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용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Sweden ralay) : 네 사람이 한조가 되어 100m, 200m, 300m, 400m 씩을 달리는 릴레이이며, 순서는 거꾸로 400m, 300m, 200m, 100로 바꾸는 수도 있다.
259. 스코오러(Scorer) : 기록원
260.스타아터(Starter) : 출발 신호원 스타아팅 블록(Starting block) : 스타아트용 대목 구멍을 파지 않고, 발디딤 대목을 놓는다.
261.스타일(Style) : 운동 동작의 형, 도약 등에 있어 뛰는 방식의 여러 가지를 말함.
262. 스탠더드(Standard) : 높이뛰기, 장대 높이뛰기 등에 있어 사용하는 지주의 장대, 어프라이트(Upright)라고도 한다.
263. 스티이플 체이스(Steeple chase) : 장애물 경주, 경이장에서 행하는 것은 3,000m로 일주 보통 390m 거리에 5개의 장애물을 배치하고, 그 중 1개소는 물도랑이 된다.
264. 스톱워치(Stop watch) : 경주 기록용 시계
265. 스트라이드(Stride) : 보폭, 일본 같은 데서는 중거리의 경우 넓은 보폭으로 뛸 때도 스트라이드라고 한다.
266. 스트레이드(Straight) : 직선 주로를 말한다.
267. 스퍼어트(Spurt) : 경주에 있어 갑자기 가속으로 달리는 것.
268. 스프린트(Sprint) : 단거리의 전 속력으로 뛰는 방식, 단거리 주자를 스프린터(Sprinter)라고 한다.
세퍼레이트 코오스(Sepate course) : 구획 지정된 주로, 단거리 이어달리기에 있어서는 지정 이외의 주로를 달리며 실격된다.
269.타입(Type) : 신체의 형, 예를 들어 단거리형이라든가 중거리형이라든가 하는 용어.
270.타이머(Timer) : 계시원
271.트라이얼(Trial) : 시기, 피일드 경기의 예선 경기의 말한다.
272.트라이얼 히이트(Trial heat) : 예선 경주
273.트랙 앤드 피일드 미이트(Track and field meet) : 육상 경기회
274. 트리플 점프(Triple jump) : 세단 뛰기, 종내는 흡 스텝앤드 점프(Hopstep and jump)라고 불렀다. 독일에서는 드라이슈프롱(Dreisprung), 프랑스에서는 트리플 소우트(Triple saut), 중국에서는 삼급도원이라 한다.
275. 트레이닝 셔어츠(Training shirts) : 유니폼 위에 입고, 몸이 차지 않도록 보호하는 셔어츠, 바지는 트레이닝 팬츠라고 한다.
276.토우 보오드(Toe Board) : 포환 던지기 경기용 발디딤 재목
277. 터언(Turn) : 투철 경기에 있어서의 투척 자세를 취하려는 회전 운동
278. 타이(Tie) : 동위 성적, 경주에서는 동착, 피일드에서는 동기록을 말함.
279. 타임 레이스(Team race) : 단체 경기, 몇 사람이 한 조가 되어 달리어 각자의 순위를 점수로 표시하여 그 합계점이 적은 티임이 우승이 된다.
280.워어밍 업(Warming-up) : 현재는 림버 업(Limber up)이란 용어로 바뀌었다. 준비 운동, 경기 연습 또는 경기에 앞서 신체 각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언 체조, 질주, 신체의 맛사지 등을 행한다.
281. 웨스턴 스타일(Western style) : 높이뛰기의 뛰어넘는 하나의 방법, 일명 서부형이라고도 한다. 옆구리를 바야에 수평으로 하여 넘는 로울 오우버가 이것이며, 최근의 벨리 로울 오우버는 이 계통의 형이다.
282.라르슨 형 (larson style )
정면도를 변형하여 뛰어넘는 방법. 보통 정면도에서는 횡목의 위에서 신체를 발구름하는 다리의 방향으로 돌리지만 이 방법은 비스듬히 옆으로 향한채 신체를 눕히면서 횡목을 뛰어넘어간다. 라르슨 선수가 처음 이 방법으로 도약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283.라스트 스피드 (last speed )
달리기 경기 등에서 결승점 근처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내는 속도
284.라인 (line )
경기에 필요한 선. 경주에서 400m 또는 그 이하의 거리를 달릴때에는 각 참가 경기자는 1m22cm이상의 폭을 가진 각자의 달림길을 달려야 한다. 이때 달림길은 폭이 5cm인 석회선으로 분명하게 구획시켜야 한다 이 밖에 출발선, 결승선,릴레이 구획선 등 모두가 필요한 라인이다.
285.러버 피트 (rubber pit )
높이뛰기,장대 높이뛰기 등에서 착지할 때 그 위치에 설치한 안전메트,러버피트의 출현으로 안전성이 확보됨에 따라 기술 역시 크게 향상되었다
286.마라톤 경주
도로상에서 실시되는 42.195 경주
287.베스트 포 (best four )
도약 투척 경기에서 예선에 통과하여 결승에 진출한 사람
288.빌드 업 (build up )
마지막에 빨리 달리는 연습 가속도를 얻는 조주로 도움닫기
289.아크 (ark )
투척 경기에서 같은 거리를 이은 둥근 선
290.크라우칭 스타트 (crouching start )
스타팅 블록을 이용한 출발 자세법
291.패스 어 트라이 얼 (pass a trial )
시기 통과 높이 뛰기에서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는 시기를 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것
292.풋 폴트 (foot fault )
발 동작 반칙 넓이 뛰기 등에서 발 구름선 넘어로 발을 짚은 경우 반칙이 됨
293.플라잉 스타트 (flying start )
출발 신호전에 달려나가는 규칙 위반 행위
294. 풀 업 (pull up)
봉고도 폴에 따라서, 몸을 끌어 올리는 것.
295. 폼 (form)
자세, 형, 모양을 말함.
296. 플라잉 스타트 (flying start)
부정 출발. 피스톨 발사 전에 뛰어나가는 것을 말함. 경주경기에서 2회 이상이
면 실격이 됨.
297. 피니시 라인 (finish line)
결승선.
298.피니시포스토 (finish post)
고울포스트. 결승선의 양쪽에 세워진 지주.
299.피치 (pitch)
주법. 달리는 놀을 가감하여 다리를 폭리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주법으로 스트레이트 (straight) 주법에 대하여 쓰이는 말.
300.픽업 (pick up)
단거리 경주에 있어서 다리를 빨리 놀리는 연습을 말함.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3.11.2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