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어웍 (L.Urwick)
1. 어웍의 경영학
2. 어웍의 경영관리의 전체 해명
- 우드워드 (J. Woodward)
1. 기술과 조직구조간에는 적극적인 관계
2. 구조 및 관리체계와의 관계
3. 요약
- 오우치 (Wilham Ouchi)
1. 오우치교수
2. 맥그리거교수가 분류한 X 이론
3. 오우치
4. Z이론의 내용
5. Z이론의 13가지 이행단계
6. Z이론의 요약
- 이면우
1. 신바람이론(W이론)의 문제제기
2. 신바람이론의 실체
3. 이면우교수의 W이론을 만든 배경
4. 이면우교수가 확신을 굳히게된 경험사례
5. 경험사례에서 얻어진 공통적인 문제점
6. 요약
1. 어웍의 경영학
2. 어웍의 경영관리의 전체 해명
- 우드워드 (J. Woodward)
1. 기술과 조직구조간에는 적극적인 관계
2. 구조 및 관리체계와의 관계
3. 요약
- 오우치 (Wilham Ouchi)
1. 오우치교수
2. 맥그리거교수가 분류한 X 이론
3. 오우치
4. Z이론의 내용
5. Z이론의 13가지 이행단계
6. Z이론의 요약
- 이면우
1. 신바람이론(W이론)의 문제제기
2. 신바람이론의 실체
3. 이면우교수의 W이론을 만든 배경
4. 이면우교수가 확신을 굳히게된 경험사례
5. 경험사례에서 얻어진 공통적인 문제점
6. 요약
본문내용
욕구를 만족시킴으로써, 독점시장을 구축하자는 연구 접근방법이다.
2) 80여명의 여자 작업자들과 같이 일을 하면서, 이 작업자들은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그 회상의 경영진으로부터는 끊임없이 생산성 향상을 가요당하며, 초기에는 우리팀이 공장출입조차도 원치 않은 부정적인 분위기였다. 한동안 이들과 같이 지내며, 생산성과 관련된 연구는 하지 않을 테니 작업장 환경만이라도 개선하자고 하여 이들과 같이 일하게 되었다. 작업장 환경을 개선하고 나서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가동을 하였더니, 작업이 시작된지 2시간 만에 생산성이 60%나 향상되었다. 작업환경이 개선된 것에 기분이 좋아진 작업자들이 각자 평소에 알고 있는 개선방법을 자발적으로 생산성을 높여주었던 것이다.
3) 어려움이 많은 중소기업에서 경험한 귀중한 성공사례 ; 기타를 만드는 공정 가운데는 코드를 잡는 부분에 음쇠를 박는 작업과정이 있다. 이 작업은 그 공정의 생산량이 전체 생산량을 좌우하였던 애로공정이었다. 처음에는 대화조차 회피하던 40대 초반의 반장과 8명의 10대 여자 작업자들이 함께 350%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다. 미국 출장가는 길에 그곳의 옛지도교수에게 들러 350% 생산성이 향상된 이야기를 자랑삼아 했더니, 그분은 의심스러운 표정으로 무슨기법을 적용했느냐고 묻는데, 시원스럽게 대답을 못했다. 돌아오는 길에 되짚어 생각해 보니, 작업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업자들과 음쇠를 박는 작업을 직접했는데, 미숙하여 손가락을 자주 다치는 것을 보고 작업자들이 우리들을 측은하게 여긴 나며지, 우리편이 되어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개선이 이루어졌던 것 같다.
4) 1985년 무렵, 자동차 운전석에 컴퓨터를 니장하고 운전자의 인체 특성을 컴퓨터가 계산하여 자동으로 가장 안락한 자세를 제공해 주는 첨단 운전석을 개발한 적이 있다. 세계 최초의 시도였다. 여러 차례 어려운 고비가 있었다. 기업에서 파견된 전문기술들이 성공 가능성이 없다고 모두 철수한 후에, 학력이 확실하지 않은 중소기업 기능공 3명과 공구라고는 처음 만져보는 대학원생 2명과 같이 개발을 시도, 마침내 성공하였다.
5. 경험사례에서 얻어진 공통적인 문제점
1) 그 어느 경우에도 그토록 든든히 여기던 전공이론이나 전문지식은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생각보다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2) 구성원의 유대감이 형성되기 전에 진행되었던 업무는 예외없이 부진하였다.
3) 공동노력의 분위기가 조성되면 항상 급속한 작업 진전이 이루어졌으며,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창의적인 시행착오가 기대 이상의 좋은 결과를 낸다는 점이었다.
6. 요약
우리만큼 평등정신에 투철한 민족도 없을 것이다. 어려운 일일수록 참여자 전원의 공생공사의 정신이 확인되어야 비로소 지도자의 기능적인 역할이 생긴다. 이와 같은 모든 전제조건이 만족되고 나서야 신바람이 났다. 신아나서 한 일은 실패한 적이 없었다. 아직 W이론은 없다. 그러나 각계각층의 경험과 지혜를 모아 W이론이 그 뚜렷한 형체를 갖추고, 이를 통해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람.
2) 80여명의 여자 작업자들과 같이 일을 하면서, 이 작업자들은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그 회상의 경영진으로부터는 끊임없이 생산성 향상을 가요당하며, 초기에는 우리팀이 공장출입조차도 원치 않은 부정적인 분위기였다. 한동안 이들과 같이 지내며, 생산성과 관련된 연구는 하지 않을 테니 작업장 환경만이라도 개선하자고 하여 이들과 같이 일하게 되었다. 작업장 환경을 개선하고 나서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가동을 하였더니, 작업이 시작된지 2시간 만에 생산성이 60%나 향상되었다. 작업환경이 개선된 것에 기분이 좋아진 작업자들이 각자 평소에 알고 있는 개선방법을 자발적으로 생산성을 높여주었던 것이다.
3) 어려움이 많은 중소기업에서 경험한 귀중한 성공사례 ; 기타를 만드는 공정 가운데는 코드를 잡는 부분에 음쇠를 박는 작업과정이 있다. 이 작업은 그 공정의 생산량이 전체 생산량을 좌우하였던 애로공정이었다. 처음에는 대화조차 회피하던 40대 초반의 반장과 8명의 10대 여자 작업자들이 함께 350%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다. 미국 출장가는 길에 그곳의 옛지도교수에게 들러 350% 생산성이 향상된 이야기를 자랑삼아 했더니, 그분은 의심스러운 표정으로 무슨기법을 적용했느냐고 묻는데, 시원스럽게 대답을 못했다. 돌아오는 길에 되짚어 생각해 보니, 작업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업자들과 음쇠를 박는 작업을 직접했는데, 미숙하여 손가락을 자주 다치는 것을 보고 작업자들이 우리들을 측은하게 여긴 나며지, 우리편이 되어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개선이 이루어졌던 것 같다.
4) 1985년 무렵, 자동차 운전석에 컴퓨터를 니장하고 운전자의 인체 특성을 컴퓨터가 계산하여 자동으로 가장 안락한 자세를 제공해 주는 첨단 운전석을 개발한 적이 있다. 세계 최초의 시도였다. 여러 차례 어려운 고비가 있었다. 기업에서 파견된 전문기술들이 성공 가능성이 없다고 모두 철수한 후에, 학력이 확실하지 않은 중소기업 기능공 3명과 공구라고는 처음 만져보는 대학원생 2명과 같이 개발을 시도, 마침내 성공하였다.
5. 경험사례에서 얻어진 공통적인 문제점
1) 그 어느 경우에도 그토록 든든히 여기던 전공이론이나 전문지식은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생각보다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2) 구성원의 유대감이 형성되기 전에 진행되었던 업무는 예외없이 부진하였다.
3) 공동노력의 분위기가 조성되면 항상 급속한 작업 진전이 이루어졌으며,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창의적인 시행착오가 기대 이상의 좋은 결과를 낸다는 점이었다.
6. 요약
우리만큼 평등정신에 투철한 민족도 없을 것이다. 어려운 일일수록 참여자 전원의 공생공사의 정신이 확인되어야 비로소 지도자의 기능적인 역할이 생긴다. 이와 같은 모든 전제조건이 만족되고 나서야 신바람이 났다. 신아나서 한 일은 실패한 적이 없었다. 아직 W이론은 없다. 그러나 각계각층의 경험과 지혜를 모아 W이론이 그 뚜렷한 형체를 갖추고, 이를 통해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