 와(fossa)깊이의 수직적 결정인자.
2. Ridge 와 Groove 방향을 결정하는 수직적 결정인자.
3. 상악전치의 설측함몰부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
4. 교합면 형태와 교두의 교합유형
5. 교합면 형태의 결정요인
6. 형태학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
2. 하악 기본운동.
1. 개폐운동.
2. 전방운동.
3. 측방운동.
4. 후방운동.
3. 하악운동이 교합면에 미치는 영향
1. 교두 높이와 와(fossa)깊이의 수직적 결정인자.
2. Ridge 와 Groove 방향을 결정하는 수직적 결정인자.
3. 상악전치의 설측함몰부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
4. 교합면 형태와 교두의 교합유형
5. 교합면 형태의 결정요인
6. 형태학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
본문내용
usion양이 클수록 작업구와 비작업구는 더 전방에 위치하며, lateroretrusion양이 클수록 작업구와 비작업구는 더 후방에 위치한다.
하악치궁 : lateroprotrusion양이 클수록 작업구와 비작업구는 더 후방에 위치하고, lateroretrusion양이 클수록 작업구와 비작업구는 더 전방에 위치한다.
3. 상악전치의 설측함몰부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
1)전치의 형태가 과두운동에 의해 결정한다.
(1)eminentia 각
eminentia각이 크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적어지며, eminentia각이 작으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더 커진다.
(2)하악의 측방전이 운동
하악전이 운동이 크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커지며, 하악전이 운동이 작으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적어진다.
(3)intercondylar distance(과두간 거리)
intercondylar distance가 크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부가 커지며, intercondylar distance가 적으면 상악전치 함몰부가 적어진다.
2) 설면 함몰부의 형태가 발음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이 기준은 earl specification의 전치부 배열기준 중3가지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설면 함몰부의 형태가 발음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1. 상악전치의 절단은 'F '발음을 내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둔다.
2. 하악전치의 절단은 'S'발음을 내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둔다.
3. 발음시 하악의 전·후방운동이 클수록, free-way space양은 더욱 커져야 한다.
이들 3가지 조건을 결정한 후 설면 함몰부형태가 해부학적 만곡으로 형성된다.
4. 상악전치의 경사도는 심미적 고려에 의해서 결정된다.
5. 상악전치의 절단연이 이룬 만곡은 smile line을 이뤄야 한다.
6. 하악전치의 순면은 하악의 하방 경계면과 수직관계를 이뤄야 한다.
4. 교합면 형태와 교두의 교합유형
1) 교합면 형태
교합면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포물선 형태의 융선과 깊고 예리한 구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구치부의 교합면 형태로는 여러개의 융선이 몰려 교두를 이루고 이들 융선 경계부에는 크고 적은 구를 형성하여 이러한 구들이 만나 소와 와를 이룬다.
이러한 복잡한 형태의 교합면을 인류학자인 Shaw가 1924년에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의미가 깊은 상형문자인 교합면 형태란 융선과 구들의 위치와 방향, 교두의 높이와 와의 깊이 또 이들의 위치, 상악 전치부 설면의 형태 등을 말하며, 이들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 하므로서 곧 교합을 이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구강기능도 모든 조직과 기능적 사슬(functional chain)을 이루고 있다.
2) 기능적 교합면 형성
중심교합위에서 각 교두는 대합치아 교합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따라 크게 나누어
1) 교두 대 와 접촉(cusp-tripod fossa contact)
2) 교두 대 치간공극 접촉(cusp to embrasure contact)
3) 교두정 대 와 접촉 (cusp tip - open fossa contact)이 있으며 전자의 두 가지 형태의 교합관계가 복합하여 자연치열에서 이루어지며 세 번째 관계는 수복치아에서 일어날 수 있다.
비중심위에서는 대합치간 교두 접촉관계에 따라
1) 양측성 균형교합(bilateral balanced occlusion)
2) 편측성 균형교합(unilateral balanced occlusion)
3) 견치이개 교합(canine guide disclusion)
3)교합의 개념
(교합개념을 결정하는 요인)
교합상태
교두의 교합위치
악관계에 따른 치아접촉상태
양측성균형교합
교합면 변연융선에 위치
CRO
편측성 균형교합
와에 위치
CRO와 CO
이상의 요인을 논리적으로 배열하여 이룬 교합개념이 다음의 두 가지 있다.
1) Panky - Mann - Schuyler
편측성 균형교합(unilateral) - 교두 대 와 교합(cusp to fossa) - CRO+CO
1 하악구치부 보철물은 4inch 원호궁인 스피씨곡선을 적용하여 제작한다.
2 상악 전치 보철물은 미리 설정된 전치경사도 (anterior guidance), 측방 경사도 (30。)와 전돌 경사도(40。)를 적용 제작한다.
3 Maxillary posterior restorations.
2) 악교합학(gnathology)
교합이개(disclusion) - 교두 대 와 교합(cusp to fossa)-CRO
4) 교합의 안정성
1) 악궁전체에 걸쳐 작은 면으로 많은 접촉을 이루어야 한다.
2) 2점의 접촉(coupled contact)
3) 3점의 접촉(tripod contact)
5. 교합면 형태의 결정요인
수평면에서 교두와 융선의 위치 및 구의 방향이 결정되는데 여기에 결정요인은 다음과 같이 있다.
1) 측방이동(side shift) : 과두의 회전 및 활동범위 방향
2) 과두간 거리
수직면에서는 교두의 높이와 와 깊이가 결정되는데 이의 결정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융기(eminetia)형태에 따른 과두의 시상 평면적 각도
2) 수직면상에서의 관절와 상한계 형태에 따른 회전과두 방향
3) 측방이동의 크기와 방향
4) 스피씨 곡선
5) 측방이동시 수평피개교합과 수직피개교합
6. 형태학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
1) 전돌 경사도가 작아지면 교두는 낮고 경사도가 크면 교두는 높아진다.
2) 전치의 수직 피개도가 커지면 구치의 교두는 높아지고 작아지면 구치의 교두는 낮아진 다.
3) 전치의 수평 피개도가 커지면 교두는 낮아지고 작아지면 교두가 높아진다.
4) 과두 전돌 경사로를 작게 하면 교두를 낮게 해야하나 전치 유도경사로를 크게 하면 교 두를 높게 할 수 있다.
5) 즉시 측방 이동이 많으면 교두는 낮아야 한다. 즉시 측방이동이 적어지면 교두는 높아야 한다.
6) 측방이동의 각도가 증가하면 교두를 더 높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전치유도경사로를 크게 하면 교두를 길게 할 수 있다.
7) 전후로 작업측 과두에 가까운 치아는 작업측과 비작업측 교두 각도가 작아진다.
치아가 작업측 과두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업측과 비작업측 교두 각도는 커진다.
하악치궁 : lateroprotrusion양이 클수록 작업구와 비작업구는 더 후방에 위치하고, lateroretrusion양이 클수록 작업구와 비작업구는 더 전방에 위치한다.
3. 상악전치의 설측함몰부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
1)전치의 형태가 과두운동에 의해 결정한다.
(1)eminentia 각
eminentia각이 크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적어지며, eminentia각이 작으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더 커진다.
(2)하악의 측방전이 운동
하악전이 운동이 크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커지며, 하악전이 운동이 작으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형태가 적어진다.
(3)intercondylar distance(과두간 거리)
intercondylar distance가 크면 상악전치 설면 함몰부가 커지며, intercondylar distance가 적으면 상악전치 함몰부가 적어진다.
2) 설면 함몰부의 형태가 발음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이 기준은 earl specification의 전치부 배열기준 중3가지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설면 함몰부의 형태가 발음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1. 상악전치의 절단은 'F '발음을 내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둔다.
2. 하악전치의 절단은 'S'발음을 내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둔다.
3. 발음시 하악의 전·후방운동이 클수록, free-way space양은 더욱 커져야 한다.
이들 3가지 조건을 결정한 후 설면 함몰부형태가 해부학적 만곡으로 형성된다.
4. 상악전치의 경사도는 심미적 고려에 의해서 결정된다.
5. 상악전치의 절단연이 이룬 만곡은 smile line을 이뤄야 한다.
6. 하악전치의 순면은 하악의 하방 경계면과 수직관계를 이뤄야 한다.
4. 교합면 형태와 교두의 교합유형
1) 교합면 형태
교합면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포물선 형태의 융선과 깊고 예리한 구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구치부의 교합면 형태로는 여러개의 융선이 몰려 교두를 이루고 이들 융선 경계부에는 크고 적은 구를 형성하여 이러한 구들이 만나 소와 와를 이룬다.
이러한 복잡한 형태의 교합면을 인류학자인 Shaw가 1924년에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의미가 깊은 상형문자인 교합면 형태란 융선과 구들의 위치와 방향, 교두의 높이와 와의 깊이 또 이들의 위치, 상악 전치부 설면의 형태 등을 말하며, 이들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 하므로서 곧 교합을 이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구강기능도 모든 조직과 기능적 사슬(functional chain)을 이루고 있다.
2) 기능적 교합면 형성
중심교합위에서 각 교두는 대합치아 교합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따라 크게 나누어
1) 교두 대 와 접촉(cusp-tripod fossa contact)
2) 교두 대 치간공극 접촉(cusp to embrasure contact)
3) 교두정 대 와 접촉 (cusp tip - open fossa contact)이 있으며 전자의 두 가지 형태의 교합관계가 복합하여 자연치열에서 이루어지며 세 번째 관계는 수복치아에서 일어날 수 있다.
비중심위에서는 대합치간 교두 접촉관계에 따라
1) 양측성 균형교합(bilateral balanced occlusion)
2) 편측성 균형교합(unilateral balanced occlusion)
3) 견치이개 교합(canine guide disclusion)
3)교합의 개념
(교합개념을 결정하는 요인)
교합상태
교두의 교합위치
악관계에 따른 치아접촉상태
양측성균형교합
교합면 변연융선에 위치
CRO
편측성 균형교합
와에 위치
CRO와 CO
이상의 요인을 논리적으로 배열하여 이룬 교합개념이 다음의 두 가지 있다.
1) Panky - Mann - Schuyler
편측성 균형교합(unilateral) - 교두 대 와 교합(cusp to fossa) - CRO+CO
1 하악구치부 보철물은 4inch 원호궁인 스피씨곡선을 적용하여 제작한다.
2 상악 전치 보철물은 미리 설정된 전치경사도 (anterior guidance), 측방 경사도 (30。)와 전돌 경사도(40。)를 적용 제작한다.
3 Maxillary posterior restorations.
2) 악교합학(gnathology)
교합이개(disclusion) - 교두 대 와 교합(cusp to fossa)-CRO
4) 교합의 안정성
1) 악궁전체에 걸쳐 작은 면으로 많은 접촉을 이루어야 한다.
2) 2점의 접촉(coupled contact)
3) 3점의 접촉(tripod contact)
5. 교합면 형태의 결정요인
수평면에서 교두와 융선의 위치 및 구의 방향이 결정되는데 여기에 결정요인은 다음과 같이 있다.
1) 측방이동(side shift) : 과두의 회전 및 활동범위 방향
2) 과두간 거리
수직면에서는 교두의 높이와 와 깊이가 결정되는데 이의 결정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융기(eminetia)형태에 따른 과두의 시상 평면적 각도
2) 수직면상에서의 관절와 상한계 형태에 따른 회전과두 방향
3) 측방이동의 크기와 방향
4) 스피씨 곡선
5) 측방이동시 수평피개교합과 수직피개교합
6. 형태학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
1) 전돌 경사도가 작아지면 교두는 낮고 경사도가 크면 교두는 높아진다.
2) 전치의 수직 피개도가 커지면 구치의 교두는 높아지고 작아지면 구치의 교두는 낮아진 다.
3) 전치의 수평 피개도가 커지면 교두는 낮아지고 작아지면 교두가 높아진다.
4) 과두 전돌 경사로를 작게 하면 교두를 낮게 해야하나 전치 유도경사로를 크게 하면 교 두를 높게 할 수 있다.
5) 즉시 측방 이동이 많으면 교두는 낮아야 한다. 즉시 측방이동이 적어지면 교두는 높아야 한다.
6) 측방이동의 각도가 증가하면 교두를 더 높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전치유도경사로를 크게 하면 교두를 길게 할 수 있다.
7) 전후로 작업측 과두에 가까운 치아는 작업측과 비작업측 교두 각도가 작아진다.
치아가 작업측 과두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업측과 비작업측 교두 각도는 커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