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백만분의 1)단위 이하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심리적인 영향 또는 미미한 생리적 피해만을 나타낼 뿐 높은 농도로서 장기간의 폭로가 아니면 크게 문제 시 되고 있지 않음. 악취물질의 최소감지값은 표 3.15.2와 같다.
2) 고농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악취물질로서 보다는 유해가스로 취급하여 별도로 각 유해물질에 따른 배출허용기준을 법으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다.
3) 악취에 의한 인체 영향은 주로 감각적인 것으로 불쾌감, 혐오감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눈이나 호흡기계 점막의 자극, 혈압이나 맥박의 변화 등을 일으킨다.
4) 악취로 취급되는 물질들은 대부분 저농도이므로 생리적으로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식욕감퇴, 구토, 두통, 불면, 앨러지증상 등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심리적 영향에 의한 정서생활의 방해, 작업능률의 저하뿐만 아니라 그 지역사회주민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고 식당, 숙박업 등 서비스업의 부진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표 3.15.1 주요 화학물질의 최소감지값
화 합 물
ppm
화 합 물
ppm
Ammonia
0.1
Formaldehyde
0.50
Methyl mercaptane
0.0001
Acrolein
0.0085
Hydrogen sulfide
0.0005
Acrylonitrile
8.8
Dimethyl sulfide
0.0001
Methanol
0.52
Dimethyl disulfide
0.0003
Dimethylamine
0.033
Trimethylamine
0.0001
Methylamine
0.035
Acetaldehyde
0.002
Acetic acid
0.0057
Propionaldehyde
0.002
Benzene
2.7
n-Butylaldehyde
0.0003
Phenol
0.00028
i-Butylaldehyde
0.0009
Carbon disulfide
0.21
n-Valeraldehyde
0.0007
Pyridine
0.063
i-Valeraldehyde
0.0002
Methyl alkyl sulfide
0.00014
i-Butanol
0.01
Carbon tetrachloride
4.6
Ethyl acetate
0.3
Chloroform
3.8
Methyl isobutyl ketone
0.2
Indole
0.00030
Toluene
0.9
Skatole
0.0000056
Stylene
0.03
Ethyl benzene
0.17
o-Xylene
0.38
1,3-Butadiene
0.23
m-Xylene
0.041
Diethyl sulfide
0.000033
p-Xylene
0.058
Ethanol
0.094
Propionic acid
0.002
Ethyl acryrate
0.00026
n-Butyric acid
0.00007
Ethyl mercaptan
0.0000087
n-Valeric acid
0.0001
Methyl ethyl ketone
0.44
i-Valeric acid
0.00005
Sulfur dioxide
0.055
1,2,4-Trimethyl benzene
0.12
Nitrogen dioxide
0.12
1,3,5-Trimethyl benzene
0.17
Methyl acetate
1.7
Acetone
42
Ethyl acetate
0.87
Dichloromethane
160
i-Butyl acetate
0.0080
Trichloroethylene
3.9
o-Cresol
0.00010
Tetrachloroethylene
0.77
m-Cresol
0.000054
바. 악취제거 방법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악취물질을 분리 또는 파괴시키는 방법으로 산화법, 효소분해법 및 흡착법등이 있고 단순히 악취를 은폐시키는 방법인 소위 마스킹법이 있다.
· 산화법은 악취물질을 산화, 분해하고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등에 대한 광범위한 살균효과로 악취를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이 산화제의 종류로는 이산화염소(두오존), 차아염소산소다(락스) 및 이산화염소산염 등이 있다.
· 효소분해법은 식물엑기스를 추출하여 만든 탈취제로 냄새를 분해하는 작용이 있다고 하나 구체적인 성분 및 작용원리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 흡착법은 활성탄등 표면적이 큰 흡착제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법.
· 마스킹법은 천연 또는 인공향을 메틸알콜등 휘발성이 강한 용제에 녹인 후 대기중에 휘산시켜 악취를 은폐시키지는 못하나 감각적인 악취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2) 고농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악취물질로서 보다는 유해가스로 취급하여 별도로 각 유해물질에 따른 배출허용기준을 법으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다.
3) 악취에 의한 인체 영향은 주로 감각적인 것으로 불쾌감, 혐오감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눈이나 호흡기계 점막의 자극, 혈압이나 맥박의 변화 등을 일으킨다.
4) 악취로 취급되는 물질들은 대부분 저농도이므로 생리적으로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식욕감퇴, 구토, 두통, 불면, 앨러지증상 등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심리적 영향에 의한 정서생활의 방해, 작업능률의 저하뿐만 아니라 그 지역사회주민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고 식당, 숙박업 등 서비스업의 부진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표 3.15.1 주요 화학물질의 최소감지값
화 합 물
ppm
화 합 물
ppm
Ammonia
0.1
Formaldehyde
0.50
Methyl mercaptane
0.0001
Acrolein
0.0085
Hydrogen sulfide
0.0005
Acrylonitrile
8.8
Dimethyl sulfide
0.0001
Methanol
0.52
Dimethyl disulfide
0.0003
Dimethylamine
0.033
Trimethylamine
0.0001
Methylamine
0.035
Acetaldehyde
0.002
Acetic acid
0.0057
Propionaldehyde
0.002
Benzene
2.7
n-Butylaldehyde
0.0003
Phenol
0.00028
i-Butylaldehyde
0.0009
Carbon disulfide
0.21
n-Valeraldehyde
0.0007
Pyridine
0.063
i-Valeraldehyde
0.0002
Methyl alkyl sulfide
0.00014
i-Butanol
0.01
Carbon tetrachloride
4.6
Ethyl acetate
0.3
Chloroform
3.8
Methyl isobutyl ketone
0.2
Indole
0.00030
Toluene
0.9
Skatole
0.0000056
Stylene
0.03
Ethyl benzene
0.17
o-Xylene
0.38
1,3-Butadiene
0.23
m-Xylene
0.041
Diethyl sulfide
0.000033
p-Xylene
0.058
Ethanol
0.094
Propionic acid
0.002
Ethyl acryrate
0.00026
n-Butyric acid
0.00007
Ethyl mercaptan
0.0000087
n-Valeric acid
0.0001
Methyl ethyl ketone
0.44
i-Valeric acid
0.00005
Sulfur dioxide
0.055
1,2,4-Trimethyl benzene
0.12
Nitrogen dioxide
0.12
1,3,5-Trimethyl benzene
0.17
Methyl acetate
1.7
Acetone
42
Ethyl acetate
0.87
Dichloromethane
160
i-Butyl acetate
0.0080
Trichloroethylene
3.9
o-Cresol
0.00010
Tetrachloroethylene
0.77
m-Cresol
0.000054
바. 악취제거 방법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악취물질을 분리 또는 파괴시키는 방법으로 산화법, 효소분해법 및 흡착법등이 있고 단순히 악취를 은폐시키는 방법인 소위 마스킹법이 있다.
· 산화법은 악취물질을 산화, 분해하고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등에 대한 광범위한 살균효과로 악취를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이 산화제의 종류로는 이산화염소(두오존), 차아염소산소다(락스) 및 이산화염소산염 등이 있다.
· 효소분해법은 식물엑기스를 추출하여 만든 탈취제로 냄새를 분해하는 작용이 있다고 하나 구체적인 성분 및 작용원리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 흡착법은 활성탄등 표면적이 큰 흡착제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법.
· 마스킹법은 천연 또는 인공향을 메틸알콜등 휘발성이 강한 용제에 녹인 후 대기중에 휘산시켜 악취를 은폐시키지는 못하나 감각적인 악취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