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악골
U자 모양의 하악골 mandible 은 안면골 중 가장 크고 튼튼하며, 턱을 구성하는 하악체와 뒤쪽 상방으로 돌출된 하악지로 구분된다.
하악체 : 중앙의 수평부를 이루며 그 상연은 치조연 alveolar margin을 이루어 아랫니를 수용한다. 턱의 정중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악골의 한계운동.
1 시상면에 기록되는 하악의 한계운동과 위치
2 수평면에 기록되는 하악의 한계운동과 위치
3 전방평면에 기록되는 하악의 한계운동과 위치
4. 참고문헌 1. 하악운동의 목적
2. 하악운동에는 어떤 것이 있나?
전방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떨어질수록 작업측과 비작업측 교두 각도는 커진다.
6. 하악골 운동의 기록방법
(1) 교합 채득법 :결정된 요소와 위치가 주어진다.
(2) 발생도법 : 단지 결정된 위치만 주어진다.
(3) 전사기록법 : 세 가지 과두 한계 운동 기록이 주어진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5.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순 두통이나 어지러움 등 ※ TCD 검사
1) 경측두골검사(Transtemporal approach)
2) 경안와검사(Transorbital approach)
3) 후두골하검사(Suboccipital approach)
4) 하악골하검사(Submandibular spproach)
5) 유양돌기후검사(Retromastoid spproach)
※ TCD 진단범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악골 운동의 목적
2. 하악 기본운동.
1. 개폐운동.
2. 전방운동.
3. 측방운동.
4. 후방운동.
3. 하악운동이 교합면에 미치는 영향
1. 교두 높이와 와(fossa)깊이의 수직적 결정인자.
2. Ridge 와 Groove 방향을 결정하는 수직적 결정인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