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중을 향해 던지는 설득적?설명적 의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마치 하나의 시구와 같다. 또한 그가 말하는 인류의 모습은 말로만 들어도 머리 위에서 환하게 펼쳐지는 것처럼 생생하기도 하다.
그의 연설에서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단순히 인류에 대한 포용감과 희망적이고 이미지의 아름다움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의 연설문이 단순히 백인과의 협력과 흑인들의 희망과 꿈만을 논했으면 단순히 아름답고 시적인 글로 끝났을지도 모른다. 그는 연설문에서 자신과 흑인동료들의 강한 의지를 표출시킴으로써 연설문을 감동적으로 승화시켰다. 아직도 기억이 생생한 구절은 “언제가 되면 만족하겠느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흑인들이 경찰의 무지막지한 폭력의 공포에 희생되고 있는 한, 우리에게 만족이란 없습니다. (중략) 안 됩니다. 안 됩니다. 우리는 만족하지 않습니다.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고, 정당성이 힘찬 흐름이 될 때까지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이다. 마틴 루터 킹의 모든걸 포용하는 듯한 자애로운 이미지와 맞물린 강한 의지와 힘이 느껴지는 이러한 어구들은 사람들의 어지롭고 복잡했던 내면을 고조시키면서 폭발시킬만한 내공이 담겨져있다.
또한 그의 연설문에서는 글이 뒤로 갈수록 좀더 고조된 감정이 섞인 내용이 들어있다. 이로써 이 연설을 듣는 사람들의 감정이 북받칠 수 있게끔 내용이 짜임새있게 이루어져있다. 물론 그가 이러한 연설을 했다고 해서 그전에 흑인에게 행해졌던 차별적인 관습들이 모두다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연설이 후세에 와도 의미가 있는 것은 그의 연설은 인종차별에 대해 무지하고 무관심했던 미국인들에게 변화해야 할 필요성과 의식을 머릿속에 넣어줬으며, 그전까지 고통을 감내하고 사회에 순응하기만 했던 흑인들에게 저항의식을 심어줬다. 또한 흑인과 백인이라는 구분짓는 것에 대한 부정, 즉 인간은 피부색에 관계없이 모두가 평등하고 똑같아야 하는 것과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배경보다는 인격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내가 생각하는 그의 연설문의 가장 큰 매력은 연설문의 목적을 분명히 꿰뚫어 본 것에 있다. 연설문이란 청중을 설득시키는데 있다. 마틴 루터 킹은 자신의 연설을 들을 청중의 심리를 분명 잘 간파하고 있으며, 그것으로 인해 모든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호소력이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 그것이 연설하는 데 있어서 청중에 대한 근본적인 예의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의 연설에서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단순히 인류에 대한 포용감과 희망적이고 이미지의 아름다움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의 연설문이 단순히 백인과의 협력과 흑인들의 희망과 꿈만을 논했으면 단순히 아름답고 시적인 글로 끝났을지도 모른다. 그는 연설문에서 자신과 흑인동료들의 강한 의지를 표출시킴으로써 연설문을 감동적으로 승화시켰다. 아직도 기억이 생생한 구절은 “언제가 되면 만족하겠느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흑인들이 경찰의 무지막지한 폭력의 공포에 희생되고 있는 한, 우리에게 만족이란 없습니다. (중략) 안 됩니다. 안 됩니다. 우리는 만족하지 않습니다.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고, 정당성이 힘찬 흐름이 될 때까지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이다. 마틴 루터 킹의 모든걸 포용하는 듯한 자애로운 이미지와 맞물린 강한 의지와 힘이 느껴지는 이러한 어구들은 사람들의 어지롭고 복잡했던 내면을 고조시키면서 폭발시킬만한 내공이 담겨져있다.
또한 그의 연설문에서는 글이 뒤로 갈수록 좀더 고조된 감정이 섞인 내용이 들어있다. 이로써 이 연설을 듣는 사람들의 감정이 북받칠 수 있게끔 내용이 짜임새있게 이루어져있다. 물론 그가 이러한 연설을 했다고 해서 그전에 흑인에게 행해졌던 차별적인 관습들이 모두다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연설이 후세에 와도 의미가 있는 것은 그의 연설은 인종차별에 대해 무지하고 무관심했던 미국인들에게 변화해야 할 필요성과 의식을 머릿속에 넣어줬으며, 그전까지 고통을 감내하고 사회에 순응하기만 했던 흑인들에게 저항의식을 심어줬다. 또한 흑인과 백인이라는 구분짓는 것에 대한 부정, 즉 인간은 피부색에 관계없이 모두가 평등하고 똑같아야 하는 것과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배경보다는 인격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내가 생각하는 그의 연설문의 가장 큰 매력은 연설문의 목적을 분명히 꿰뚫어 본 것에 있다. 연설문이란 청중을 설득시키는데 있다. 마틴 루터 킹은 자신의 연설을 들을 청중의 심리를 분명 잘 간파하고 있으며, 그것으로 인해 모든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호소력이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 그것이 연설하는 데 있어서 청중에 대한 근본적인 예의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추천자료
틱낫한-`화`를 읽고나서
틱낫한 스님의 수행과 삶
화 감상문
사라, 버스를 타다(초등부 독서논술 교재)
말콤엑스 감상문
불편한진실
흑인린칭
19,20세기 미국의 흑인 인권운동가에 대한 이해와 의의 [A+추천 레포트]
힘2
콜버그의 도덕적 추론과 단계설을 기준으로 살펴본 나의 도덕적 판단 및 경험을 통해서 살펴 ...
[1960년대][운동][노동운동][민권운동][민주화운동]1960년대의 노동운동, 1960년대의 민권운...
[독일어권 지역학] 독일 적군파(Der Baarder Meinhof Komplex, RAF) - 혁명을 꿈꾸었던 테러...
말콤 엑스 (Malcolm X)
사회적 약자 차별 실태 및 해결 방안 (여성, 장애인, 외국인 노동자와 난민, 성소수자 등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