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재담(wit)과 익살(farce)에 대한 이해
2.The Way of the World에 나타난 wit와 farce
3.왕정복고시대희극의 특징
2.The Way of the World에 나타난 wit와 farce
3.왕정복고시대희극의 특징
본문내용
요소만을 지닌 극은 관객에게 계속적인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 세련된 wit와 farce가 잘 섞여진 극은 영구적인 인상을 관객에게 심어주며 훌륭한 극적인 꽃을 피우게한다. 어쨌든 왕정복고 시대 희극을 도덕, 부도덕이라는 특성으로 논하기 전에 또한 난봉꾼들의 wit의 진수에 찬사를 보낸다든지 남자들의 저속한 욕정에 이맛살을 찌푸리기 이전에 익살스런 장면을 보는 동안 낄낄대고 웃으며 재담에 찬 장면을 보는 동안 웃음지어 보면 어떨른지, 왜냐면 세상은 결국 희극적이라 생각하면 희극이 되기 때문이니까.
이처럼 왕정복고 시대 희극은 비도덕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다 할지라도 이 극들을 읽어나가면서 익살스런 장면에 접하여서는 마음껏 웃지 않을 수 없고 재치있는 장면에 이르러서는 미소를 짓지 않을 수 없게 되는것이다
이처럼 왕정복고 시대 희극은 비도덕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다 할지라도 이 극들을 읽어나가면서 익살스런 장면에 접하여서는 마음껏 웃지 않을 수 없고 재치있는 장면에 이르러서는 미소를 짓지 않을 수 없게 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