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아지리스 (Chris Argyris)
1. 집단행동적 연구법
- 블레이크 (Robert R. Blake)
1. 부문이나 소집단의 능률은 소집단의 리더인 관리자
2. 블레이크의 매니지리얼그리드
3. P M 이론
4. 요약
- 처치맨 (C.West Churchman)
1. 오페레이션즈 리서어치의 발전
2. 수량적 관리시굴의 기초로서의 필요
3. PERT의 전개
4. 영국경영학의 특징
- 달 (Ernest Dale)
1. 경험 또는 사례 연구법
2. 슬라이딩 스케일
3. 구체적인 예
4. 생계비의 변동
- 데이비스 (Keith Davis)
1. 데이비스의 견해
2. 개인의 차이
3. 인간의 존엄
4. 인간관계이론의 기본개념
1. 집단행동적 연구법
- 블레이크 (Robert R. Blake)
1. 부문이나 소집단의 능률은 소집단의 리더인 관리자
2. 블레이크의 매니지리얼그리드
3. P M 이론
4. 요약
- 처치맨 (C.West Churchman)
1. 오페레이션즈 리서어치의 발전
2. 수량적 관리시굴의 기초로서의 필요
3. PERT의 전개
4. 영국경영학의 특징
- 달 (Ernest Dale)
1. 경험 또는 사례 연구법
2. 슬라이딩 스케일
3. 구체적인 예
4. 생계비의 변동
- 데이비스 (Keith Davis)
1. 데이비스의 견해
2. 개인의 차이
3. 인간의 존엄
4. 인간관계이론의 기본개념
본문내용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경제적 봉사주의 철학은 사회복지 향상 및 생활의 질의 향상, 지적 이기주의철학의 경우는 사회질서존중 및 사회가치의 수용, 그리고 적극적 동기부여의 철학은 공정배분 및 이윤의 도덕성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개인의 차이
데이비스에 의하면 인간관계는 개인으로부터 출발하고 개인 작자는 각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전제되고 있다. 즉, 개인은 각자가 자기의 고유한 신체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식과 기술, 취미와 관심, 그리고 성격과 가치관 등 여러 면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은 주어진 상황하에서도 각기 다른 능도를 보이고 다른 행동을 취함으로써 행동상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상의 차이가 개인의 성과는 물론 나아가서는 조직체의 성과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3. 인간의 존엄
데이비스의 견해에 따르면 모든 개개인들은 존경과 존엄으로써 대해 주기를 바라는 요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 각자는 각기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각자의 책임의 범위내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자유라고 인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관계의 도덕적 기초이며, 원래 종교개념에서 온 것이다.
인간관계의 원리는 이와 같은 인간의 존엄을 그의 기초적 개념으로서 용인하고 있으며, 그것은 오늘날 민주주의 기본원리이기도 하다. 만일 인간이 동물과 같이 취급된다고 하면, 그 곳에는 어떠한 인간관계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인간이 존엄의 이념은, 곧 하나의 완전한 인간이 고용되고 있는 것이지 그의 육체적 힘 또는 그의 기능만이 고용되고 있다고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존엄이란 전부가 경영자에 의하여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어느 정도까지는 적당한 환경속에서 노동자의 개인적 성장에 의하여 그들 자신의 힘으로 획득되어야 한다.
4. 인간관계이론의 기본개념
조직이 인간에 의해 구성되는 이상 직무를 중심으로 한 제제도적 측면에 못지 않게 그 이상의 관심을 인간행동의 요인이라는 인간적 측면에 기울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므로 조직속의 사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집단속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인간의 행동과 그 특성도 아울러 분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데이비스에 의하면
1) 동기부여
2) 개인의 차이
3) 상호이해
4) 인간의 존엄
등 네 가지를 인간관계의 기초개념으로 들고 있다.
2. 개인의 차이
데이비스에 의하면 인간관계는 개인으로부터 출발하고 개인 작자는 각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전제되고 있다. 즉, 개인은 각자가 자기의 고유한 신체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식과 기술, 취미와 관심, 그리고 성격과 가치관 등 여러 면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은 주어진 상황하에서도 각기 다른 능도를 보이고 다른 행동을 취함으로써 행동상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상의 차이가 개인의 성과는 물론 나아가서는 조직체의 성과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3. 인간의 존엄
데이비스의 견해에 따르면 모든 개개인들은 존경과 존엄으로써 대해 주기를 바라는 요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 각자는 각기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각자의 책임의 범위내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자유라고 인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관계의 도덕적 기초이며, 원래 종교개념에서 온 것이다.
인간관계의 원리는 이와 같은 인간의 존엄을 그의 기초적 개념으로서 용인하고 있으며, 그것은 오늘날 민주주의 기본원리이기도 하다. 만일 인간이 동물과 같이 취급된다고 하면, 그 곳에는 어떠한 인간관계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인간이 존엄의 이념은, 곧 하나의 완전한 인간이 고용되고 있는 것이지 그의 육체적 힘 또는 그의 기능만이 고용되고 있다고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존엄이란 전부가 경영자에 의하여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어느 정도까지는 적당한 환경속에서 노동자의 개인적 성장에 의하여 그들 자신의 힘으로 획득되어야 한다.
4. 인간관계이론의 기본개념
조직이 인간에 의해 구성되는 이상 직무를 중심으로 한 제제도적 측면에 못지 않게 그 이상의 관심을 인간행동의 요인이라는 인간적 측면에 기울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므로 조직속의 사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집단속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인간의 행동과 그 특성도 아울러 분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데이비스에 의하면
1) 동기부여
2) 개인의 차이
3) 상호이해
4) 인간의 존엄
등 네 가지를 인간관계의 기초개념으로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