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필드경기, 트랙경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상-필드경기, 트랙경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 시킨 행위로 심각하게 피해를 입은 선수들을 다음 라운드(실격선수를 제외하고)에 참가시킬 권한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런 선수는 성실히 그 종목의 경기를 끝마쳐야 한다. 심판장은 또한 실격에 관계없이 특수한 상황이 있을 경우에는 정당하고 타당하다고 생각된다면 재 경기를 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다.
6.레인에서의 레이스 (Running in Lanes)
1) 레인에서 진행되는 모든 레이스에서 각 선수는 스타트부터 피니시까지 자기에게 배정된 레인 안에서 달려야 한다. 본 규칙은 레이스의 일부를 레인에서 달리는 경우에도 적용 된다. 아래 4항에 명시된 사항을 제외하고, 만약 심판장이 선수가 자신의 레인을 벗어 나 달렸다는 심판원 또는 감찰원 또는 기타 심판원의 보고서에 대해 승인한 경우에는 그 선수는 실격이 된다.
2) 만약 다른 선수에게 밀리거나 방해를 받아서 자기의 레인 밖으로 달렸으나, 그러한 이 탈로 인해 아무런 실질적인 이득을 얻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선수는 실격되지 않는다.
만약 선수가 다음과 같은 경우면 실격되지 않는다.
- 직선주로에서 자기의 레인 밖으로 달렸으나 아무런 실질적인 이익을 얻지 못했을 경 우, 또는
- 곡선주로에서 자기의 레인의 오른쪽 백선의 바깥으로 달렸으나 그러한 이탈로 인해 아무런 실질적 이득을 얻지 못하고 다른 어떤 선수도 방해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실 격되지 않는다.
3) 규칙 제12조 1항(a), (b), (c)에 따라 개최되는 경기대회의 800m레이스는 선수가 자기 의 레인을 벗어나는 첫 곡주로의 끝에 표시된 브레이크 라인(breakline)까지 자기의 레 인에서 달려야 한다.
브레이크라인은 트랙을 가로지르는 너비 5cm의 원호의 라인(arced line)이며, 트랙의 양쪽 끝에 최소 1.50m 높이의 깃발로 표시하여야 한다.
선수들이 브레이크라인을 잘 식별할 수 있도록 각 레인라인과 브레이크라인의 교차 점에 브레이크라인과 동일한 색의 높이 15cm이하의 작은 원뿔(cones)이나 각주(角柱, prisms) (5cmx5cm)를 세워 놓는다.
국제친선대항경기대회(matches)에서는 참가국들의 합의로 레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7. 트랙 이탈 (Leaving the Track)
트랙에서 자의적으로 이탈한 선수는 그 레이스에 계속해서 경기할 수 없다.
8. 체크마크 (Check-Marks)
레인에서 실시되는 릴레이 레이스를 제외하고, 선수들이 자기에게 도움이 되도록 트랙 의 위나 트랙의 옆에 체크마크를 표시하거나 표지물을 둘 수 없다.
9. 풍속측정 (Wind Measurement)
1) 풍속을 측정하는 시간은 스타터 신호총 또는 기타 공인된 스타트장치의 섬광이 번쩍인 순간부터 다음 시간에 걸쳐 측정한다.
100m 10초간
100mH 13초간
110mH 13초간
200m레이스의 풍속은 선두주자가 직선주로에 들어선 순간부터 10초간 측정한다.
직선주로에 들어가는 위치에 깃발을 세워서 표시한다.
2)트랙종목을 위한 풍속 측정계는 제1레인에 인접한 직선주로 옆에 피니시 라인으로부터 50m 시점에 설치하고, 높이는 1.22m로 하며 트랙으로부터 2m이상 떨어져서는 안 된다.
3) 풍속 측정계는 초속 몇 m인가를 기록하는데, 양수(+) 방향으로 초속 1m의 1/10로 올림 하여 계산한다(즉, 초속 +2.03m는 +2.1로 기록되며; 초속 -2.03m는 -2.0으로 기록된 다. 초속 1/10m를 측정할 수 있는 계기는 위 규칙에 상응하여 적용된다). 초속 1/10m 로 나타나는 디지털 표시 측정계는 본 규칙에 일치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풍속 측정 계는 해당기관에서 공인을 받아야 한다.
4) 기계적인 풍속 측정계에는 옆바람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보호막이 설치 되어야 한다. 튜브를 사용할 경우 측정 장치 의 양쪽 길이는 적어도 튜브지름의 두 배 가 되어야 한다.
5) 풍속 측정계는 자동 또는 원격조정으로 작동되도록 하며, 관련 자료는 대회 전산장비 (컴퓨터)로 직접 입력되도록 한다.
10.출발법
단거리 경기의 출발(start)은 단거리 경기에서 크라우칭 스타트로 출발해야 하는데, 신장 의 크기, 하체의 길이, 다리의 근력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출발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 일롱케이티드 스타트(Elongated start):
키가 작은 사람보다 큰사람에게 유리한 방법, 출발선에서부터 자기발길이 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앞발을 고정, 앞발 뒷꿈치 옆에 무릎을 위치하여 뒷발은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즉 출발선에서 앞발까지의 거리가 길고 40~45cm, 뒷발은 20~25cm 띄우고 앉았을 때 양발의 위치가 거의 나란히 있는 것 같은 출발법이다. (제 1보 이후부터 가속되어진 상태로 출발되는 장점이 있다.)
2) 미디움 스타트(Medium start):
체격에 관계없이 보통 사람들에게 알맞으며, 출발선에서부터 자기의 발길이 한발 반 떨어진 지점에 앞발을 고정, 앞발 하퇴 중간지점에 무릎을 위치하여 뒷발의 위치를 고정한다. 출발선에서 앞발까지의 거리가 번치 스타트보다 짧으며(30~40m) 뒷발은 앞발에서 40~50m 띄우며 초보자가 처음 이 방법을 사용한 후 차차 자신에게 알맞는 출발법으로 변형된다. (제 1보는 자연스러우나 몸이 빨리 일으켜지므로 가속이 없다.)
3) 번치 스타트(Bunch start):
체중이 무겁거나 여자에게는 유리하지 못한 방법, 출발선에서 자기의 발길이 두 배의 지점에 앞발을 고정, 앞발의 발뒷꿈치 옆에 발끝을 위치하면 뒷발의 위치는 고정된다. 즉 출발선에서 앞발까지의 거리가 길고 40~45cm, 뒷발은 20~25cm 띄우고 앉았을 때 양발의 위치가 거의 나란히 있는 것 같은 출발법이다. (제 1보가 가장 빠르게 가속되어 전력질주에 이점이 있다.)
4) 로켓 스타트(Rocket start):
단거리경기의 새로운 출발법, 다른 출발법에 비해 보다 빨리 전력 질주로 옮기려는 강력한 출발법이며, 발을 옆으로 벌려 발끝 쪽으로 모으는 것이 요령이다. 단, 강력한 체력의 소유자가 아니면 실시하기 어려운 방법이다.(전력 질주하기가 용이, 최대 속력을 낼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2.0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