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 활동 수묵화 지도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도 목표
2. 지도 방침
3. 학습 과정
4. 지도상의 유의점
5. 학습 준비물
6. 연간 지도 계획
7. 수묵화 학습의 기초
8. 수묵화의 표현 기법

본문내용

[사진-6]과 같은 모양으로 붓대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붓촉이 접시 안에 있는 담묵에 닿지 않도록 하여 이쪽에서도 붓촉을 훑어낸다.
(10) 담묵의 양을 조절 : [사진-9]와 같은 조작을 3번 되풀이하여 붓에 묻은 담묵을 짜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붓촉에 묻은 담묵을 적당한 양으로 조절한다.
(11) 붓을 바르게 고치기 : 붓촉은 납작하게 되어 있지만 [그림-1]과 같이 전체적으로 약간 휘어진
[ 붓을 가지런히 하기 ]
상태이다. 이와 같이 굽어진 붓은 [그림-1]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모양대로 바르게 고쳐야 되므로 붓대를 수평으로 접시 가장자리에 대고 천천히 당겨서 붓을 바르게 고친다.
(12) 붓끝을 가지런하게 : [그림-2]와 같이 붓끝을 접시의 가장자리에서 두 세 번 가볍게 두드리듯이 해서 헝클어진 붓끝을 가지런하게 간추린다.
(13) 붓 끝 고르기 : 반대쪽도 고쳐야 되므로 붓대를 잡은 손가락을 떼지 말고 자기 앞쪽으로 반 회전시켜서 가볍게 두 세 번 두드리듯 하여 가지런히 한다.
(14) 농묵 섞기 : 다음에는 벼루에서 붓대를 45도 가량으로 경사 시켜 [그림-3]처럼 좌우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붓끝을 천천히 조작해서 진한 먹을 찍는다. 먹의 양은 [그림-4] 정도가 적당하다.
[그림-3]
[그림-4]
(15) 농담의 3단계 : 그림을 그릴 때는 붓에 농묵이 묻은 쪽을 직접 종이에 대고 그리지 않도록 한다. 반드시 먹이 많이 묻은 쪽을 위로하여 그려야 한다. 지금까지의 조묵 과정을 거쳐서 만든 붓으로 선을 그어 본 것이 [그림-A도]이다. 이렇게 농담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도록 담묵과 농묵의 경계를 부드럽게 융합시켜서 중간에 중묵의 층을 만들어야 한다. 이 조묵 과정이 [그림-C, D, E]이다. 벼루에서 먼저 농묵을 찍은 붓을 그대로 접시의 오른편 안쪽의 경사진 평평한 면에 대고 D도처럼 지그재그를 3, 4회 그리면서 자기 앞쪽으로 훑어 내리고 이것을 두 세 번 되풀이한다.
[그림-A,B 농담 표현상태]
[그림-C,D,E 접시에서 조묵 과정]
(16) 붓끝 다듬기 : 이번에는 약간 벌어진 붓끝을 가지런히 해야 되는데, 붓에 농묵이 묻은 쪽을 접시 가운데에서 지그재그로 그린 다음에 위에서 가볍게 두드리듯이 하여 바르게 고치고, 반대쪽의 먹이 적게 묻은 쪽도 손가락으로 붓대를 돌리면서 접시의 가장자리에 2,3회 정도 가볍게 두드리듯이 하여서 고친다.
(17) 먹물 훑어내기 : 이로서 모든 조묵 과정은 끝났다. 이와 같이 여러 단계를 거쳐서 설명을 하였기 때문에 복잡하게 느껴지겠지만 이 모든 조작과정은 익숙해지면 대체로 15초에서 20초의 시간이면 가능하다. 붓에 묻어 있는 먹물이 많다고 느껴지면 다시 한번 가볍게 접시 언저리에 붓을 대고 훑어 낸다. 훑어낼 때 또 붓끝이 벌어지면 또 다시 붓을 접시의 가장자리에서 가볍게 두드리듯이 하여 가지런하게 만든다.
(18) 그리기 준비 : 실제로 그리는 단계가 되었으므로 농묵 쪽을 위로하여 그려 가는 방향으로 붓을 약간 눕히듯이 하여 돌린다. 붓을 똑바로 세워서 사용하는 직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붓을 기울여서 사용할 때에 이와 같이 농묵 쪽을 위나 혹은 그리는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한다. 결코 농묵 쪽을 아래로 향하여 직접 종이에 대고 그리지 않도록 한다.
(19) 농담 그리기 : 그러면 붓의 농묵 쪽을 위로 향하게 하고, 그리는 방향으로 약간 눕혀서 측필로 가로로 선을 그어보도록 한다. 농묵과 담묵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융합되지 않고 확연하게 구별이 지어지는 것은 잘못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앞의 [그림-B]와 같이 농담이 나타나려면 같은 과정을 계속해서 되풀이하는 동안에 가능하게 될 것이다.
(20) 붓의 방향 : 그림을 그릴 때는 붓을 앞으로 기울어지게 해서 사용할 경우가 매우 많고 (이때도 붓이 한쪽으로 기울여져 있으므로 농묵 쪽이 위를 향하거나 그리는 방향 쪽을 향하도록 한다) 접시에 담묵을 만들 때는 붓대에 가까운 부분은 어느 정도 물기를 남기도록 한다. 붓대를 45도 정도로 유지하면 붓 전체가 담묵으로 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붓을 계속하여 사용하다 보면 붓 전체가 한가지 색으로 변하게 되기도 하므로 이럴 때는 물통에 붓을 새로 씻기도 하고 접시의 남은 먹을 물통에 부어버리고 새롭게 담묵을 만들기도 한다. 접시 안의 담묵의 양은 항상 찻숟가락 절반 반정도가 적당하다.
라. 선 긋기 연습 : 굵게, 가늘게, 짙으게, 옅으게, 직선, 곡선 등 변화 있는 선 긋기
마. 농담 표현 연습 : 편봉으로 붓을 기울여서 여러 방향으로 운필하기
바. 난초 그리기
(1) 잎 그리기 : 잎은 농묵으로 그리되 농담이 나타나면 더욱 좋다.
밑에서부터 위로 그려나가며, 잎의 강약, 방향, 겹침에 변화가 있게 한다.
(2) 꽃 그리기 : 꽃은 담묵으로 그리되 약간의 농담이 나타나도록 한다. 난초의 종류에 따라서 꽃대 하나에 한 송이씩 그리는 것과 아홉 송이까지 그리는 것이 있다.
(3) 화심 넣기 : 꽃의 수술은 한자의 心 자를 연상하여 농묵으로 점을 찍는다.
(4) 작품 제작
사. 대나무 그리기
(1) 대나무 줄기와 가지 그리기 : 농담이 있는 선을 밑에서부터 위로 그려나간다.
(2) 잎 그리기 : 중심이 되는 부분은 짙은 잎을 겹쳐서 많이 그린다.
(3) 마디 그리기 : 마디는 농묵으로 그린다.
(4) 작픔 제작 : 이 작품에는 안 나타났지만 줄기와 잎에 농담의 변화를 주도록 한다.
아. 매화 그리기
(1) 줄기와 가지 그리기 : 반드시 농담이 나타나도록 그리며, 군데군데 태점을 찍는다.
(2) 꽃 그리기 : 꽃은 담묵으로 그리고 수술과 꽃받침은 약간 짙은 먹으로 그린다.
(3) 작픔 제작
자. 국화 그리기
(1)
꽃 그리기 : 중심 부분은 중묵에서 부터 점차 담묵으로 자연스럽게 변해가도록 그린다.
(2) 잎 그리기 : 농담이 있는 짙은 먹으로 그리며, 약간 말랐을 때 농묵으로 잎맥을 그린다
(3) 작픔 제작
[참고문헌]
四君子 技法 ; 羅成均, 1981, 視聽覺 敎育社
四君子 技法 ; 許 煜, 1976, 成均書館
墨畵의 技法 ; 孫致昇, 1976, 理學社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6.1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