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고려와 조선의 교육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고려와 조선의 교육제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의 국자감
(2) 고려의 학당과 향교
(3) 고려의 사학 - 12도와 서당
(4) 조선의 관학 - 성균관

본문내용

화질서의 유지라는 기능 이외에도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양반층에 의해 독점되어 있던 유교적 지식이 일반 서민에게까지 확대됨으로써 우선 당시의 사회신분제도를 떠받치고 있던 기초가 동요하게 된다. 즉 서당교육의 보급이 피지배층으로서의 일반 민의 사회적 의식을 높여, 사회변동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했다는 것이다.
5) 서당교육의 현대적 시사점
학생의 능력에 맞게 학업속도에 차이를 둔 개별화 교육은, 지금의 초등교육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교육이라는 점에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 또한 서당에서는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책을 읽게 했으며 진전이 빠른 학생은 수시로 다음 단계로 나아가게 했는데, 이는 일종의 무학년제라고 볼 수 있다.
(9) 조선의 서원
1) 서원의 등장
조선 건국 이래 서울과 향촌에서 성장해 오던 유학지식인들이 지식인사회(사림)을 형성하기 시작하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 서원이다. 조선의 최초 서원인 백운동서원은 풍기 군수 주세붕에 의해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에 공헌을 한 안향을 배향하기 위한 사묘(祠廟)로 1543년 설립되었다. 국가에 공이 있는 인물이나 선현을 모시는 사묘의 부수기구로 출발한 서원은 관학이 침체되자 학교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띠기 시작했다.
2) 학교적 성격으로의 발전
학교로서의 성장에는 퇴계 이황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다. 퇴계는 관학이 학교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인식하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구로 서원을 주목했다. 그래서 백운동서원의 국가적 공인(사액)을 요청하여, ‘소수서원’이라는 편액과 유학의 경전을 하사받았다. 이것이 서원에 대한 국가의 최초의 사액이었다. 교육과 학문연구를 위한 기구로 정착된 서원은 사림계열의 관료들이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활발하게 활동을 하자 전국에 걸쳐 본격적인 발전을 맞게 된다.
3) 서원의 구성과 교육내용
서원은 선현의 위패를 모시는 사우(祠宇)와 강학소인 서재, 혹은 정사로 구성되어 있었다. 서원의 교육내용은 사서오경을 기본으로 하되 『소학』과 『가례』를 매우 중시하였다. 서원의 수준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에 비해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았다. 서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생원, 진사가 우선 이었으며, 초시합격자나 향학열이 뛰어난 자는 유림의 승인을 받아 입학시켰다. 서원의 교육방법에는 법성현을 받드는 향사(享祀), 주어진 글을 읽고 질의 응답하는 강(講), 마음을 다스리는 정좌법(靜坐法) 등이 있었다.

키워드

  • 가격1,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1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0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