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내디자인의 경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디자인의 경향
가. Minimal Modern
나. Modern Bright
다. Clear Light
라. Spiritual Calm
마. Minimal Natural
바. Romantic Luxury
사. 퓨전(Fusion)
아. 키치(Kitsch)

2)주거공간 디자인 스타일
가. 클래식 스타일(Classic Style)
나. 모던 스타일(Modern Style)
다. 내추럴 스타일(Natural Style)
라. 전통적 스타일(Traditional Style)
마. 젠 스타일 (ZEN STYLE)
바. 에스닉 스타일(Ethnic Style)

3)실내디자인 경향

본문내용

즉 침대 대신 사 용되는 매트리스, 무릎 아래로 내려진 테이블 등 극도로 절제된 디자인의 가구 들이 사용된다. 때로 승가풍의 가람을 응용한 식탁, 의자, 침대 등으로 구성하 기도 한다.
. 패브릭 : 패브릭 역시 기본 마감재와 마찬가지로 진한 원색의 사용을 배제하고 회색이 나 흰색과 같은 무채색을 사용하여 조용하고 정갈한 분위기를 연 출한다. 소재에 있어서도 마나 실크, 혹은 금속사에 이르기까지 단아하고 정제된 느낌의 패브릭이 사용된다.
. 패 턴 : 패턴이 없는 무지나 대나무 패턴 등 동양적인 이미지의 절제된 표현의 패턴으 로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 조 명 : 전반적으로 조명기구는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하되 가는 스틸 프레임에 한지 를 이용한 스탠드와 같이 선이 강조된 심플한 디자인의 조명을 사용한다.
. 소 품 : 가공되지 않은 자연의 이미지를 표현한 돌, 철재, 나무 등의 소재의 소품으로 미니멀한 이미지를 강조한다.
. 그린 인테리어 : 선의 흐름을 위주로 한 꽃꽂이는 젠 스타일에 있어서 필수적인 그린 인테리어 아이템이다. 풍성한 한아름의 꽃보다는 가늘고 단아한 꽃의 매무새가 공간의 이미지를 바꾸어 놓을 수 있다.
< 질서있고 절제된 디자인이 단아하고 정제된 이미지를 연출하는 거실 >
< 장식 벽의 단아한 선이 차분함을 주는 침실 >
< 절제된 선으로 여백의 여유 있다 블랙과 레드의 칼라매치로 정갈함이 돋보이는 일본풍의 식당 >
바. 에스닉 스타일(Ethnic Style)
민속적이고 토속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에스닉 스타일은 원시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에스닉한 요소들을 조금만 변형시켜 생활공간에 반영한다면 색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마감재 : 깔끔한 마감보다는 약간은 거칠고 투박한 느낌의 투박한 소재의 마감재가 적 당하다. 원목느낌의 거친 마루바닥재나 토분의 느낌이 나는 타일 등에 티베트 산 카펫이나 인도 풍의 러그를 매치 시키면 좋다. 벽의 경우 밋밋한 흰 벽보 다는 강렬한 오렌지 빛의 페인팅이나 기하학적인 타페스트리를 걸면 에스닉한 분위기를 낼 수 있을 것이다.
. 가 구 : 토속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소박하고 다소 투박한 느낌의 자연소재의 가구가 적당하다. 잘 다듬어지지 않은 목가구, 노끈이나 자연소재의 패브릭으로 엮어진 가구, 토속적인 패턴이 있는 패브릭 의자, 혹은 인디언 풍의 가죽의자 등으로 이색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 패브릭 : 에스닉풍에서 패브릭과 소품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아이템이다. 에스닉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화려하고 강렬한 색상들, 독특한 문양, 자연염색 기법 으로 색을 입힌 원색적인 패브릭을 적절히 구사한다면 이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패 턴 : 페이즐리나 기하학적인 문양은 에스닉의 대표적인 패턴이다. 특히 손으로 찍 어서 그린 듯한 투박한 패턴들은 강렬한 색채와 어우러져 이국적인 분위기를 낼 수 있다.
. 커 튼 : 에스닉풍에서는 전형적인 커튼을 달기보다는 에스닉풍의 패브릭을 창에 드리우 는 것으로 커튼을 대신할 수 있다. 봉을 사용할 경우는 매끈한 봉보다는 투박하 고 나뭇가지를 잘라 놓은 듯한 모양을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벽이 강렬한 색채 일 경우에는 가벼운 소재의 컬러풀한 커튼도 분위기를 내는데 도움을 준다.
. 소 품 : 이국적인 목각, 도자기 등의 소품은 공간에 포인트를 준다. 색유리, 타일, 핸 드메이드 토기 등 실제 생활에 쓰이는 여러 도구들을 통해 빚어내는 아름다움은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 그린 인테리어 : 에스닉한 공간에는 선인장, 야생화 등의 식물로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 출한다.
< 화려한 산타페풍의 패브릭이 낡은 듯 투박한 가구와 어울려 토속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거실>
< 모자이크타일로 이국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산타페풍의 거실벽난로 >
< 자연스런 황토마감과 토속적인 장신구로 원시자연의 느낌을 연출한 침실 >
3) 실내 디자인의 경향
. 가까운 미래사회의 변화와 전통생활 양식을 동시에 반영
. 부엌의 공간적 기능확대와 식당중심의 가족생활을 수용하기 위해 남향으로 배치
. 가족생활 패턴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가변형 공간개념을 도입
. 발코니 공간의 확장 및 기능의 강화
2000년대의 아파트는 거실중심에서 식당중심으로 바뀌는 등 변화하고 있다. 현재 아파트는 가족단위의 폐쇄적인 생활에 적합하도록 거실과 식당과 부엌이 중시된다.
2000년대엔 여가시간에 집에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잘 다듬어진 정원이나 널찍한 발코니가 중시된다. 서재와는 달리 자신의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도 요구된다. 손님을 맞이할 수 있는 방도 마련될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 주택의 경우 안방이 중심지였으나 아파트가 본격적으로 선보인 70년대에 접어들면서 거실이 실내공간의 중심이 됐다. 앞으로는 바쁜 일상에서 가족끼리 오붓이 어울릴 수 있는 식당이 중심지로 자리잡을 것이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가변형 주택이 앞으로 아파트 시장을 선도하는 상품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식구수가 변하거나 계절에 따라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소비자에게 점점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잇따라 선보이고 있는 초고층주택이 점차 늘어날 것이다. 대도시지역의 지가 상승이 불가피하고 택지가 거의 없으므로 초고층으로 짓는 게 유일한 해결책이다. 초고층주택 건축비용도 건축기술이 발전하면 점차 싸질 것이다.
정보화사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PC통신 인터넷 등을 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된 사이버주택이 일반화될 것이다. 집안의 온도 습도 등을 자동조절하고 인터넷으로 홈쇼핑을 하고 간단한 건강진단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인텔리전트주택이 대중화된다.
< 참고문헌 >
자료 : IRI 디자인 연구소, Monthly Interior Design, 2000
자료 : IRI디자인 연구소, Monthly INTERIORS, 2000, 03
월간 DESIGN NET, 2000, 06, p.23-67
http://jungle.co.kr
http://my.netian.com/~5881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6.2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