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수/침투수에 대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강우시 저장용량을 초과하여 운전하면 역류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강우사상에 따라 저류량 조절에 주의하여야 한다.
② Off-Line Storage
Off-Line Storage는 Near surface나 Deep-tunnel detention 설비 등을 건설하는 것을 의미한다. Near-surface 설비는 콘크리트 저류조와 처리설비로 유량을 운반하는 대형 암거로 이루어져 있다. Deep tunnel은 지하에 건설되므로 거대한 용량의 저류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혼잡한 도시지역에서 매우 유리하다. 강우동안에 발생한 월류수는 직접 저장설비로 유입되며, 강우 후에는 공공하수처리장으로 pumping하여 처리하므로 월류수의 양과 빈도를 감소시켜 준다.
(그림 2-3-2-1) In-Line Storage의 개념도
(그림 2-3-2-2) Off-Line Storage의 개념도
(2) CSOs 처리방안 수립시 고려사항
1) 고려인자
일반적으로 CSOs 관리방안은 방류선 수체의 수질보호를 위해 경제성, 기술적용의 타당성 등을 고려하여 배수유역의 지역특성에 맞는 최적의 방안이 선정되어야 하며, 처리수의 사용용도에 따라 소독(Disinfection), 저장/침전(Storage /Sedimentation), 여과(Screens & fine screens) 등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CSO 관리방안의 선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인자는 다음과 같다.
▣ 처리율(Percent capture)-전체 월류발생 유량에 대한 처리유량의 분열
▣ 목표처리수질 - 사용목적 등을 고려한 목표수질
▣ 월류발생 빈도 및 월류량 - 년 간 월류수 발생 빈도 및 양의 조사 등이 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부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합류식 관거내부 및 월류수 발생 유역의 수리·수문학적 특성조사
-월류수 발생 지점(월류조절장치)의 구조적 특성 조사
-월류발생 지점의 첨두 유량 산정
-처리시설 설치를 위한 가용공간 조사
-월류발생 지역 방류선의 수질조사 및 이수용도
-월류수의 수질, 유량변화 조사
-강우사상조사
이외에도 지역 여건, 처리 목표 및 경제성 등을 최종적으로 고려하여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상수처리공정
1. 혼합 과 응집(Mixing and Flocculation)
상수처리시의 화학반응조와 생물학적 폭기조에서는 적절한 반응들을 제공하고 현탁액에서 고형물들을 침전되지 않게 유지하면서 혼합되어야 한다. 급속 혼합조는 화학물질들이 고형물들을 침전되지 않게 유지시키면서 혼합되어져야 한며, 완속교반조에서 플록과 고형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침전지에서의 침전에 의해 고형물과 물이 분리되어진다.
·유입구와 유출구 설계는 단회로와 플로파괴방지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적정한 유속이 확보되어야 하고 플록형성을 취한 체류시간이 적어도 30분이상 되어야 한다.
·적정한 교반기로 고속교반과 완속교반을 수행하여야 한다.
·응집반응조와 침전조는 가까운곳에 위치하여야 하며, 흐름방향에 따른 난류발생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Baffle은 소규모처리장에서 응집을 돕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2. 침전(Sedimentation)
침전은 중력에 의해 부유물로부터 고형물들을 제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적용은 화학처리 후 응집된 불순물들과 침전물들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3. 여과(Filtration)
여과는 상수와 폐수를 공극물질에 여과시킴으로서 비침강성 물질들이 폐수로부터 분리하는 데 사용되어진다. 가장 보편적인 구조는 입자상 물질층에 통과시키는 것인데, 보통 굵은 안트라사이트층과 그 밑부분에 가는 모래의 여과층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일반적인다.
·사(모래)여과
·활성탄여과
·멤브레인 여과
활성슬러지 및 고도처리공정에 의한 폐수처리실험
표준활성슬러지법은 100년이상의 역사를 가진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도시하수의 처리나 공장폐수처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표준 활성슬러지법의 경우 폐수중의 유기물 제거는 양호한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지만,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처리에 있어 어려운 점이 있음으로 호기조로 구성된 반응조를 혐기-무산소-호기 패턴으로 반응조를 구성하여 부영양화의 원인 물질인 질소, 인을 동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처리공법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표준활성슬러지 공법에서 고도처리공법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수는 사람의 분변성 물질과 음식쓰레기, 세척수 그리고 기타 물질들을 포함하는 가정 폐기물로 구성되고 도시하수 내에 포함된 일부 산업폐수는 그 지역에 따라 구성성분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수 처리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처리되어진다.
1) 1차 처리로서 전처리
·도시하수처리
도시하수 처리의 경우 1차 스크린에서 큰 고형물들이 걸러지고 1차 침사지에서 그릿이나 모래와 같은 침전성이 양호한 물질 및 무거운 부유 유기물 성분이 제거가 된다. 일반적인 하수처리시설에서의 1차 침전지의 처리효율은 30-40%정도의 유기물과 20-30%의 영양염류가 제거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생물학적 처리
① 표준활성슬러지법
단일 완전혼합반응조로 구성된 호기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응조의 pH는 6.0∼8.5의 범위에서 운전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호기조의 DO는 1∼3.5mg/l의 범위에서 운전되어진다.
반응조에서의 유기물질 질소태를 살펴보면 유기물은 미생물의 호흡과정에 의해 분해되어 CO2와 H2O로 변화되며, 질소의 경우 총질소의 90%를 차지하는 암모니아성질소가 질산성질소로 변화되는 공정을 갖는다.
② 고도처리공법
·A2/O 공법 계열
그림 DNR Process 모식도
·SBR 공법 계열
·막 및 담체처리공법 계열
3) 최종 처리로서의 고도처리/여과를 포함하는 몇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멤브레인 여과
·활성탄 및 사여과
·오존처리
·염소처리
·제오라이트 처리
반응조 운전시 고려해야할 사항
1. 반응조 운전 시 매일 조사할 사항
·온도
·pH
·MLSS
·DO
·F/M Ratio = BOD·Q / MLSS·V
·SRT =
{ 포기조 내 슬러지량} over {잉여슬러지량 + 방류수중 슬러지량 }
=
{ V·X} over {Qw·Xr + Q·Xe}
·유입 및 유출수질 농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4.06.1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