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신 프로토콜
(1) 프로토콜의 개념
(2) 프로토콜 개발의 경위
(3) 프로토콜의 중요성
(4) 프로토콜의 기능
(5) 프로토콜의 분류
2.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프로토콜들
(1) RIP
(2) OSPF
(3) HDLC·SDLC
(4) BGP
(5) LADP·LAPB
(6) IGRP·EIGRP
3. 참고문헌
(1) 프로토콜의 개념
(2) 프로토콜 개발의 경위
(3) 프로토콜의 중요성
(4) 프로토콜의 기능
(5) 프로토콜의 분류
2.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프로토콜들
(1) RIP
(2) OSPF
(3) HDLC·SDLC
(4) BGP
(5) LADP·LAPB
(6) IGRP·EIGRP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지에 대한 모든 타당한 경로를 유지하고 있지만, 경로 갱신 정보에는 최적의 경로만을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TCP를 통해 신뢰성을 가지고 수행된다.
BGP는 RIP과 같은 거리값(Distance Vector)에 기반한 라우팅 알고리즘이나, 목적지까지의 경로값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경유하는 AS의 순서를 전송하므로, 거리값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무한 경로값(Counting to Infinity)의 단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스위치에서도 BGP를 지원하는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다.
(5) LAPD·LAPB
LAPD와 LAPB는 각기 ISDN과 X.25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앞에서 설명한 HDLC와 유사한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들은 전송오류의 검출과 복구, 전송순서 제어 및 보존, 복수의 스테이션과 망사이의 전송오류 없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문제 및 스테이션과 망간의 D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LAPD에서는 하나의 회선 상에 복수의 단말이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 2 링크 역시 동시에 복수의 링크를 확립하여 각 링크의 정보전송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을 다중 링크 제어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이것은 하나의 D채널 상에 스루풋(throughput)과 전송 우선순위가 다른 제어신호와 데이터 패킷 등의 전송이 가능하고, 통신로상의 각 단말과 망 사이에서 동시에 D채널을 통해 정보전송이 가능토록 해준다는 의미가 된다.
다중 LAP에서 복수의 레이어 2 링크를 식별하는 방법은 X.25 LAPB에서 주소 필드를 2옥텟로 확장하여, '서비스 제어점 식별자'(SAPI :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단말 종단점 식별자'(TEI : Terminal Endpoint Identifier)와 같은 2가지 하위 필드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SAPI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순수한 정보를 내재한 패킷 데이터인지를 식별하는 용도이며, TEI는 동일 인터페이스상의 복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레이어 2 링크는 SAPI와 TEI의 조합으로 식별되며, 이 둘을 합하여 '데이터링크 접속 식별자'(DLCI :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라고 한다.(이것은 프레임릴레이의 DLCI 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LAPB가 스테이션과 망간에 Point-to-Point 링크를 통한 일대일 통신만을 서비스하는 반면에 LAPD는 브로드캐스트형도 지원한다. 브로드캐스트형은 Point-to-Mutipoint형이라고 하며, 망에서 경로상의 모든 단말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Point-to-Point나 Point-to-Multipoint는 앞에서 설명한 배선형태의 그것과는 다른 의미이다. 브로드캐스트 링크를 형성할 때는 TEI 필드를 모두 '1'로 세트한다.
(6) IGRP·EIGRP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와 EIGRP(Enhanced IGRP)는 시스코(Cisco)사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프로토콜로, 독립적 네트웍 내에서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RIP과 유사하게 IGRP는 홉 카운트를 기준 으로 한 정보를 전송한다. 라우팅 경로의 결정은 회선의 전송능력, 전송지연시간, 회선의 사용율, 신뢰성을 바탕으로 결정한다. IGRP는 또한 복수의 경로상에서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기능을 지원한다. EIGRP는 IGRP보다 더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IGRP 패킷의 첫째 필드는 '버전' 필드로 버전 번호를 포함한다. 이 버전 번호는 사용중인 IGRP의 버전을 표시하여, 신호차이와 비호환성에 대비한 필드이다. 두번째는 'Opcode' 필드로서, 패킷의 형식을 명시한다. '1'은 갱신(Update) 패킷을, '2'는 요청(Request) 패킷을 표시한다. 요청 패킷은 다른 라우터로부터 라우팅 테이블을 요청할 때 사용되며, 이 패킷은 '버전', 'Opcode', 'AS Number' 필드를 담고 있는 헤더로만 구성된다. 갱신 패킷은 라우팅 테이블 엔트리(Entry)를 포함한다. 라우팅 테이블 엔트리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단지 IP 헤더를 포함한 패킷의 크기는 1,500바이트 보다 커서는 안 된다.
세 번째는 '에디션'(Edition) 필드이다 이 필드는 라우팅 테이블이 바뀔 때마다 증가하는 순서 번호를 담고 있다. 이 에디션의 값은 라우터들이 이미 바뀐 정보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다음 필드는 'AS Number'이다. 이것은 라우터들이 다수의 AS들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된다. 한 라우터 내에서 다수의 AS는 다른 AS 라우팅 정보를 유지한다.
다음 세 필드들은 갱신 패킷에 '서브넷의 번호'와 '메이저(Major) 네트워크의 번호', '익스터널(External) 네트워크의 번호'를 표시한다. 이 필드는 IGRP 갱신 메시지가 세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한데, 세 영역은 서브넷의 안쪽, 현재 AS의 안쪽, 현 AS의 외부이다. IGRP 헤더의 마지막 필드는 '체크섬(Checksum)' 필드이다. 이 필드는 받은 패킷의 이상 유무를 계산한다. 갱신 메시지들은 각각의 라우팅 테이블 갱신에 대한 일련의 7개의 데이터 필드를 담고 있다. 첫째 필드는 '주소'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3바이트이고, 다음은 메트릭(Metric)값을 나타내는 5바이트인데, 5바이트 중 첫 번째는 '지연'(Delay), 다음은 '대역폭' 필드, MTU(최대 패킷 크기) 크기를 나타내는 'MTU' 필드로 이루어지며, 세 번째 필드는 'Reliability' 필드(송수신 패킷 전송성공률), 'Load' 필드(사용중인 채널의 비율), '홉 카운트' 필드로 구성된다.
3. 참고문헌
[1]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장유숙 저
[2] 네트워크 강좌, http://empas.com
[3] 네트워크 프로토콜,
[4] 전송 제어 / 인터넷 프로토콜, http://blog.empas.com/tellove9/1853104
BGP는 RIP과 같은 거리값(Distance Vector)에 기반한 라우팅 알고리즘이나, 목적지까지의 경로값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경유하는 AS의 순서를 전송하므로, 거리값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무한 경로값(Counting to Infinity)의 단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스위치에서도 BGP를 지원하는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다.
(5) LAPD·LAPB
LAPD와 LAPB는 각기 ISDN과 X.25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앞에서 설명한 HDLC와 유사한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들은 전송오류의 검출과 복구, 전송순서 제어 및 보존, 복수의 스테이션과 망사이의 전송오류 없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문제 및 스테이션과 망간의 D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LAPD에서는 하나의 회선 상에 복수의 단말이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 2 링크 역시 동시에 복수의 링크를 확립하여 각 링크의 정보전송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을 다중 링크 제어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이것은 하나의 D채널 상에 스루풋(throughput)과 전송 우선순위가 다른 제어신호와 데이터 패킷 등의 전송이 가능하고, 통신로상의 각 단말과 망 사이에서 동시에 D채널을 통해 정보전송이 가능토록 해준다는 의미가 된다.
다중 LAP에서 복수의 레이어 2 링크를 식별하는 방법은 X.25 LAPB에서 주소 필드를 2옥텟로 확장하여, '서비스 제어점 식별자'(SAPI :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단말 종단점 식별자'(TEI : Terminal Endpoint Identifier)와 같은 2가지 하위 필드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SAPI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순수한 정보를 내재한 패킷 데이터인지를 식별하는 용도이며, TEI는 동일 인터페이스상의 복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레이어 2 링크는 SAPI와 TEI의 조합으로 식별되며, 이 둘을 합하여 '데이터링크 접속 식별자'(DLCI :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라고 한다.(이것은 프레임릴레이의 DLCI 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LAPB가 스테이션과 망간에 Point-to-Point 링크를 통한 일대일 통신만을 서비스하는 반면에 LAPD는 브로드캐스트형도 지원한다. 브로드캐스트형은 Point-to-Mutipoint형이라고 하며, 망에서 경로상의 모든 단말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Point-to-Point나 Point-to-Multipoint는 앞에서 설명한 배선형태의 그것과는 다른 의미이다. 브로드캐스트 링크를 형성할 때는 TEI 필드를 모두 '1'로 세트한다.
(6) IGRP·EIGRP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와 EIGRP(Enhanced IGRP)는 시스코(Cisco)사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프로토콜로, 독립적 네트웍 내에서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RIP과 유사하게 IGRP는 홉 카운트를 기준 으로 한 정보를 전송한다. 라우팅 경로의 결정은 회선의 전송능력, 전송지연시간, 회선의 사용율, 신뢰성을 바탕으로 결정한다. IGRP는 또한 복수의 경로상에서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기능을 지원한다. EIGRP는 IGRP보다 더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IGRP 패킷의 첫째 필드는 '버전' 필드로 버전 번호를 포함한다. 이 버전 번호는 사용중인 IGRP의 버전을 표시하여, 신호차이와 비호환성에 대비한 필드이다. 두번째는 'Opcode' 필드로서, 패킷의 형식을 명시한다. '1'은 갱신(Update) 패킷을, '2'는 요청(Request) 패킷을 표시한다. 요청 패킷은 다른 라우터로부터 라우팅 테이블을 요청할 때 사용되며, 이 패킷은 '버전', 'Opcode', 'AS Number' 필드를 담고 있는 헤더로만 구성된다. 갱신 패킷은 라우팅 테이블 엔트리(Entry)를 포함한다. 라우팅 테이블 엔트리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단지 IP 헤더를 포함한 패킷의 크기는 1,500바이트 보다 커서는 안 된다.
세 번째는 '에디션'(Edition) 필드이다 이 필드는 라우팅 테이블이 바뀔 때마다 증가하는 순서 번호를 담고 있다. 이 에디션의 값은 라우터들이 이미 바뀐 정보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다음 필드는 'AS Number'이다. 이것은 라우터들이 다수의 AS들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된다. 한 라우터 내에서 다수의 AS는 다른 AS 라우팅 정보를 유지한다.
다음 세 필드들은 갱신 패킷에 '서브넷의 번호'와 '메이저(Major) 네트워크의 번호', '익스터널(External) 네트워크의 번호'를 표시한다. 이 필드는 IGRP 갱신 메시지가 세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한데, 세 영역은 서브넷의 안쪽, 현재 AS의 안쪽, 현 AS의 외부이다. IGRP 헤더의 마지막 필드는 '체크섬(Checksum)' 필드이다. 이 필드는 받은 패킷의 이상 유무를 계산한다. 갱신 메시지들은 각각의 라우팅 테이블 갱신에 대한 일련의 7개의 데이터 필드를 담고 있다. 첫째 필드는 '주소'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3바이트이고, 다음은 메트릭(Metric)값을 나타내는 5바이트인데, 5바이트 중 첫 번째는 '지연'(Delay), 다음은 '대역폭' 필드, MTU(최대 패킷 크기) 크기를 나타내는 'MTU' 필드로 이루어지며, 세 번째 필드는 'Reliability' 필드(송수신 패킷 전송성공률), 'Load' 필드(사용중인 채널의 비율), '홉 카운트' 필드로 구성된다.
3. 참고문헌
[1]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장유숙 저
[2] 네트워크 강좌, http://empas.com
[3] 네트워크 프로토콜,
[4] 전송 제어 / 인터넷 프로토콜, http://blog.empas.com/tellove9/1853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