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위성DMB는 어떤 서비스인가?

2. 서비스 제공 시기와 가격은?

3. 어떤 단말기를 통해 위성DMB를 볼 수 있나?

4. 누가 위성DMB서비스를 제공하나?

5. SK텔레콤 가입자만 위성DMB 서비스를 가입할수 있나?

6. 지상파DMB, 위성DMB, 위성TV방송 비교

7. 위성DMB 영향력 어느정도인가?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닥칠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DMB 역시 이동형ㆍ개인형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상파DMB와 위성DMB가 유사한 서비스로 대결한다고 할 때, 관심사는 정부 정책의 방향이다. 이와 관련, 지상파 DMB 사업자 선정이 앞서 이뤄지고, 서비스 개시시기도 어느 정도 지상파에 유리하게 조정될 것이란 예상과 함께 지상파DMB의 우위를 점치는 시각도 있지만, 한편에서는 위성DMB가 전국서비스를 무기로 상당기간 수도권 서비스에 그칠 지상파DMB를 압도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통신시장에 대한 영향력
위성DMB는 이동전화와 동일한 코드분할다중(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채택, 일반 이동전화기능을 구현하면서 방송서비스가 가능한 통신과 방송의 대표적인 융ㆍ복합 상품이다. 이는 기존의 이동통신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케 한다.
SK텔레콤은 사업설명회에서 위성DMB 가입자 규모가 서비스 초기연도인 내년 50만 명을 시작으로, 2005년 100만 명에서 오는 2010년에는 8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 가입자 중 일부는 현재의 이동통신 가입자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당수는 새로운 가입자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위성 DMB의 주체 사업자이면서 이동통신 지배적 시장사업자인 SK텔레콤의 이동통신 서비스시장에서의 영향력은 더욱 강력해질 수밖에 없어, 후발 사업자들이 크게 긴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SK텔레콤과 협력해 현 800㎒ 셀룰러 대역의 이동전화 단말기와 위성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결합단말기의 시제품을 이 달 중 개발하고, 오는 11월경 상용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후발 사업자인 KTF와 LG텔레콤의 1.8㎓ PCS대역과 연동하는 위성DMB 단말기 개발계획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는 않은 상태이다.
SK텔레콤 서비스용 위성 DMB 단말기만 개발된 채 위성 DMB가 상용화할 경우 지배적 사업자로의 가입자 쏠림현상은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후발 사업자들의 지적이다. KTF와 LG텔레콤은 위성 DMB 상용화 이전에 결합단말기가 출시돼야 하고 각 사의 대리점에서 위성 DMB 단말기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해야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측은 "후발 사업자들도 위성 DMB에 참여할 수 있는 문호는 완전 개방한 상태"라며 "필요할 경우 위성 DMB유통망을 공유할 수 있고 구체적인 수익배분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성 DMB 단말기에 대한 보조금 지급 문제도 통신업계의 민감한 이슈로 등장할 전망이다.
위성 DMB는 통신이 아닌 방송사업자로 분류, 사업자가 보조금을 지불해도 법적으로 문제될 것이 없다. 이에 따라 위성 DMB 서비스 상용화를 앞두고 방송 및 통신 관련 법에 대한 재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7. 참고문헌
[1] 이구순, "위성DMB, 어떤 서비스인가?", inews24, 2004
[2] 디지털타임즈, Http://http://www.dt.co.kr , 200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