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육상경기란?
II. 육상경기란?
III. 육상경기의 종류
IV. 맺음말
II. 육상경기란?
III. 육상경기의 종류
IV. 맺음말
본문내용
(1) 자세
윗몸을 앞으로 12~16.로 기울여 추진력을 유지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발은 다리의 근육이 골고루 움직이도록 땅바닥과 평행하게 내려딛는 것이 좋다. 호흡은 처음에는 코로 숨을 쉬고 오래 달림에 따라 입으로 숨을 쉬게 된다. 달리는 리듬에 맞춰 규칙 적으로 숨을 쉬되 일반적으로 2,3보에 한번 들이쉬고 다시 2,3보에 한번 내쉰다.
(2) 규칙
경기 참가 신청자는 의사의 건강 진단서를 경기 전 30일 이내에 발급 받아 제출해야 한다. 맨발이 허용되는 유일한 육상경기이다.
나. 경보
육상의 모든 종목이 달리거나 뛰는 운동인데 비해 경보 경기는 걷는 경기이다. 경보 경기는 한쪽 발이 땅에서 떨어지기 전에 다른 발이 땅에 닫게 하여 빨리 앞으로 나가는 경기로 트랙과 도로에서 벌어진다. 경보 경기는 1908년 제4회 런던 올림픽대회에서 처음 정식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km, 50km 경기가 있다.
(1) 경기 방법
선수는 출발 10초 전에 심판의 "제자리에" 신호에 따라 출발 준비를 하고 다음 신호에 스탠딩 스타트로 출발한다. 발걸음마다 선수의 뒷발이 땅에서 떨어지기 전에 앞발이 땅에 닿아야 한다. 한쪽 발이 땅에 닿아 있을 때 땅에 닿은 다리는 적어도 한 순간은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수직으로 곧게 편 상태여야 한다
(2) 규칙
허벅다리를 너무 들어올리거나 팔을 너무 심하게 흔들거나 또는 전혀 흔들지 않을 경우에는 주의를 받게 된다. 또 윗몸의 중심이 잡히지 않고 사방으로 흔들리거나 발 뒤끝으로 착지할 때 발끝을 굽히는 각도가 작을 때에도 주의를 받는다. 경기 중 위반 사항에 대해 2회 이상 주의를 받으면 실격이 된다. 트랙 경기에서 실격되면 즉시 퇴장해야 하고 도로 경기에서 실격되면 경기자의 번호표를 떼어 낸다. 이 밖에 도로 경기를 할 때에는 5km마다 관문을 설치하고 20km 이상의 경기에는 음식물을 준비한다.
4. 혼성경기
선수 혼자서 달리고 뛰고 던지는 종목을 하는 경기이다. 5종 경기, 7종 경기, 10종 경기로 나눈다. 특히 올림픽대회와 국제경기에서는 남자는 10종 경기를 여자는 7종 경기를 한다.
가. 방법
남자10종 경기는 2일에 걸쳐 하는데 제1일에는 100m달리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높이뛰기, 400m달리기 5종목을 제2일에는 110m허들, 원반던지기, 장대높이뛰기, 창던지기, 1500m달리기 5종목을 치른다.
여자7종 경기는 제1일에는 100m허들,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200m달리기, 4종목을 제2일에는 멀리뛰기 창던지기 800m달리기 3종목을 치른다.
나. 규칙
경기가 하루만에 끝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종목의 순서를 바꿀 수 없다. 한 종목을 끝내고 다음 종목을 할 때까지는 최소한 30분의 휴식 시간을 둔다. 또한 어느 한 종목이라도 시기하지 않았거나 또는 1회도 시기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다음 종목에 참가할 수 없으며 기권한 것으로 본다.
IV. 맺음말
지금까지 육상경기의 의의와 역사 그리고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국 육상경기는 달리고 뛰고 던지는 것으로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발전해왔고 우리의 생활에 깊게 자리잡고 있는 운동 종목이다. 이러한 육상은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육상은 다른 육상선진국의 과학적인 지도방법에 비해 비과학적이고 시대에 뒤떨어 저 있고 국민들의 관심도 다른 인기종목에 비해 낙후된 실정이다. 이런 한 육상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낡은 방식과 비과학적인 방법을 버리고 새로운 방법으로 과학적이고 보다 체계적인 계획으로 육상경기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민들의 관심 없이는 많은 발전을 하기 어려우므로 육상경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어렵고 힘들고 재미없는 운동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흥미 있고 재미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종목이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바꾸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마라톤은 지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처럼 다른 육상 종목도 생활의 필요성과 건강의 좋은 점등을 알리고 발전 시켜 실생활에서 육상경기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남상남, 최창국, 남청웅, 김일곤, 안정춘 [< 상경기 아카데미> 대경북스>
이광섭, 최영근, 박철빈 [<체육I> 두산]
김동진, 정철수, 이애주, 전태원 [<체육> 금성출판사]
[<최신 학생 대백과 사전> 학원출판공사]
Internet realace.ohmyportal.com
Internet jeongkil.hihome.com
윗몸을 앞으로 12~16.로 기울여 추진력을 유지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발은 다리의 근육이 골고루 움직이도록 땅바닥과 평행하게 내려딛는 것이 좋다. 호흡은 처음에는 코로 숨을 쉬고 오래 달림에 따라 입으로 숨을 쉬게 된다. 달리는 리듬에 맞춰 규칙 적으로 숨을 쉬되 일반적으로 2,3보에 한번 들이쉬고 다시 2,3보에 한번 내쉰다.
(2) 규칙
경기 참가 신청자는 의사의 건강 진단서를 경기 전 30일 이내에 발급 받아 제출해야 한다. 맨발이 허용되는 유일한 육상경기이다.
나. 경보
육상의 모든 종목이 달리거나 뛰는 운동인데 비해 경보 경기는 걷는 경기이다. 경보 경기는 한쪽 발이 땅에서 떨어지기 전에 다른 발이 땅에 닫게 하여 빨리 앞으로 나가는 경기로 트랙과 도로에서 벌어진다. 경보 경기는 1908년 제4회 런던 올림픽대회에서 처음 정식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km, 50km 경기가 있다.
(1) 경기 방법
선수는 출발 10초 전에 심판의 "제자리에" 신호에 따라 출발 준비를 하고 다음 신호에 스탠딩 스타트로 출발한다. 발걸음마다 선수의 뒷발이 땅에서 떨어지기 전에 앞발이 땅에 닿아야 한다. 한쪽 발이 땅에 닿아 있을 때 땅에 닿은 다리는 적어도 한 순간은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수직으로 곧게 편 상태여야 한다
(2) 규칙
허벅다리를 너무 들어올리거나 팔을 너무 심하게 흔들거나 또는 전혀 흔들지 않을 경우에는 주의를 받게 된다. 또 윗몸의 중심이 잡히지 않고 사방으로 흔들리거나 발 뒤끝으로 착지할 때 발끝을 굽히는 각도가 작을 때에도 주의를 받는다. 경기 중 위반 사항에 대해 2회 이상 주의를 받으면 실격이 된다. 트랙 경기에서 실격되면 즉시 퇴장해야 하고 도로 경기에서 실격되면 경기자의 번호표를 떼어 낸다. 이 밖에 도로 경기를 할 때에는 5km마다 관문을 설치하고 20km 이상의 경기에는 음식물을 준비한다.
4. 혼성경기
선수 혼자서 달리고 뛰고 던지는 종목을 하는 경기이다. 5종 경기, 7종 경기, 10종 경기로 나눈다. 특히 올림픽대회와 국제경기에서는 남자는 10종 경기를 여자는 7종 경기를 한다.
가. 방법
남자10종 경기는 2일에 걸쳐 하는데 제1일에는 100m달리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높이뛰기, 400m달리기 5종목을 제2일에는 110m허들, 원반던지기, 장대높이뛰기, 창던지기, 1500m달리기 5종목을 치른다.
여자7종 경기는 제1일에는 100m허들,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200m달리기, 4종목을 제2일에는 멀리뛰기 창던지기 800m달리기 3종목을 치른다.
나. 규칙
경기가 하루만에 끝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종목의 순서를 바꿀 수 없다. 한 종목을 끝내고 다음 종목을 할 때까지는 최소한 30분의 휴식 시간을 둔다. 또한 어느 한 종목이라도 시기하지 않았거나 또는 1회도 시기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다음 종목에 참가할 수 없으며 기권한 것으로 본다.
IV. 맺음말
지금까지 육상경기의 의의와 역사 그리고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국 육상경기는 달리고 뛰고 던지는 것으로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발전해왔고 우리의 생활에 깊게 자리잡고 있는 운동 종목이다. 이러한 육상은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육상은 다른 육상선진국의 과학적인 지도방법에 비해 비과학적이고 시대에 뒤떨어 저 있고 국민들의 관심도 다른 인기종목에 비해 낙후된 실정이다. 이런 한 육상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낡은 방식과 비과학적인 방법을 버리고 새로운 방법으로 과학적이고 보다 체계적인 계획으로 육상경기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민들의 관심 없이는 많은 발전을 하기 어려우므로 육상경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어렵고 힘들고 재미없는 운동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흥미 있고 재미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종목이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바꾸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마라톤은 지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처럼 다른 육상 종목도 생활의 필요성과 건강의 좋은 점등을 알리고 발전 시켜 실생활에서 육상경기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남상남, 최창국, 남청웅, 김일곤, 안정춘 [< 상경기 아카데미> 대경북스>
이광섭, 최영근, 박철빈 [<체육I> 두산]
김동진, 정철수, 이애주, 전태원 [<체육> 금성출판사]
[<최신 학생 대백과 사전> 학원출판공사]
Internet realace.ohmyportal.com
Internet jeongkil.hihome.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