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칼 구스타프 융 (1875~1961)
■ 아니마 (anima) : 마음속의 여성
■ 아니무스 (animus) : 마음속의 남성
■ ‘프린스 앤 프리세스’
- 남성 속의 여성- "아니마" / 여성속의 남성- "아니무스"
■ 아니마 (anima) : 마음속의 여성
■ 아니무스 (animus) : 마음속의 남성
■ ‘프린스 앤 프리세스’
- 남성 속의 여성- "아니마" / 여성속의 남성- "아니무스"
본문내용
아니마 아니무스를 작품속에 형상화 시킴
동성애자 : 그들의 아니마아니무스의 강한 표현
아니마 아니무스의 내용과 성격
● 아니마 : 의식화하기 쉽지 않은 내용.
○ 꿈속에 나타는 황홀한 감동을 주는 이름 모를 여인, 어둠의 베일에 싸인 귀신같은 노파, 청순한 소녀의 상
○ 영원으로 향하는 이념에의 열정, 개인적인 성격
○ 미분화 상태
폭발적 분노, 여성화된 요변스럽고 변덕스러운 남자
분방한 추측과 질투로 부인을 괴롭히는 남자의 경우 완전무결한 호남
○ 잘 분화된 아니마는 창조적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 아니무스 : 복수의 성격, 다수의 재판관, 권위자들의 집회
○ 굽힐 수 없는 당당한 이성적인 판단
○ 미분화 상태
따지는 버릇.
자기의 생각이 정담함을 믿고 이론을 제기할 틈을 주지 않는 확고부동한 의견의 형태
자기의 의견을 증명하기 위한 궤변.
○ 잘 분화된 아니무스는 지혜의 원천
→ 결국 아니마는 비합리적인 감정이며 아니무스는 비합리적인 의견
● 원형의 예
- 샤만 Shaman (영혼의 인도자, 동자, 신의 사자) : 아니무스 원형
- 성오거스틴의 어머니, 맹자의 어머니, 율곡의 어머니 : 아니마 원형에 해당
● 아니마 아니무스를 소재로 한 미디어
영혼의 줄리엣트 (GIULIETTA DEGLI SPIRITI)
* 줄거리
인간 영혼의 미지 세계로의 영화적 탐험으로 가는 "줄리에타에 대한 영화이자 줄리에타를 위한 영화"이며 그녀의 심령론에 대한 편향성을 다룬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 감독의 전기에 이어 이제는 그의 부인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결혼한지 15년이 되는 어느 부인은 그녀의 남편을 속여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줄리에타는 열등의식적 콤플렉스에 괴로워한다. 그녀는 아름답지도 않고 성적으로 매력적이지도 않다. 영화가 시작되고 몇몇 사람들이 영적 교류를 위해 둥그렇게 모여 앉는다. "너는 아무 쓸모없는 인간이다. 그리고 아무런 의미도 없다. 아무 에게도" 그 자리에서 줄리에타는 이 말을 듣고 정신을 잃는다. 사회, 카톨 릭적 교육, 소시민적인 관습은 결혼 후에 그녀의 역활을 축소 시켜 버렸 다. 남편의 외도를 알아차렸을 때 그녀는 생존의 기반을 잃어 버린다.
이 작품은 "치열한 분석"으로 부인과 가정주부에 대한 사회적 정의의 범 주를 넘어선 곳에서 고통스럽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서는 한 인물을 추적한다. 줄리에타는 몽환적인 어린 시절의 체험에 휩싸인다. 그녀는 수 도원 부속학교의 여학생 시절 연극 공연에서 순교자 역할을 맡았었는데 이것은 그녀의 뇌리에 깊이 박힌 끔찍한 체험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심령심리학, 동방적인 구원론이나 정신분석(한때는 계몽의 도구였으나 오늘날 미신의 현대적 변형으로 간주되는) 같은 미신적인 것에 마음이 쉽게 끌렸다.
"희미해져서 가시적인 영역을 넘어서는 현실을 표현하는 것이 나에게는 큰 관심사다"
악령은 그녀를 사로잡는다. 그녀에게 초감각적인 현상들과 그로테스크한 꿈의 세계가 서로 교차한다.
"중대한 비밀은 현실에서 자발적으로 실현된다"
영화에서 이 말은 펠리니가 묘사하려고 했던 "여인의 자기 해방"이었다. 그러나 그는 긍정적인 전환을 신뢰감 있게 전달하지 못했다. 마지막 영상은- 줄리에타 얼굴의 웃음, 빛이 스며나오는 소나무 숲, 이에 배경음악이 깔리는 서커스 음악- 그가 곤경으로부터 모호하게도 재빨리 빠져 나올 때 사용했던 잘 알려진 요술 같은 속임수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 <결혼 피로연>은 미국인 사이먼과 그의 동성 애인이며 부유한 부동산 딜러인 대만인 위동의 동성연애에 대해 약간의 유머를 가미하여 동양적인 정서로 그린 작품이고, 영국영화 <풀몬티>는 동성애가 중반에 잠시 언급되고 있다. 이 두 영화는 두명의 동성연애자들 사이의 남성적, 여성적인 역할이 불분명하지만, 여성의 동성애를 소재로 한 <바운드>는 여성적인 바이올렛과 남성적인 코키의 동성애를 매우 에로틱하면서도 저질스럽지 않게 연출해낸 작품이다. 그리고 남성의 동성애 영화인 <버드케이지>에서는 게이바를 운영하는 아만다 콜먼은 남편의 역할을, 클럽의 스타인 앨버트는 아내의 역할을 하고 있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정신병학자인 칼 G. 융(Carl G. Jung)은 동성애에 대해서 무의식 속에 있는 여성적 성향인 ‘아니마’와 남성적 성향인 ‘아니무스’에 주목했다. 보통 남자, 여자라고 하면 외면적인 성향을 나타내지만 내면에는 반대 성향의 인격요소가 있다는 주장이다. 남자에게는 아니마가, 여자에게는 아니무스가 내면에 있어서 상대에게 투영될 때 이성애를 느낀다는 것이다. 그런데 동성애자들은 자기 자신을 내면의 아니마나 아니무스와 동일시 함으로써 동성에게 끌린다고 설명한다.
제목 : 꽃과 토르소
작가 : 피터 블룸
내용 : 가슴을 드러낸 것으로 여성이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음에도 그녀의 각진어깨, 팔, 엉덩이 선으로 하여 어쩌면 ‘그녀’가 아닌 ‘그’일지도 모른다는 착각이 일어난다.
러시아 태생의 미국작가 피터 블룸은 그의 초기 작품 에서는 초현실주의적스타일을 내포하지만 꿈과 환상에 대한 몽환적 표현과 비현실성을 바탕으로 한 초현실주 의에 관여하지 않고 일상적 삶에 근본적인 관심을 가 졌다.반면에 그의 후기작들에는 점차 리얼리즘 성격이 짙어지지만 작품 ‘꽃과토르소’과 같이 단순한 사실성 이외에 복잡한 알레고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얼굴이 잘려나간 인물의 토르소에서 느껴지는 성별의 모호함을 감추기라도 하듯 꽃은 화려하게 클로즈업 되어 있고 다소 어울리지 않는 풍경으로 얻어낸 공간감으로 더욱 알 수 없는 세계로 이끌리고 있다.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투사를 지닌 이성과의 결합은 매우 이상적이지만 개인의 안과 밖에서 남성적인 힘과 여성적인 힘이 조화롭게 상호 작용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던 융의 이론이 블룸의 작품 앞에서 새로운느낌으로 다가온다.
제목 : 무제
작가 : 루이즈 부르주아
내용 : 무제’에서 보여지는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혼성 묘사는 여성의 남성성(아니무스)과 남성의 여성성(아니마)이 동시에 공존하는 인간으로서의 우선적 이해와 함께 꿰매거나 붙이는 과정을 통한 자신의 트라우마(정신적외상)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동성애자 : 그들의 아니마아니무스의 강한 표현
아니마 아니무스의 내용과 성격
● 아니마 : 의식화하기 쉽지 않은 내용.
○ 꿈속에 나타는 황홀한 감동을 주는 이름 모를 여인, 어둠의 베일에 싸인 귀신같은 노파, 청순한 소녀의 상
○ 영원으로 향하는 이념에의 열정, 개인적인 성격
○ 미분화 상태
폭발적 분노, 여성화된 요변스럽고 변덕스러운 남자
분방한 추측과 질투로 부인을 괴롭히는 남자의 경우 완전무결한 호남
○ 잘 분화된 아니마는 창조적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 아니무스 : 복수의 성격, 다수의 재판관, 권위자들의 집회
○ 굽힐 수 없는 당당한 이성적인 판단
○ 미분화 상태
따지는 버릇.
자기의 생각이 정담함을 믿고 이론을 제기할 틈을 주지 않는 확고부동한 의견의 형태
자기의 의견을 증명하기 위한 궤변.
○ 잘 분화된 아니무스는 지혜의 원천
→ 결국 아니마는 비합리적인 감정이며 아니무스는 비합리적인 의견
● 원형의 예
- 샤만 Shaman (영혼의 인도자, 동자, 신의 사자) : 아니무스 원형
- 성오거스틴의 어머니, 맹자의 어머니, 율곡의 어머니 : 아니마 원형에 해당
● 아니마 아니무스를 소재로 한 미디어
영혼의 줄리엣트 (GIULIETTA DEGLI SPIRITI)
* 줄거리
인간 영혼의 미지 세계로의 영화적 탐험으로 가는 "줄리에타에 대한 영화이자 줄리에타를 위한 영화"이며 그녀의 심령론에 대한 편향성을 다룬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 감독의 전기에 이어 이제는 그의 부인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결혼한지 15년이 되는 어느 부인은 그녀의 남편을 속여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줄리에타는 열등의식적 콤플렉스에 괴로워한다. 그녀는 아름답지도 않고 성적으로 매력적이지도 않다. 영화가 시작되고 몇몇 사람들이 영적 교류를 위해 둥그렇게 모여 앉는다. "너는 아무 쓸모없는 인간이다. 그리고 아무런 의미도 없다. 아무 에게도" 그 자리에서 줄리에타는 이 말을 듣고 정신을 잃는다. 사회, 카톨 릭적 교육, 소시민적인 관습은 결혼 후에 그녀의 역활을 축소 시켜 버렸 다. 남편의 외도를 알아차렸을 때 그녀는 생존의 기반을 잃어 버린다.
이 작품은 "치열한 분석"으로 부인과 가정주부에 대한 사회적 정의의 범 주를 넘어선 곳에서 고통스럽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서는 한 인물을 추적한다. 줄리에타는 몽환적인 어린 시절의 체험에 휩싸인다. 그녀는 수 도원 부속학교의 여학생 시절 연극 공연에서 순교자 역할을 맡았었는데 이것은 그녀의 뇌리에 깊이 박힌 끔찍한 체험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심령심리학, 동방적인 구원론이나 정신분석(한때는 계몽의 도구였으나 오늘날 미신의 현대적 변형으로 간주되는) 같은 미신적인 것에 마음이 쉽게 끌렸다.
"희미해져서 가시적인 영역을 넘어서는 현실을 표현하는 것이 나에게는 큰 관심사다"
악령은 그녀를 사로잡는다. 그녀에게 초감각적인 현상들과 그로테스크한 꿈의 세계가 서로 교차한다.
"중대한 비밀은 현실에서 자발적으로 실현된다"
영화에서 이 말은 펠리니가 묘사하려고 했던 "여인의 자기 해방"이었다. 그러나 그는 긍정적인 전환을 신뢰감 있게 전달하지 못했다. 마지막 영상은- 줄리에타 얼굴의 웃음, 빛이 스며나오는 소나무 숲, 이에 배경음악이 깔리는 서커스 음악- 그가 곤경으로부터 모호하게도 재빨리 빠져 나올 때 사용했던 잘 알려진 요술 같은 속임수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 <결혼 피로연>은 미국인 사이먼과 그의 동성 애인이며 부유한 부동산 딜러인 대만인 위동의 동성연애에 대해 약간의 유머를 가미하여 동양적인 정서로 그린 작품이고, 영국영화 <풀몬티>는 동성애가 중반에 잠시 언급되고 있다. 이 두 영화는 두명의 동성연애자들 사이의 남성적, 여성적인 역할이 불분명하지만, 여성의 동성애를 소재로 한 <바운드>는 여성적인 바이올렛과 남성적인 코키의 동성애를 매우 에로틱하면서도 저질스럽지 않게 연출해낸 작품이다. 그리고 남성의 동성애 영화인 <버드케이지>에서는 게이바를 운영하는 아만다 콜먼은 남편의 역할을, 클럽의 스타인 앨버트는 아내의 역할을 하고 있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정신병학자인 칼 G. 융(Carl G. Jung)은 동성애에 대해서 무의식 속에 있는 여성적 성향인 ‘아니마’와 남성적 성향인 ‘아니무스’에 주목했다. 보통 남자, 여자라고 하면 외면적인 성향을 나타내지만 내면에는 반대 성향의 인격요소가 있다는 주장이다. 남자에게는 아니마가, 여자에게는 아니무스가 내면에 있어서 상대에게 투영될 때 이성애를 느낀다는 것이다. 그런데 동성애자들은 자기 자신을 내면의 아니마나 아니무스와 동일시 함으로써 동성에게 끌린다고 설명한다.
제목 : 꽃과 토르소
작가 : 피터 블룸
내용 : 가슴을 드러낸 것으로 여성이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음에도 그녀의 각진어깨, 팔, 엉덩이 선으로 하여 어쩌면 ‘그녀’가 아닌 ‘그’일지도 모른다는 착각이 일어난다.
러시아 태생의 미국작가 피터 블룸은 그의 초기 작품 에서는 초현실주의적스타일을 내포하지만 꿈과 환상에 대한 몽환적 표현과 비현실성을 바탕으로 한 초현실주 의에 관여하지 않고 일상적 삶에 근본적인 관심을 가 졌다.반면에 그의 후기작들에는 점차 리얼리즘 성격이 짙어지지만 작품 ‘꽃과토르소’과 같이 단순한 사실성 이외에 복잡한 알레고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얼굴이 잘려나간 인물의 토르소에서 느껴지는 성별의 모호함을 감추기라도 하듯 꽃은 화려하게 클로즈업 되어 있고 다소 어울리지 않는 풍경으로 얻어낸 공간감으로 더욱 알 수 없는 세계로 이끌리고 있다.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투사를 지닌 이성과의 결합은 매우 이상적이지만 개인의 안과 밖에서 남성적인 힘과 여성적인 힘이 조화롭게 상호 작용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던 융의 이론이 블룸의 작품 앞에서 새로운느낌으로 다가온다.
제목 : 무제
작가 : 루이즈 부르주아
내용 : 무제’에서 보여지는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혼성 묘사는 여성의 남성성(아니무스)과 남성의 여성성(아니마)이 동시에 공존하는 인간으로서의 우선적 이해와 함께 꿰매거나 붙이는 과정을 통한 자신의 트라우마(정신적외상)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