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음악사 (고전주의시대 - 낭만주의시대 - 현대시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음악사 (고전주의시대 - 낭만주의시대 - 현대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2]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3]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4] 국민악파

[5] 신고전주의 음악

[6] 전자음악과 컴퓨터 음악

[7] 신낭만주의[ 新浪漫主義, Neo-Romanticism]

본문내용

관심을 갖고, 작품 재료의 선택과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우연'의 요소를 도입합니다.
즉 악기나 음향의 선택 또는 음의 높이나 강약은 작곡가의 의도에 따라 결정되지 않고, 동전이나 주사위를 던져서 우연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하고, 작품을 연주하는데 있어서도 연주의 순서나 방법이 우연에 의해 결정되는 음악을 쓴 것입니다.
이로써 음악은 예측할 수 없는 우연에 의해 만들어지게 됩니다. 고정된 작품 틀은 이제 존재하지 않고, 연주할 대마다 작품은 순간 순간 새로 태어납니다.
음렬음악에 심취했던 슈톡하우젠, 불레즈도 50년대 중반에 '우연'의 요소를 음악에 도입했습니다. '알레아'는 '주사위, 주사위 놀이, 우연' 등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차용된 개념으로서, 연주와 해석에 우연의 요소를 도입하여 다양한 열린 형식을 추구했습니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슈톡하우젠의 <피아노 작품?>(1956), 불레즈의 <피아노 소나타 3번>(1957)등이 있습니다.
[6] 전자음악과 컴퓨터 음악
20세기 후반에는 전자매체를 사용한 음악이 다양하게 시도되었습니다. 이는 녹음기, 신디사이저, 컴퓨터 등 급격하게 발전된 과학기술의 발달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또한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 작곡가들은 전통적인 악기의 한계를 느꼈기 때문에 전자악기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50년대 이후에는 전자매체의 발전, 그리고 음렬주의 음악의 문제점 인식과 더불어, 작곡가들은 기존의 전통적 악기를 사용하지 않은 음악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구체음악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셰퍼는 소음, 악기소리, 새소리 같은 구체적인 음향을 녹음, 편집, 가공하여 여러 개의 꼴라쥐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빠리에는 "구체음악 그룹"이 만들어졌고, 여기에는 메시앙, 불레즈, 제나키스 등이 참여했습니다.
전자음악은 전자로 만들어낸 음향이나 작품을 의미합니다(그러므로 좁은 의미에서 기존의 소리를 사용하는 구체음악은 전자 음악에 속하지 않음). 전자음악은 소리제조기에서 만들어진 지누스 음들을 합성하는 소리합성기를 사용함으로써 시작되었습니다.
최초의 전자음악은 1951년 독일 쾰른 방송국에 설립된 전자 음악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발전되는데, 이는 작곡가이며 이론가였던 아이머트에 의해 창립되었고, 여기에서 슈톡하우젠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음악을 실험하고 작곡했습니다. 이후 유럽과 미국에는 많은 전자음악 스튜디오가 만들어졌습니다.
전자음악은 작곡가가 발음기로 지누스 음을 겹치게 하고 뛰게 하고 소음을 주거나 억눌러 재료를 생산하고, 이 재료를 일그러뜨리거나 메아리치게 하여 변화시키고 결합시키면서 만들어냈습니다.
최초의 순수 전자음악 공연은 슈톡하우젠의 (1953)입니다. 이 작품은 지누스 발음기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진 음을 결합하여 만든 작품입니다.
구체음악 (Musique concrete; Eng. tape music).
주위의 일반적인 소리들을 녹음하여, 그것들을 수정, 조합, 편집하여 만든 음악.
음향작곡
60년대 초반에는 음의 개별적 요소를 강조하는 음렬음악과는 대조적으로 음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음의 다양한 결합과 음색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음악의 감각적 청취를 새롭게 모색한 이러한 음악에서는 음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음향작곡 또는 음향의 다양한 결합을 통한 음색을 중요시하므로 음색작곡이라 부릅니다.
선율, 리듬, 음정, 강세 등등을 개별적으로 구분하는 음렬작곡과는 다르게, 이러한 요소에서 해방된 <음향> 자체를 중시하는 작곡 경향은 60년대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선호되었습니다. 전통적 악기의 다양한 음향을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음향작곡에서는 음렬음악에 나타난 구성의 문제나 연주의 문제가 사라집니다.
1961년 발표된 리게티의 관현악곡 <아트모스페르>에서는 음향이 가장 중요한 음악으로 보아 선적 선율이 없이 생성하고 사라지는 흐름의 연속으로 들리게 됩니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음향의 흐름은 밀착되어 진행하는 성부들의 움직임에 의해 구성되었습니다.
리케티는 흔히 2도 음들을 겹치게 함으로써 음전과 화성을 제거하고, 관습적인 리듬구성을 배제했습니다.
톤클러스터[ tone cluster]
온음 이내의 좁은 음정 간격에서 다수의 음이 나는 밀집음군.
현대음악에서 일종의 작곡기법으로 쓰이고 있다. 이와 같은 예는 피아노의 건반을 손가락 대신 손바닥이나 팔로 연주할 때 일어나며, 글리산도의 형식을 취하거나 첫 음의 수를 차차 증감해서 음군(音群)에 의한 선율선(旋律線)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폴란드의 K.펜데레츠키가 《히로시마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1960)에 써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또 헝가리의 G.리게티는 92성부(聲部)의 오케스트라에 의해서 정밀한 구조의 톤클러스터를 실현하였다. 악보에서는 클러스터 부분을 검게 칠해서 적는 일이 많다.
최소음악(Minimal Music)
최소음악은 베베른이 보여주었던 극단적으로 농축된 짧은 음악이 아니라, 오히려 예술가의 주관적 의도를 축소시키고, 그 대신에 통일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 재료의 효과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최소음악에는 소수의 음악적 재료만이 사용되고, 이것들은 대부분 많이 반복되었습니다. 청중은 지금까지 음악 청취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느낌을 갖게 되고, 계속적으로 비슷한 소리의 유형을 들으면서 명상의 세계로 들어갑니다.
[7] 신낭만주의[ 新浪漫主義, Neo-Romanticism]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융성하였던 문학사조.
좁은 뜻으로는 1905년경 독일에서 자연주의의 일면적(一面的)인 현실숭배에 반대하여 일어난 운동을 말한다. R.바그너의 음악과 니체의 철학에 자극되고, 오래된 독일 낭만파의 전통, 그리고 프랑스 상징주의의 영향 등에 촉진되어 자연주의에 반대하고 공상과 감정에 시적 창조력의 권위를 인정하는 낭만주의로 복귀하려는 운동이었다. 대표 작가로는 S.게오르게, H.호프만슈탈, R.M.릴케, R.후흐 등을 들 수 있다. 당시 그들은 프랑스 상징파와의 교류가 있었으며, 이 신낭만주의는 전 유럽적인 상징주의의 운동에 포함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