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호화
2.광케이블의 특성
3. 라우터의 역할
4. IPv6와 IPv4
5. FTTH와 FTTC
6. IPTV
7. VoIP
2.광케이블의 특성
3. 라우터의 역할
4. IPv6와 IPv4
5. FTTH와 FTTC
6. IPTV
7. VoIP
본문내용
유럽에서 IPv6 네트워크 보급을 위해 시작된 프로젝트로, IPv6 멀티미디어 및 시큐리티 서비스의 보급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종사용자에게 IPv6 액세스 포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첫 유럽형 플랫폼 셋업을 주도하고 있다.
6INIT은 영국, 스칸디나비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등 5개의 지역이 참가하고 있으며, 유럽의 주요 전기 통신회사, 장비 제조업체, 솔루션/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통해서 고품질, 고성능의 상업용 IPv6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INIT의 기본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유럽 최초 IPv6 패킷 전송 서비스의 테스트 및 검증
2. Diffserv 및 IPSec 표준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3. IPv6 네트워크와 IPv4-IPv6 네트워크 및 응용을 위한 운영 절차 개발
4. IPv6 응용의 테스트 및 조기 개발(멀티미디어 응용, 프로페셔널 응용)
현재 6INIT는 VoIPv6, 신문 프린팅 서비스, 뉴스 온 디맨드(News-On-Demand) 서비스 등에 대해서 개발 및 실험을 추진하고 있다.
결론
지금까지 왜 IPv6가 필요하고 연구되는지, 그리고, 그에 발 맞춰 국내외적으로 어떠한 연구들이 이뤄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당장은 분위기상 시기상조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래지 않아서 우리의 모든 네트워크가 서서히 IPv6의 모델로 변경되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이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최고의 대안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기술이 나와서 해결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IPv6가 현존하는 문제들에 대한 최고의 대안책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기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기초 기술력과 시장의 선점일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머나먼 나라의 얘기로 생각할 일이 아닌 것이다.
5. FTTH와 FTTC
FTTH
전화국으로부터 각 가정까지 개별적으로 광섬유를 부설하여 광대역 서비스를 하는 가입자망 방식.전화, 팩스, 데이터, TV 영상의 광대역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통신 서비스가 한 줄의 광섬유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FTTH는 각 가정마다 광섬유를 부설하고, 광 망 종단 장치(ONU)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미 사용중인 광대역 방식을 활용하는 파이버 투 더 존(FTTZ) 방식이 제안되었다.
FTTC
광/전기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광 망 종단 장치(ONU)를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에 문제가 적지 않은 파이버 투 더 홈(FTTH)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광섬유의 복수 가입자 공동 이용 방식. 파이버 투 더 커브(FTTC)의 ‘Curb’는 도로의 연석(緣石)이라는 의미인데, 주택 앞 도로의 연석과 같이 작은 박스를 설치하고 거기서부터 예를 들어 4채의 주택까지 동선을 부설하여 광섬유를 4개 가정에서 공용하면 FTTH보다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선 거리가 짧으면 광대역 신호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IPTV
IP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텔레비전/비디오/오디오/텍스트/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o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
VoD, T-커머스, 오락, 뱅킹, 정보, TV 포털 및 다채널방송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ADSL, FTTH와 같은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디지털 셋톱박스에 연계된 TV 단말기를 이용하여 패킷방식으로 제공되는 양방향 TV 서비스를 말한다.
IPTV는 기존에 PC 기반으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기능이 통합된 서비스 개념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VoD, EPG, T-커머스, 방송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신과 방송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융합서비스이다. IPTV에 대해 현재 명확하게 표준화된 것은 없으나 대부분 국가별, 사업자별로 VoD, 인터넷 TV, IPTV 등을 같은 개념으로 혼용하고 있다.
7.VoIP
인터넷 텔레포니의 핵심 기술로서 지금까지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Internet Protocol)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 음성이 디지털화 되고, 전달 체계로 IP를 이용함으로써 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VoIP 기술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사설 IP 기반망,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들의 복합 망에서도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 및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중요하다. 핵심기술로는 ITU-T에서 개발한 H.323 기반 기술과 IETF에서 개발하는 SIP 기반 기술, 그리고 ITU-T와 IETF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차세대 VoIP 게이트웨이 시장을 주도할 MEGACO(Media Gateway Control) 기반 기술 등이 있다. H.323은 영상회의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위한 구성 기능 요소, 기능, 프로토콜 및 절차 등에 관한 표준이다. 구성요소는 단말장치(End Point),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MCU(Multipoint Control Unit), MP(Multipoint Processor), MC(Multipoint Controller)등이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1999년에 IETF의 공식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현재 여러 분야의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위한 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EGACO/H.248은 전화망을 비롯한 다양한 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요구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프로토콜로서 IETF 또는 ETSI, MSF(Multiservice Switching Forum), ITU-T SG16에서 공동으로 표준화 하였다. VoIP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사업자 들이 H.323보다 기능이 다양한 SIP기반으로 인프라 환경을 고도화하고 있다.
6INIT은 영국, 스칸디나비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등 5개의 지역이 참가하고 있으며, 유럽의 주요 전기 통신회사, 장비 제조업체, 솔루션/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통해서 고품질, 고성능의 상업용 IPv6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INIT의 기본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유럽 최초 IPv6 패킷 전송 서비스의 테스트 및 검증
2. Diffserv 및 IPSec 표준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3. IPv6 네트워크와 IPv4-IPv6 네트워크 및 응용을 위한 운영 절차 개발
4. IPv6 응용의 테스트 및 조기 개발(멀티미디어 응용, 프로페셔널 응용)
현재 6INIT는 VoIPv6, 신문 프린팅 서비스, 뉴스 온 디맨드(News-On-Demand) 서비스 등에 대해서 개발 및 실험을 추진하고 있다.
결론
지금까지 왜 IPv6가 필요하고 연구되는지, 그리고, 그에 발 맞춰 국내외적으로 어떠한 연구들이 이뤄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당장은 분위기상 시기상조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래지 않아서 우리의 모든 네트워크가 서서히 IPv6의 모델로 변경되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이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최고의 대안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기술이 나와서 해결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IPv6가 현존하는 문제들에 대한 최고의 대안책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기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기초 기술력과 시장의 선점일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머나먼 나라의 얘기로 생각할 일이 아닌 것이다.
5. FTTH와 FTTC
FTTH
전화국으로부터 각 가정까지 개별적으로 광섬유를 부설하여 광대역 서비스를 하는 가입자망 방식.전화, 팩스, 데이터, TV 영상의 광대역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통신 서비스가 한 줄의 광섬유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FTTH는 각 가정마다 광섬유를 부설하고, 광 망 종단 장치(ONU)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미 사용중인 광대역 방식을 활용하는 파이버 투 더 존(FTTZ) 방식이 제안되었다.
FTTC
광/전기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광 망 종단 장치(ONU)를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에 문제가 적지 않은 파이버 투 더 홈(FTTH)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광섬유의 복수 가입자 공동 이용 방식. 파이버 투 더 커브(FTTC)의 ‘Curb’는 도로의 연석(緣石)이라는 의미인데, 주택 앞 도로의 연석과 같이 작은 박스를 설치하고 거기서부터 예를 들어 4채의 주택까지 동선을 부설하여 광섬유를 4개 가정에서 공용하면 FTTH보다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선 거리가 짧으면 광대역 신호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IPTV
IP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텔레비전/비디오/오디오/텍스트/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o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
VoD, T-커머스, 오락, 뱅킹, 정보, TV 포털 및 다채널방송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ADSL, FTTH와 같은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디지털 셋톱박스에 연계된 TV 단말기를 이용하여 패킷방식으로 제공되는 양방향 TV 서비스를 말한다.
IPTV는 기존에 PC 기반으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기능이 통합된 서비스 개념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VoD, EPG, T-커머스, 방송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신과 방송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융합서비스이다. IPTV에 대해 현재 명확하게 표준화된 것은 없으나 대부분 국가별, 사업자별로 VoD, 인터넷 TV, IPTV 등을 같은 개념으로 혼용하고 있다.
7.VoIP
인터넷 텔레포니의 핵심 기술로서 지금까지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Internet Protocol)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 음성이 디지털화 되고, 전달 체계로 IP를 이용함으로써 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VoIP 기술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사설 IP 기반망,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들의 복합 망에서도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 및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중요하다. 핵심기술로는 ITU-T에서 개발한 H.323 기반 기술과 IETF에서 개발하는 SIP 기반 기술, 그리고 ITU-T와 IETF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차세대 VoIP 게이트웨이 시장을 주도할 MEGACO(Media Gateway Control) 기반 기술 등이 있다. H.323은 영상회의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위한 구성 기능 요소, 기능, 프로토콜 및 절차 등에 관한 표준이다. 구성요소는 단말장치(End Point),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MCU(Multipoint Control Unit), MP(Multipoint Processor), MC(Multipoint Controller)등이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1999년에 IETF의 공식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현재 여러 분야의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위한 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EGACO/H.248은 전화망을 비롯한 다양한 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요구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프로토콜로서 IETF 또는 ETSI, MSF(Multiservice Switching Forum), ITU-T SG16에서 공동으로 표준화 하였다. VoIP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사업자 들이 H.323보다 기능이 다양한 SIP기반으로 인프라 환경을 고도화하고 있다.
추천자료
이동통신의 기초
GIS 용어정리 E
뇌의구조와기억
디엠비(DMB)
인지과정과 교육방법
DMB 기술과 동향
[VoIP][음성패킷망]VoIP(음성패킷망)의 정의, VoIP(음성패킷망)의 등장, VoIP(음성패킷망)의 ...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인지론][인지][인지론 개념][인지론 적용][인지론 이론가][피아제][인지적 영역]인지론의 개...
[자폐아동]자폐아동(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의 학습능력, 자폐아동(자폐증, 전반적 발달장...
교육 심리 시험 대비문제 요약
e-비즈니스3공통) OSI 7 Layer(계층,레이어)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하고, 그...
유아 기억의 정확성 또는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도 불구하고 법...
성인기 기억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