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시장분석
1. 자동차 시장 경쟁상황
1)국산차
2)수입차
2. 소비자 분석
1)2004년 소비심리
2)현대자동차에 대한 인식
3)경쟁사에 대한 소비자 인식
3. 자동차 시장 동향
4. 마케팅 상황 분석 온/오프라인
II. 문제제기
III. 마케팅 목표 설정
IV. 마케팅 전략
1. Brand Concept -“My precious”
2. 현대자동차의 Brand Wheel
3. STP
1)Segmentation
2)Targeting
3)Positioning
4. 매체 전략
1) 온라인
2) 오프라인
V. 마케팅 전술 – 실행
1. 온라인 튜닝 서비스
1)튜닝이란?
2)왜 튜닝을 하나
3)해외 튜닝 사례 – 튜닝차의 명가 – 독일 브라부스
4)튜닝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실행하는 이유
2. 온라인 튜닝 서비스의 실행
1)커뮤니티의 구축과 활성화
2)오프라인 동호회 개최
3)데이터 베이스 축적과 활용
4)웹사이트 구축
5)One-to-One 마케팅
6)고객 피드백 및 사후관리
3. 오프라인 활동
4. 잠재고객관리
1)온라인 게임
2)드라이빙 스쿨
3)문화 컨텐츠 사업
VI. 결론 및 제언
1. 자동차 시장 경쟁상황
1)국산차
2)수입차
2. 소비자 분석
1)2004년 소비심리
2)현대자동차에 대한 인식
3)경쟁사에 대한 소비자 인식
3. 자동차 시장 동향
4. 마케팅 상황 분석 온/오프라인
II. 문제제기
III. 마케팅 목표 설정
IV. 마케팅 전략
1. Brand Concept -“My precious”
2. 현대자동차의 Brand Wheel
3. STP
1)Segmentation
2)Targeting
3)Positioning
4. 매체 전략
1) 온라인
2) 오프라인
V. 마케팅 전술 – 실행
1. 온라인 튜닝 서비스
1)튜닝이란?
2)왜 튜닝을 하나
3)해외 튜닝 사례 – 튜닝차의 명가 – 독일 브라부스
4)튜닝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실행하는 이유
2. 온라인 튜닝 서비스의 실행
1)커뮤니티의 구축과 활성화
2)오프라인 동호회 개최
3)데이터 베이스 축적과 활용
4)웹사이트 구축
5)One-to-One 마케팅
6)고객 피드백 및 사후관리
3. 오프라인 활동
4. 잠재고객관리
1)온라인 게임
2)드라이빙 스쿨
3)문화 컨텐츠 사업
VI.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현재 국내 자동차 시장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는 현대자동차는 수십 년간 독점질주를 해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3년도의 자동차 5사의 매출액을 비교해보면 24조 9천억 원으로 현대가 1위, 12조 8천억 원으로 기아가 2위, 4조 2천억 원으로 대우가 3위로 나타나 1위와 2위의 매출액 차이는 2배, 3위와는 6배의 차이를 보였다. 2004년 현재 현대는 5만대가 넘는 내수판매를 기록하여 업계 최강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표 1 2003년 국내 자동차 기업 5사 매출액>
<표 2 2004년 현재 자동차 시장 점유율 (판매대수 기준)>
2) 수입차
1999년도부터 꾸준히 성장해온 국내 수입자동차 시장은 현재 2.46%의 자동차 시장 점유율을 보여 3년 안에 3.4배에 이르는 성장을 이루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에는 수입차가 연간 10만대 이상 팔려 점유율이 5.6%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수입자동차시장은 국내 자동차 시장을 꾸준히 공략하여 국내 고급/대형차 시장에게 위협으로 다가서고 있다.
<표 3 수입차 시장 점유율>
수입 자동차 시장에서 현재 26%의 점유율을 보이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은 지난해 5432대를 판매한 BMW이고 그 뒤를 22%의 점유율을 가진 렉서스가 바짝 뒤쫓고 있다. 수입 자동차 시장은 각각 점유율 123위를 차지한 BMW, 렉서스, 벤츠, 이 3사의 경쟁으로 보여지고 있는 가운데 순발력 있고 스포티한 BMW와 부드럽고 여성적인 느낌의 렉서스가 판매율 1위를 놓고 지난해 가을부터 엎치락 뒤치락을 반복하고 있다.
< 표 4 2004년 4월 수입 브랜드 시장 점유율>
2. 소비자 분석
1) 2004년 소비심리
# 빈익빈 부익부가 대형차열풍 주도
최근의 차 구매행태를 분석해보면 처음으로 신차를 사는 경우가 10%도 되지 않는다.고소득 계층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복수로 ‘세컨드 카’를 사는 경우가 신규 수요보다 많은 것이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의 김준규 차장은 “앞으로 소형•경차의 비중은 낮아지고 중대형 차의 비중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현 추세라면 배기량 2000㏄이상을 보통차로 분류하는 일본보다 중대형 차의 비중이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회사들도 경차보다 대형차 개발과 생산에 치중하고 있다. 임금이 올라가면서 경차보다 10배나 부가가치가 높은 대형차를 만드는 것이 자동차회사로서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표 1 2003년 국내 자동차 기업 5사 매출액>
<표 2 2004년 현재 자동차 시장 점유율 (판매대수 기준)>
2) 수입차
1999년도부터 꾸준히 성장해온 국내 수입자동차 시장은 현재 2.46%의 자동차 시장 점유율을 보여 3년 안에 3.4배에 이르는 성장을 이루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에는 수입차가 연간 10만대 이상 팔려 점유율이 5.6%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수입자동차시장은 국내 자동차 시장을 꾸준히 공략하여 국내 고급/대형차 시장에게 위협으로 다가서고 있다.
<표 3 수입차 시장 점유율>
수입 자동차 시장에서 현재 26%의 점유율을 보이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은 지난해 5432대를 판매한 BMW이고 그 뒤를 22%의 점유율을 가진 렉서스가 바짝 뒤쫓고 있다. 수입 자동차 시장은 각각 점유율 123위를 차지한 BMW, 렉서스, 벤츠, 이 3사의 경쟁으로 보여지고 있는 가운데 순발력 있고 스포티한 BMW와 부드럽고 여성적인 느낌의 렉서스가 판매율 1위를 놓고 지난해 가을부터 엎치락 뒤치락을 반복하고 있다.
< 표 4 2004년 4월 수입 브랜드 시장 점유율>
2. 소비자 분석
1) 2004년 소비심리
# 빈익빈 부익부가 대형차열풍 주도
최근의 차 구매행태를 분석해보면 처음으로 신차를 사는 경우가 10%도 되지 않는다.고소득 계층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복수로 ‘세컨드 카’를 사는 경우가 신규 수요보다 많은 것이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의 김준규 차장은 “앞으로 소형•경차의 비중은 낮아지고 중대형 차의 비중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현 추세라면 배기량 2000㏄이상을 보통차로 분류하는 일본보다 중대형 차의 비중이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회사들도 경차보다 대형차 개발과 생산에 치중하고 있다. 임금이 올라가면서 경차보다 10배나 부가가치가 높은 대형차를 만드는 것이 자동차회사로서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프렌치카페카페믹스 마케팅전략분석과 프렌치카페카페믹스 브랜드분석및 향후방향
신한카드 마케팅전략분석과 신한카드 향후전략제안 - 신한카드 STP,SWOT,4P분석위주
크리스피크림 마케팅사례분석 및 크리스피크림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보고서
엔씨 소프트(NC Soft) 블레이드 앤 소울 (환경분석, STP분석, 마케팅분석, 4P, SWOT, 기대효...
좋은 식품, 좋은 생활 네슬레(Nestle) - 네슬레기업분석 및 마케팅전략,네슬레경영전략,네슬...
‘위스퍼’에 대한 소비자행동과 마케팅분석,위스퍼마케팅전략,P&G마케팅전략,피엔지,생리...
글로벌마케팅_난타의성공전략분석,난타마케팅,난타의해외진출
진에어(Jin Air) 기업 마케팅전략분석과 진에어 경영분석 및 진에어 단점극복위한 방안제안 (...
홀리카홀리카(Holika Holika) 브랜드분석 및 마케팅사례분석과 홀리카홀리카 새로운 마케팅전...
SKT (SK텔레콤 SK Telecom) 기업분석과 SKT 마케팅전략분석과 SKT 현 문제점과 해결방안 [ SK...
Global Marketing All about TESCO 테스코 기업분석과 테스코 글로벌마케팅전략분석및 테스코...
호텔경영 마케팅사례분석- DUPREE 듀프레호텔 마케팅전략 (발표대본첨부)
레진코믹스 (Lezhin Comics) 성공사례분석과 웹툰시장 현황분석 및 온라인 컨텐츠 마케팅사례...
자동차산업분석자동차시장자동차산업동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