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구의 용어
2. 운동의 영향
ㄱ. 운동이 근육계에 미치는 영향
ㄴ. 운동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ㄷ. 운동이 호흡계에 미치는 영향
ㄹ. 운동이 순환계게 미치는 영향
2. 운동의 영향
ㄱ. 운동이 근육계에 미치는 영향
ㄴ. 운동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ㄷ. 운동이 호흡계에 미치는 영향
ㄹ. 운동이 순환계게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들어 봅시다. 이 경기자는 안정시 매분 3 의 산소를 사용한나, 운동중에는 40 를 사용한다면 약 13.3배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렇게 다량의 산소를 수반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인자가 관계된다. 첫째, 심박수의 증가(혈류의 속도증가) 둘째, 모세혈관을 통하는 사이에 단위용적의 혈액에서 섭취되는 산소량의 증가, 셋째, 박출량의 증가.
심박수는 증가하더라도 2배 반 이상은 증가하지 않으며, 산소이용률은 3배 이상은 증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2개의 인자의 복합효과는 2.5 3=7.5배, 13.3배로 산소를 소비할 때 박출량의 변화는 13.3 7.5=1.8배로 증가함. 안정시의 박출량은 65㏄이므로 운동중에는 117㏄=65 1.8, 만일 경기자가 심한 운동에서 매분 박출량이 30~40 이고, 심박수가 180이라면 박출량은 167~222㏄가 된다고 한다. 급격한 운동은 서서히 운동하는 경우보다 박출량의 증가는 현저하다. 즉, 1초에 1회 tempo로 우측의 대퇴를 굴곡하는 운동을 할 때 매분 산소소비량은 256㏄에서 4300㏄로 상승하고, 매분 박출량은 4.2 에서 7.2 로 증가한다. 그러나 양쪽의 대퇴를 교대하면서 2초에 1회의 템포로 굴곡하는 운동을 하면 산소 소비량은 거의 같은 정도, 즉 428㏄로 상승하고, 매분 박출량은 5.1 로 증가되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매분 박출량의 증가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심장으로 혈액을 환류하는 근의 펌프작용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며, 매분 박출량의 증가 원인은 동맥압의 상승과 심장의 이완기의 심장내 혈액량의 증가이다.
심박수는 증가하더라도 2배 반 이상은 증가하지 않으며, 산소이용률은 3배 이상은 증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2개의 인자의 복합효과는 2.5 3=7.5배, 13.3배로 산소를 소비할 때 박출량의 변화는 13.3 7.5=1.8배로 증가함. 안정시의 박출량은 65㏄이므로 운동중에는 117㏄=65 1.8, 만일 경기자가 심한 운동에서 매분 박출량이 30~40 이고, 심박수가 180이라면 박출량은 167~222㏄가 된다고 한다. 급격한 운동은 서서히 운동하는 경우보다 박출량의 증가는 현저하다. 즉, 1초에 1회 tempo로 우측의 대퇴를 굴곡하는 운동을 할 때 매분 산소소비량은 256㏄에서 4300㏄로 상승하고, 매분 박출량은 4.2 에서 7.2 로 증가한다. 그러나 양쪽의 대퇴를 교대하면서 2초에 1회의 템포로 굴곡하는 운동을 하면 산소 소비량은 거의 같은 정도, 즉 428㏄로 상승하고, 매분 박출량은 5.1 로 증가되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매분 박출량의 증가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심장으로 혈액을 환류하는 근의 펌프작용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며, 매분 박출량의 증가 원인은 동맥압의 상승과 심장의 이완기의 심장내 혈액량의 증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