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계 주요 촌락 형태의 유형별 분포
1) 집촌
2) 산촌
3) 반집촌
2. 촌락 형태와 자연환경과의 관계
1) 집촌
2) 산촌
3. 유럽 대륙의 촌락 형태별 기원과 발달
1) 집촌의 기원과 분포
2) 산촌의 기원과 분포
3) 반집촌의 기원과 분포
4. 민가 형태에 대한 환경의 영향
1) 건축 재료에 대한 자연환경의 영향
2) 평면 구성에 따른 민가 유형 분류
5. 유럽과 북미 대륙의 민가형태
1) 유럽 대륙의 건축 재료
2) 북미 대륙의 민가 형태
1) 집촌
2) 산촌
3) 반집촌
2. 촌락 형태와 자연환경과의 관계
1) 집촌
2) 산촌
3. 유럽 대륙의 촌락 형태별 기원과 발달
1) 집촌의 기원과 분포
2) 산촌의 기원과 분포
3) 반집촌의 기원과 분포
4. 민가 형태에 대한 환경의 영향
1) 건축 재료에 대한 자연환경의 영향
2) 평면 구성에 따른 민가 유형 분류
5. 유럽과 북미 대륙의 민가형태
1) 유럽 대륙의 건축 재료
2) 북미 대륙의 민가 형태
본문내용
유형
안뜰형은 외부로부터 폐쇄된 안뜰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건물들이 에워싸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유형은 비록 정도는 떨어지나 외부 세계에 대하여 폐쇄적인 상태에 있기는 통합형 민가와 같다.
③ 분산민가 유형
분산형은 농가 건물들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개방적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유형은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유럽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신대륙 국가인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집중되어 있다. 분산형은 화재의 위험이 많은 곳에서 발달하였다.
5. 유럽과 북미 대륙의 민가형태
1) 유럽 대륙의 건축 재료
민가를 만드는 가장 원시적인 건축 재료는 무엇보다 흙과 뗏장이었다. 이 재료들은 선사시대유럽 대륙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었다. 유럽대륙에서 지중해 연안의 크고 작은 반도 내부나 돌이 귀한 삼각주 평야지대에는 아직도 흙벽돌로 지은 민가들이 남아있다. 또 다른 원시적인 방법은 나뭇가지, 갈대, 골풀 줄기 등을 엮은 틀에 진흙을 발라서 건물의 벽면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은 아일랜드의 저지대, 프랑스의 벤데 습지, 루마니아의 평야지대 등지에서 과거에 상용되었다.
이에 반해 내구성이 강한 돌을 사용한 석조 가옥은 유럽 남부의 대부분 지역에서부터 북쪽으로 영국의 대서양 연안까지 분포한다.
목조 가옥은 유럽 북부와 동부, 즉 스칸디나비아 반도, 슬라브족 거주 구역, 유럽 중부의 구릉과 산지지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진흙을 가마에 구워 만든 벽돌은 북해 연안의 독일 저지대와 발트 해 연안에서 프랑스 북부까지 이르는 범위에서 지금도 전통적인 건축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반목조 가옥은 독일, 덴마크, 스웨덴 남부, 프랑스 북부의 노르망디와 알자스, 영국의 저지대 일부 지역에서 가장 보편적인 민가 유형이다. 이 유형은 두껍고 단단한 참나무 목재로 건물 골격을 만든 다음 그 사이를 나뭇가지로 엮고 거기에 진흙을 발라 벽면을 채우는 방식으로 완성된다.
2) 북미 대륙의 민가 형태
① 양키형 또는 뉴잉글랜드 유형
양키형은 전형적인 목조 가옥으로 간혹 지붕널(지붕을 이는 판자)이 외벽까지 덮는 형태를 하고 있다. 양키형은 평면 구성을 기준으로 수직 익벽 유형, 케이프코드 유형, 뉴잉글랜드 유형 등으로 분류된다.
② 오두막형 또는 미국 남부 유형
오두막형 민가 중 통나무집은 남부 고지대의 민가로 통나무를 서로 끼워 맞춰 지은 형태이다. 이러한 건축술은 식민지 개척 초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건너 온 이민자들이 델라웨어 강 하류 유역에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전형적인 통나무 오두막은 방 두 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화로가 설치되어 있는 유형과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유형은 속칭 '말 안장에 다는 주머니'와 '종종 걸음'이라고 한다.
남부 해안의 저지대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개발한 오두막형 민가는 전면에서 볼 때 가로는 방 한 칸, 세로는 방 2∼4칸의 크기를 가진 형태이다. 이 유형은 앞쪽 입구에서 엽총을 쏘면 총알이 그대로 뒤쪽 출구로 빠져나간다고 하여 속칭 '엽총'이라고 한다. 루이지애나 주에서 프랑스계 이민들이 개척한 곳에는 중앙에 굴뚝이 있고 현관이 건물 내부와 연결되는 특징이 있는 '크리올'이라는 유형의 오두막이 발달하였다.
③ 캐나다 유형
오늘날 캐나다 또한 미국에 버금갈 만큼 다양한 형태의 민가를 보전하고 있다. 특히 프랑어를 공용어로 하는 퀘벡 지방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민가 유형의 하나는 지하실 위로 본채가 있고 종 모양의 둥근 지붕 아래 다락방이 있는 형태이다.
또한 퀘벡 지방은 길고 추운 겨울에 견딜 수 있는 석조 가옥을 짓는데, 이러한 가옥 내부에는 여름에만 사용하는 부엌이 밀폐되어 있다. 퀘벡 지방의 서쪽에 있는 캐나다 고지대에는 '온타리오 농가'라고 하는 유형의 민가가 보편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유형의 농가는 대개 벽돌을 재료로 이용하여 1.5층의 높이로 지으며 박공벽의 정면에 창문이 외부로 돌출해 있는 것이 독특하다.
목 차
1. 세계 주요 촌락 형태의 유형별 분포
1) 집촌
2) 산촌
3) 반집촌
2. 촌락 형태와 자연환경과의 관계
1) 집촌
2) 산촌
3. 유럽 대륙의 촌락 형태별 기원과 발달
1) 집촌의 기원과 분포
2) 산촌의 기원과 분포
3) 반집촌의 기원과 분포
4. 민가 형태에 대한 환경의 영향
1) 건축 재료에 대한 자연환경의 영향
2) 평면 구성에 따른 민가 유형 분류
5. 유럽과 북미 대륙의 민가형태
1) 유럽 대륙의 건축 재료
2) 북미 대륙의 민가 형태
안뜰형은 외부로부터 폐쇄된 안뜰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건물들이 에워싸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유형은 비록 정도는 떨어지나 외부 세계에 대하여 폐쇄적인 상태에 있기는 통합형 민가와 같다.
③ 분산민가 유형
분산형은 농가 건물들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개방적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유형은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유럽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신대륙 국가인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집중되어 있다. 분산형은 화재의 위험이 많은 곳에서 발달하였다.
5. 유럽과 북미 대륙의 민가형태
1) 유럽 대륙의 건축 재료
민가를 만드는 가장 원시적인 건축 재료는 무엇보다 흙과 뗏장이었다. 이 재료들은 선사시대유럽 대륙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었다. 유럽대륙에서 지중해 연안의 크고 작은 반도 내부나 돌이 귀한 삼각주 평야지대에는 아직도 흙벽돌로 지은 민가들이 남아있다. 또 다른 원시적인 방법은 나뭇가지, 갈대, 골풀 줄기 등을 엮은 틀에 진흙을 발라서 건물의 벽면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은 아일랜드의 저지대, 프랑스의 벤데 습지, 루마니아의 평야지대 등지에서 과거에 상용되었다.
이에 반해 내구성이 강한 돌을 사용한 석조 가옥은 유럽 남부의 대부분 지역에서부터 북쪽으로 영국의 대서양 연안까지 분포한다.
목조 가옥은 유럽 북부와 동부, 즉 스칸디나비아 반도, 슬라브족 거주 구역, 유럽 중부의 구릉과 산지지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진흙을 가마에 구워 만든 벽돌은 북해 연안의 독일 저지대와 발트 해 연안에서 프랑스 북부까지 이르는 범위에서 지금도 전통적인 건축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반목조 가옥은 독일, 덴마크, 스웨덴 남부, 프랑스 북부의 노르망디와 알자스, 영국의 저지대 일부 지역에서 가장 보편적인 민가 유형이다. 이 유형은 두껍고 단단한 참나무 목재로 건물 골격을 만든 다음 그 사이를 나뭇가지로 엮고 거기에 진흙을 발라 벽면을 채우는 방식으로 완성된다.
2) 북미 대륙의 민가 형태
① 양키형 또는 뉴잉글랜드 유형
양키형은 전형적인 목조 가옥으로 간혹 지붕널(지붕을 이는 판자)이 외벽까지 덮는 형태를 하고 있다. 양키형은 평면 구성을 기준으로 수직 익벽 유형, 케이프코드 유형, 뉴잉글랜드 유형 등으로 분류된다.
② 오두막형 또는 미국 남부 유형
오두막형 민가 중 통나무집은 남부 고지대의 민가로 통나무를 서로 끼워 맞춰 지은 형태이다. 이러한 건축술은 식민지 개척 초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건너 온 이민자들이 델라웨어 강 하류 유역에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전형적인 통나무 오두막은 방 두 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화로가 설치되어 있는 유형과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유형은 속칭 '말 안장에 다는 주머니'와 '종종 걸음'이라고 한다.
남부 해안의 저지대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개발한 오두막형 민가는 전면에서 볼 때 가로는 방 한 칸, 세로는 방 2∼4칸의 크기를 가진 형태이다. 이 유형은 앞쪽 입구에서 엽총을 쏘면 총알이 그대로 뒤쪽 출구로 빠져나간다고 하여 속칭 '엽총'이라고 한다. 루이지애나 주에서 프랑스계 이민들이 개척한 곳에는 중앙에 굴뚝이 있고 현관이 건물 내부와 연결되는 특징이 있는 '크리올'이라는 유형의 오두막이 발달하였다.
③ 캐나다 유형
오늘날 캐나다 또한 미국에 버금갈 만큼 다양한 형태의 민가를 보전하고 있다. 특히 프랑어를 공용어로 하는 퀘벡 지방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민가 유형의 하나는 지하실 위로 본채가 있고 종 모양의 둥근 지붕 아래 다락방이 있는 형태이다.
또한 퀘벡 지방은 길고 추운 겨울에 견딜 수 있는 석조 가옥을 짓는데, 이러한 가옥 내부에는 여름에만 사용하는 부엌이 밀폐되어 있다. 퀘벡 지방의 서쪽에 있는 캐나다 고지대에는 '온타리오 농가'라고 하는 유형의 민가가 보편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유형의 농가는 대개 벽돌을 재료로 이용하여 1.5층의 높이로 지으며 박공벽의 정면에 창문이 외부로 돌출해 있는 것이 독특하다.
목 차
1. 세계 주요 촌락 형태의 유형별 분포
1) 집촌
2) 산촌
3) 반집촌
2. 촌락 형태와 자연환경과의 관계
1) 집촌
2) 산촌
3. 유럽 대륙의 촌락 형태별 기원과 발달
1) 집촌의 기원과 분포
2) 산촌의 기원과 분포
3) 반집촌의 기원과 분포
4. 민가 형태에 대한 환경의 영향
1) 건축 재료에 대한 자연환경의 영향
2) 평면 구성에 따른 민가 유형 분류
5. 유럽과 북미 대륙의 민가형태
1) 유럽 대륙의 건축 재료
2) 북미 대륙의 민가 형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