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과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학과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학의 전래

Ⅱ. 서학의 주요 인물

Ⅲ. 선교사 설립학교

Ⅳ. 서학 수용의 의의

본문내용

고 헤이든(Miss Mary E. Hayden)을 거쳐 1890년에 이르러 비로소 도오티(Miss S. A. Doty) 부인의 관리 밑에서 미비하나마 학교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이 학교가 정신(貞信) 여학교의 전신이다.
3. 선교계 학교의 의의
지금까지 선교계의 근대학교로서 배론학당, 감리교계의 배재학당(남)과 이화학당(여), 장로교계의 경신학교(남)와 정신학교(여)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모두 선교사들에 의해서 설치된 학교들이다. 또 이 나라 의학교육의 시초가 된 '광혜원'을 중심으로 선교계통과 관계없는 근대학교는 없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선교계 학교는 우리나라의 신문화수입과 근대화라는 개화과정에서 그 기여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초기 선교사들이 우리에게 심어준 교육 문화적 기여도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 서양식 교육제도를 처음으로 소개하고 신학문을 수입하는 일에 개척자적 소임을 다했다.
둘째, 교육과 서양인 교사와의 접촉을 통하여 서양인의 문물과 사상과 사고방식을 이 나라에 소개 전달하였다.
셋째, 계급을 타파하고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켰다. 각 학교는 양반이나 서민의 자제를 차별 없이 받아 교육시키고 빈부의 차를 가리지 않고 수용함으로써 교육의 기회균등을 실천했던 것이다.
넷째, 학생들에게 근로의 정신과 자립정신을 가르쳤다.
다섯째, 정규과목 외에 연설회, 토론회, 운동회 같은 특별활동을 장려함으로써 근대적 교육을 전개했던 것이다.
Ⅲ. 서학 수용의 의의
① 18세기에 학문적으로 발달한 서학은 실학의 선구자들에 의해 도입되었고 실학시대의 실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② 특히 정권과 유리된 재야학자들에 의해 발전한 서학은 실정(實正), 실리(實利), 실증(實證)의 합리적 비판적 근대의식을 구현하는 문화운동의 관점에서 이질적이기는 하지만 실학의식의 형성 발전의 외적요인으로 작용하였다.
③ 서양과학서의 연구는 부국안민을 위해 이용후생적인 목적에서 실학발생의 요인이 되었고 형이상학적인 이학 및 종교서들은 남인계 학자들의 도덕의 상승을 위한 목적으로 읽혀졌고, 그 도덕의식이 종교를 흡수함으로써 소위 종교운동 대두시켰다.
④ 당시 남인 학자들은 전근대적이고 봉건적인 전통을 지키려는 형식과 규범을 거부하는 근대적 의식과 득세양반을 중심으로 하는 봉건적 지배의식에 대립된 평등의식이라는 기반 위에서 서학을 수용하게 되었다.
■ 참고문헌 ■
장덕삼, 한국교육사, 서울: 동문사 2003
김영우 성영현 외, 교육사 교육철학, 서울: 교육과학사, 1998
장찬익 노진호,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서울: 백산출판사, 1998
정세화, 한국교육고전의 이해, 서울: 양서원, 1997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7
정찬주 팽영일 외,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 양서원, 1995
http://web.kyunghee.ac.kr/%7Ettoropa/e-w/ew-kang-west.htm
http://chang256.new21.net/board/board.php?db=536&no=207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