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 목 차 ▣
✔ 서 론
✔ 본 론
Ⅰ. 독일
▪ 독일의 교육제도․초등학교
▪ 독일의 중등교육․직업교육
▪ 독일의 대학교육
▪ 독일의 특수교육․평생교육
Ⅱ. 영국
▪ 교육의 배경․특징
▪ 영국의 교육제도
▪ 영국․한국의 교육제도 비교
▪ 영국 제도의 문제점
▪ 임용정책․교육개혁동향
Ⅲ. 프랑스
▪ 유치원, 초등교육, 성교육
▪ 프랑스의 중등교육
▪ 프랑스의 고등교육
▪ 프랑스의 대학교육
Ⅳ. 이상적인 교육설계
▪ 팀원들 생각 - ‘내가 만약 교육부 장관 이라면
✔ 결 론
✔「참고 문헌」
✔ 서 론
✔ 본 론
Ⅰ. 독일
▪ 독일의 교육제도․초등학교
▪ 독일의 중등교육․직업교육
▪ 독일의 대학교육
▪ 독일의 특수교육․평생교육
Ⅱ. 영국
▪ 교육의 배경․특징
▪ 영국의 교육제도
▪ 영국․한국의 교육제도 비교
▪ 영국 제도의 문제점
▪ 임용정책․교육개혁동향
Ⅲ. 프랑스
▪ 유치원, 초등교육, 성교육
▪ 프랑스의 중등교육
▪ 프랑스의 고등교육
▪ 프랑스의 대학교육
Ⅳ. 이상적인 교육설계
▪ 팀원들 생각 - ‘내가 만약 교육부 장관 이라면
✔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4세 입학
공립
(에콜마테르넬 l'Ecole Maternelle)
만 3세 입학
초등 교육
의무 교육
초등학교
만 6세 입학
6년 교육
의무 교육
(에콜프리메르
l'Ecole primaire)
만 5세 입학
5년 교육
중등 교육
의무 교육(1992년 이후)
중학교
3년 교육
의무교육
(콜레지 le College)
4년 교육 (관찰과정/진로 과정)
고등 교육
< 인문계 고등학교 >
언어, 수리, 사회 , 외국어 영역 등 대학진학을 목표를 위한 학업 중심
< 실업계 고등학교 >
기술능력을 익히고 자격증 취득 등으로 졸업 후 취업이 목표
< 일반 고등학교 >
(Lycee) ‘바칼로레아나’취득목적
< 기술고등학교>
(Lycee Technique)
산업 기술학, 의사 화학, 예술, 관리 분야의 과정
< 직업고등학교>
(Lycee Professionnel)
직업 적성 자격증(CPA), 직업교육 증서(BEP) 취득
대학교
암기력 위주
‘수능 시험’ 점수에 따라 진학
공립, 사립
졸업시험 후 졸업
지식 활용능력위주
‘바칼로레아’가 당락
공립
졸업시험 합격 후 졸업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교육제도 비교]
결 론
지금까지 저희 4팀은 유럽의 교육제도와 학교생활, 직업교육을 알아보았다. 독일, 영국, 프랑스 세 나라의 교육제도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 비교할 수 있었고 또한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각자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프랑스의 그랑제꼴은 소수 인재를 길러내는 특수 교육기관이다. 이 기관으로 프랑스를 이끌어갈 인재양성에 크게 이바지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교육제도 개선은 일반대학생의 경쟁력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어느 나라나 특별한 교육제도를 시행하여 이득을 보았다 할지라도 세월이 흐름에 따라 그 시대의 문제점이나 문화가 달라지듯 항상 좋은 결과만을 낳지 않는다는 생각을 염두 해두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국가의 인재를 키워갈 교육제도의 개편도 조금씩 달라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안에서의 지식습득보다 이제 직장, 현장으로 연결되는 교육이 지금 현시대를 가장 잘 반영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점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실질적인 경험 위주의 교육이야 말로 개인의 경쟁력을 키우면서 국가를 이끌어갈 인재를 키울 수 있는 발판인 것이다.
끝으로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옛 말이 있듯이 그 나라의 미래와 직결된다는 인식하에 교육이 바로 서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의 미래 또한 바로 설수 없다는 문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럽의 교육제도나 직업 교육 등 여러 선진국들의 제도를 무조건 모방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어떤 제도를 시행하기에 앞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많은 검토를 거친 후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정착시키고 시대의 변화의 흐름과 아이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부, 교사, 학교가 노력하고 또한 사교육이 줄어들고 교권회복이 되도록 학부모들의 많은 노력 등 우리 모두의 노력과, 학벌주의를 타파해야겠다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 독일의 교육 >
* 이병준(2005). 개혁교육운동으로서의 독일의 성인교육.
2005 한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05. 5. 28. 53~65쪽.
* 최재정(2002). 개혁교육학.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편.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V. 서울: 교육과학사.
* 이관우, 김희철 : 독일문화의 이해, 학문사 1995.
* 노종희(외) : 교육제도론, 도서출판 하우 1996.
* 김도수 : 평생교육 사회의 교육제도론, 교육과학사 1996.
* 전봉덕 : 최신 독일 유학 안내, 합동국제문화센터 출판부 1997
* 독한국교육원 http://www.keid.de
* 재독한인연합회 http://www.jaedokhanin.de
* 독일정보 http://www.nobelmann.com
* 독일 한인 인터넷 신문 베를린리포트 http://www.berlinreport.com
*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독일언어문학과 http://altair.chonnam.ac.kr/~german
* 한국외대 독일어과 http://san.hufs.ac.kr/~deutsch/information/de_edu.htm
* 도라의 독일 탐험 http://www.dorrazip.com
* 중앙경제 http://www.elabor.co.kr
< 영국의 교육 >
*『먼 나라 이웃나라(영국 편)』 이원복 저
* http://www.ldc-ukguide.com
* http://www.uhakgate.com/menu/uk/uk_8.html
* http://www.bckorea.or.kr/korean/education/guide/element.htm
* http://ynucc.yeungnam.ac.kr/~eduedk
* http://cafe2.daum.net/_21_/
* http://www.lancs.ac.uk/socs/korea/html/sch4
< 프랑스의 교육 >
* 『프랑스의 문화읽기』김경랑 최내경 공저 학문사 2002
* 『프랑스 문화의 이해』 Appreciation of France culture/ 이창순 저. 학문사 2002
* 『프랑스문화의 이해』 김택모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0
* 프랑스 학교 창해 2000
* http://blog.naver.com/byun1748/100024043970
* http://blog.naver.com/23_40/60015597277
* http://www.education.gouv.fr/prim/progec/introduc/horaires.htm
* http://blog.naver.com/lovetrust1?Redirect=Log&logNo=23420388
* http://blog.naver.com/fahrenheit72?Redirect=Log&logNo=40010591171
* 에뒤 프랑스 http://www.edufrance.or.kr
* http://bref.co.kr/debut/liste-ba.htm
공립
(에콜마테르넬 l'Ecole Maternelle)
만 3세 입학
초등 교육
의무 교육
초등학교
만 6세 입학
6년 교육
의무 교육
(에콜프리메르
l'Ecole primaire)
만 5세 입학
5년 교육
중등 교육
의무 교육(1992년 이후)
중학교
3년 교육
의무교육
(콜레지 le College)
4년 교육 (관찰과정/진로 과정)
고등 교육
< 인문계 고등학교 >
언어, 수리, 사회 , 외국어 영역 등 대학진학을 목표를 위한 학업 중심
< 실업계 고등학교 >
기술능력을 익히고 자격증 취득 등으로 졸업 후 취업이 목표
< 일반 고등학교 >
(Lycee) ‘바칼로레아나’취득목적
< 기술고등학교>
(Lycee Technique)
산업 기술학, 의사 화학, 예술, 관리 분야의 과정
< 직업고등학교>
(Lycee Professionnel)
직업 적성 자격증(CPA), 직업교육 증서(BEP) 취득
대학교
암기력 위주
‘수능 시험’ 점수에 따라 진학
공립, 사립
졸업시험 후 졸업
지식 활용능력위주
‘바칼로레아’가 당락
공립
졸업시험 합격 후 졸업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교육제도 비교]
결 론
지금까지 저희 4팀은 유럽의 교육제도와 학교생활, 직업교육을 알아보았다. 독일, 영국, 프랑스 세 나라의 교육제도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 비교할 수 있었고 또한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각자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프랑스의 그랑제꼴은 소수 인재를 길러내는 특수 교육기관이다. 이 기관으로 프랑스를 이끌어갈 인재양성에 크게 이바지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교육제도 개선은 일반대학생의 경쟁력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어느 나라나 특별한 교육제도를 시행하여 이득을 보았다 할지라도 세월이 흐름에 따라 그 시대의 문제점이나 문화가 달라지듯 항상 좋은 결과만을 낳지 않는다는 생각을 염두 해두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국가의 인재를 키워갈 교육제도의 개편도 조금씩 달라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안에서의 지식습득보다 이제 직장, 현장으로 연결되는 교육이 지금 현시대를 가장 잘 반영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점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실질적인 경험 위주의 교육이야 말로 개인의 경쟁력을 키우면서 국가를 이끌어갈 인재를 키울 수 있는 발판인 것이다.
끝으로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옛 말이 있듯이 그 나라의 미래와 직결된다는 인식하에 교육이 바로 서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의 미래 또한 바로 설수 없다는 문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럽의 교육제도나 직업 교육 등 여러 선진국들의 제도를 무조건 모방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어떤 제도를 시행하기에 앞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많은 검토를 거친 후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정착시키고 시대의 변화의 흐름과 아이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부, 교사, 학교가 노력하고 또한 사교육이 줄어들고 교권회복이 되도록 학부모들의 많은 노력 등 우리 모두의 노력과, 학벌주의를 타파해야겠다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 독일의 교육 >
* 이병준(2005). 개혁교육운동으로서의 독일의 성인교육.
2005 한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05. 5. 28. 53~65쪽.
* 최재정(2002). 개혁교육학.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편.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V. 서울: 교육과학사.
* 이관우, 김희철 : 독일문화의 이해, 학문사 1995.
* 노종희(외) : 교육제도론, 도서출판 하우 1996.
* 김도수 : 평생교육 사회의 교육제도론, 교육과학사 1996.
* 전봉덕 : 최신 독일 유학 안내, 합동국제문화센터 출판부 1997
* 독한국교육원 http://www.keid.de
* 재독한인연합회 http://www.jaedokhanin.de
* 독일정보 http://www.nobelmann.com
* 독일 한인 인터넷 신문 베를린리포트 http://www.berlinreport.com
*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독일언어문학과 http://altair.chonnam.ac.kr/~german
* 한국외대 독일어과 http://san.hufs.ac.kr/~deutsch/information/de_edu.htm
* 도라의 독일 탐험 http://www.dorrazip.com
* 중앙경제 http://www.elabor.co.kr
< 영국의 교육 >
*『먼 나라 이웃나라(영국 편)』 이원복 저
* http://www.ldc-ukguide.com
* http://www.uhakgate.com/menu/uk/uk_8.html
* http://www.bckorea.or.kr/korean/education/guide/element.htm
* http://ynucc.yeungnam.ac.kr/~eduedk
* http://cafe2.daum.net/_21_/
* http://www.lancs.ac.uk/socs/korea/html/sch4
< 프랑스의 교육 >
* 『프랑스의 문화읽기』김경랑 최내경 공저 학문사 2002
* 『프랑스 문화의 이해』 Appreciation of France culture/ 이창순 저. 학문사 2002
* 『프랑스문화의 이해』 김택모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0
* 프랑스 학교 창해 2000
* http://blog.naver.com/byun1748/100024043970
* http://blog.naver.com/23_40/60015597277
* http://www.education.gouv.fr/prim/progec/introduc/horaires.htm
* http://blog.naver.com/lovetrust1?Redirect=Log&logNo=23420388
* http://blog.naver.com/fahrenheit72?Redirect=Log&logNo=40010591171
* 에뒤 프랑스 http://www.edufrance.or.kr
* http://bref.co.kr/debut/liste-ba.htm
추천자료
구성주의 관점에서본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모색(교육의 미래,교육제도)
프랑스의 교육제도
독일의 교육제도
교육제도란 무엇인가
[교육사회학]분단하의 교육제도
[북한의사회와경제] 북한의 교육제도에 관하여
미국과 한국의 교육제도 비교
[뉴질랜드 교육]뉴질랜드 교육의 특성, 뉴질랜드 교육의 교육제도, 뉴질랜드 교육의 교육체제...
독일기술교육제도의 현황
교육제도
소비에트연방(러시아, 소련)의 보건의료, 소비에트연방(러시아, 소련)의 교육제도, 도시계획,...
[러시아정부][러시아][관제국민주의]러시아정부의 관제국민주의, 러시아정부의 노동력부족현...
[프랑스사회와문화] 프랑스 사람들과 프랑스 사회, 프랑스의 가정생활과 결혼 그리고 여성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교육제도 및 입시제도 - 그리고 문제 및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