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2.일반규칙
3.경기용품
4.시설
5.필드경기종류
2.일반규칙
3.경기용품
4.시설
5.필드경기종류
본문내용
부분이 서클 밖의 지면 에 닿거나 서클철대 및 발막음재의 상단에 닿거나 또는 시기 중에 포환이 부적절하게 빠 져나 갈 경우 1회의 무효시기가 된다.
9) 시기 중에 전항의 규칙들을 위반하지 않는 한, 선수는 일단 시작한 시기를 중단하고 용 구(포환)를 서클 안이나 바깥쪽에 내려놓은 후, 서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10) 유효시기가 되기 위해서는 포환이 낙하지역의 완전히 내측면(內側面)안에 낙하되어야 한다.
11) 포환의 낙하거리계측은 포환이 낙하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서클 중심에 이르는 선을 따라 서클 내측(內側)까지의 길이로 한다.
12) 선수는 용구(포환)가 지면에 낙하할 때까지는 서클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 서클을 벗 어 날 때, 서클철대 상단이나 서클바깥 지면에 최초로 닿는 구역은 서클 중심을 지나서 양쪽 바깥으로 그어진 백선보다 완전히 뒤쪽이어야 한다.
13) 용구(포환)는 투척 후 서클로 들고 운반하여야 하며 던져서 돌려보내서는 안 된다.
14) 각 선수의 성적은 1위 동 성적을 가리기 위한 시기를 포함한 모든 투척시기 중에서 가장 좋은 기록으로 결정한다.
④해머던지기
1) 역사
투해머는 기원전 2,000년 전부터 행해져 왔다고 하며 발상지는 아일랜드의 타라(tara)라 는 지방에서 개최된 테일 티언(Tail Tean)애회에서 처음 시작하였다. 아일랜드에서 시작된 투해머는 1800년대 후반 다른 스포츠가 조직화되어 성행될 때 같이 세계적으로 널리 퍼지 게 되었다. 1907년에 무게와 손잡이의 길이 및 서클의 크기가 정해졌고 1908년에 국제적 으로 룰이 정해졌다.
2) 경기방법
해머 손잡이를 네 손가락으로 왼손 또는 오른손의 손바닥을 위로해서 쥐고, 그 위에 왼손 또는 오른손을 포개서 쥐는데 오른손의 엄지를 위로 쥐는 법과 왼손의 엄지를 위로해서 쥐 는 방법 2가지가 있다. 지름 2.135m서클 뒤쪽에서 던지는 쪽 방향을 향하여 등을 쥐고 무릎을 안쪽으로 돌려서 구부리며 발은 어깨넓이로 벌린다. 해머를 오른쪽 발 옆에 놓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머리위에서 해머가 회전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온몸이 하나의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게 될 때 더욱 더 왼발을 단단히 디디고 몸을 좌측으로 기대는 듯한 기분 으로 뻗어(약360도 가량) 해머가 왼쪽 어깨 위쪽에 왔을 때 당기면서 던진다.
3) 경기규칙
1) 선수의 시기순서는 추첨으로 결정한다.
2) 8명을 초과하는 선수가 경기를 할 경우에는 각 선수에게 3회의 추가시기를 허용한다. 이 중에서 성적이 가장 좋은 8명의 선수에게는 처음 3회 시기의 기록순위의 역순으로 3 회의 추가시기를 허용한다. 마지막 자격통과 순위에서 동성적((同成績)일 경우 규칙 146 조 3항에 의거하여 해결한다. 선수가 8명 이하일 경우에는 각 선수에게 6회의 시기를 허 용한다.
3) 각 선수는 경기장 안에서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추첨으로 결정된 순서에 따라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연습 시기는 항상 심판의 감독아래 실시되어야 한다.
4) 일단 경기가 시작되면 선수들은 연습을 목적으로 용구를 사용할 수 없고 또 용구를 지 녔던 지니지 않았든 간에 연습시기를 위하여 서클이나 부채꼴 낙하구역내의 지면을 사용 할 수가 없다.
5) 투척은 서클 안에서 실시해야 한다. 선수는 정지 상태로부터 투척동작을 개시해야 한 다. 투척 개시위치에 있는 선수는 예비스윙이나 회전하기 전에 해머의 두부(頭部)를 서클 안이 나 바깥의 지면에 놓을 수 있다. 선수는 서클철대의 내측면에 닿아도 무방하다.
6) 선수가 예비 스윙이나 회전을 할 때 해머의 두부가 지면이나 철재상단에 닿아도 무효시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머의 두부가 철재상단이나 지면에 닿은 후, 투척동작을 다시 취하기 위해 동작을 중단했을 경우에는 1회의 무효시기로 간주한다.
7) (a) 투척할 때 선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떤 형태의 장구- 2개 이상의 손가락을 함께 테이프로 감는 따위 - 도 허용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개개의 손가락은 테이프로 감을 수 있다. 경기 개시전에 심판주임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손가락에 테이프를 감는 것은 외상 을 감쌀 필요가 있는 경우 외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b) 손을 보호하기 위한 장갑은 허용된다. 장갑은 앞면과 뒷면이 매끄러워야 하며, 엄 지 손가락 외에는 손가락의 끝부분이 개방되어져야만 한다.
(c) 해머를 더 잘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수들은 손이나 장갑에 한해서 적절한 물 질을 사용할 수 있다.
(d) 선수는 척추의 부상을 막기 위해 가죽이나 그 밖의 적당한 재료로 만든 밸트를 착 용 할 수 있다.
(e) 선수는 서클 안에서 어떤 물질을 칠하거나 뿌리지 못한다.
8) 선수가 서클 안에 들어가서 투척 동작을 시작한 후, 신체의 어느 부분이건 서클의 바깥 지면이나 서클 테두리의 상단에 닿았을 때는 무효시기로 간주된다.
9) 시기 중에 전항의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선수는 시작한 시기를 중단하고 해머를 서 클의 안이나 밖에 내려놓은 후, 서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서클을 벗어날 때에는 다시 들어와 정지 상태에서 새로이 시기를 시작하기 전에 13항 규정에 따라야 한다.
10) 해머가 투척 동작중이나 공중에서 파손된 경우는 시기가 규정에 따라 행해졌다면 무 효시기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 같은 파손으로 선수가 몸의 중심을 잃고 본 규칙의 어느 부분에 반칙을 범했다 하더라도 그것을 무효시기로 간주하지 않는다.
11) 유효시기가 되기 위해서는 해머의 두부가 낙하구역의 완전히 내측면 안에 낙하해야 한다.
12) 해머의 낙하 거리계측은 두부가 낙하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서클중심에 이르는 선을 따라 서클내측(內側)까지의 길이로 한다.
13) 선수는 용구가 지면에 낙하할 때까지 서클을 벗어나서는 안된다. 서클을 벗어날 때 철 대(鐵帶)상단이나 서클 바깥 지면에 최초로 닿는 구역은 서클의 중심을 지나서 서클 양쪽 에 그어져 있는 백선(白線)보다 완전히 뒤쪽이어야 한다.
14) 투척 후 해머는 서클로 들고 운반하여야 하며 던져서 돌려보내서는 안된다.
15) 각 선수의 성적은 1위 동 성적을 가리기 위한 시기를 포함한 모든 투척시기중 가장 좋은 기록으로 한다.
9) 시기 중에 전항의 규칙들을 위반하지 않는 한, 선수는 일단 시작한 시기를 중단하고 용 구(포환)를 서클 안이나 바깥쪽에 내려놓은 후, 서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10) 유효시기가 되기 위해서는 포환이 낙하지역의 완전히 내측면(內側面)안에 낙하되어야 한다.
11) 포환의 낙하거리계측은 포환이 낙하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서클 중심에 이르는 선을 따라 서클 내측(內側)까지의 길이로 한다.
12) 선수는 용구(포환)가 지면에 낙하할 때까지는 서클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 서클을 벗 어 날 때, 서클철대 상단이나 서클바깥 지면에 최초로 닿는 구역은 서클 중심을 지나서 양쪽 바깥으로 그어진 백선보다 완전히 뒤쪽이어야 한다.
13) 용구(포환)는 투척 후 서클로 들고 운반하여야 하며 던져서 돌려보내서는 안 된다.
14) 각 선수의 성적은 1위 동 성적을 가리기 위한 시기를 포함한 모든 투척시기 중에서 가장 좋은 기록으로 결정한다.
④해머던지기
1) 역사
투해머는 기원전 2,000년 전부터 행해져 왔다고 하며 발상지는 아일랜드의 타라(tara)라 는 지방에서 개최된 테일 티언(Tail Tean)애회에서 처음 시작하였다. 아일랜드에서 시작된 투해머는 1800년대 후반 다른 스포츠가 조직화되어 성행될 때 같이 세계적으로 널리 퍼지 게 되었다. 1907년에 무게와 손잡이의 길이 및 서클의 크기가 정해졌고 1908년에 국제적 으로 룰이 정해졌다.
2) 경기방법
해머 손잡이를 네 손가락으로 왼손 또는 오른손의 손바닥을 위로해서 쥐고, 그 위에 왼손 또는 오른손을 포개서 쥐는데 오른손의 엄지를 위로 쥐는 법과 왼손의 엄지를 위로해서 쥐 는 방법 2가지가 있다. 지름 2.135m서클 뒤쪽에서 던지는 쪽 방향을 향하여 등을 쥐고 무릎을 안쪽으로 돌려서 구부리며 발은 어깨넓이로 벌린다. 해머를 오른쪽 발 옆에 놓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머리위에서 해머가 회전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온몸이 하나의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게 될 때 더욱 더 왼발을 단단히 디디고 몸을 좌측으로 기대는 듯한 기분 으로 뻗어(약360도 가량) 해머가 왼쪽 어깨 위쪽에 왔을 때 당기면서 던진다.
3) 경기규칙
1) 선수의 시기순서는 추첨으로 결정한다.
2) 8명을 초과하는 선수가 경기를 할 경우에는 각 선수에게 3회의 추가시기를 허용한다. 이 중에서 성적이 가장 좋은 8명의 선수에게는 처음 3회 시기의 기록순위의 역순으로 3 회의 추가시기를 허용한다. 마지막 자격통과 순위에서 동성적((同成績)일 경우 규칙 146 조 3항에 의거하여 해결한다. 선수가 8명 이하일 경우에는 각 선수에게 6회의 시기를 허 용한다.
3) 각 선수는 경기장 안에서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추첨으로 결정된 순서에 따라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연습 시기는 항상 심판의 감독아래 실시되어야 한다.
4) 일단 경기가 시작되면 선수들은 연습을 목적으로 용구를 사용할 수 없고 또 용구를 지 녔던 지니지 않았든 간에 연습시기를 위하여 서클이나 부채꼴 낙하구역내의 지면을 사용 할 수가 없다.
5) 투척은 서클 안에서 실시해야 한다. 선수는 정지 상태로부터 투척동작을 개시해야 한 다. 투척 개시위치에 있는 선수는 예비스윙이나 회전하기 전에 해머의 두부(頭部)를 서클 안이 나 바깥의 지면에 놓을 수 있다. 선수는 서클철대의 내측면에 닿아도 무방하다.
6) 선수가 예비 스윙이나 회전을 할 때 해머의 두부가 지면이나 철재상단에 닿아도 무효시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머의 두부가 철재상단이나 지면에 닿은 후, 투척동작을 다시 취하기 위해 동작을 중단했을 경우에는 1회의 무효시기로 간주한다.
7) (a) 투척할 때 선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떤 형태의 장구- 2개 이상의 손가락을 함께 테이프로 감는 따위 - 도 허용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개개의 손가락은 테이프로 감을 수 있다. 경기 개시전에 심판주임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손가락에 테이프를 감는 것은 외상 을 감쌀 필요가 있는 경우 외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b) 손을 보호하기 위한 장갑은 허용된다. 장갑은 앞면과 뒷면이 매끄러워야 하며, 엄 지 손가락 외에는 손가락의 끝부분이 개방되어져야만 한다.
(c) 해머를 더 잘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수들은 손이나 장갑에 한해서 적절한 물 질을 사용할 수 있다.
(d) 선수는 척추의 부상을 막기 위해 가죽이나 그 밖의 적당한 재료로 만든 밸트를 착 용 할 수 있다.
(e) 선수는 서클 안에서 어떤 물질을 칠하거나 뿌리지 못한다.
8) 선수가 서클 안에 들어가서 투척 동작을 시작한 후, 신체의 어느 부분이건 서클의 바깥 지면이나 서클 테두리의 상단에 닿았을 때는 무효시기로 간주된다.
9) 시기 중에 전항의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선수는 시작한 시기를 중단하고 해머를 서 클의 안이나 밖에 내려놓은 후, 서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서클을 벗어날 때에는 다시 들어와 정지 상태에서 새로이 시기를 시작하기 전에 13항 규정에 따라야 한다.
10) 해머가 투척 동작중이나 공중에서 파손된 경우는 시기가 규정에 따라 행해졌다면 무 효시기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 같은 파손으로 선수가 몸의 중심을 잃고 본 규칙의 어느 부분에 반칙을 범했다 하더라도 그것을 무효시기로 간주하지 않는다.
11) 유효시기가 되기 위해서는 해머의 두부가 낙하구역의 완전히 내측면 안에 낙하해야 한다.
12) 해머의 낙하 거리계측은 두부가 낙하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서클중심에 이르는 선을 따라 서클내측(內側)까지의 길이로 한다.
13) 선수는 용구가 지면에 낙하할 때까지 서클을 벗어나서는 안된다. 서클을 벗어날 때 철 대(鐵帶)상단이나 서클 바깥 지면에 최초로 닿는 구역은 서클의 중심을 지나서 서클 양쪽 에 그어져 있는 백선(白線)보다 완전히 뒤쪽이어야 한다.
14) 투척 후 해머는 서클로 들고 운반하여야 하며 던져서 돌려보내서는 안된다.
15) 각 선수의 성적은 1위 동 성적을 가리기 위한 시기를 포함한 모든 투척시기중 가장 좋은 기록으로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