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프로이트에 대한 이해
A. 프로이트의 생애
B. 프로이트의 종교관
1. 종교의 기원
2. 종교에 대한 이해
C. 공헌점
D. 한계점
III. 결론
II. 프로이트에 대한 이해
A. 프로이트의 생애
B. 프로이트의 종교관
1. 종교의 기원
2. 종교에 대한 이해
C. 공헌점
D. 한계점
III. 결론
본문내용
에게 있어서 신에 대한 믿음은 과학에 대한 믿음, 다른 말로 하면, 과학에 대한 유사 종교적 믿음으로 대체되었다. 과학에 대한 믿음이 신에 대한 믿음을 대체할 수 있을까? 프로이드의 예언과는 반대로 과학의 확실한 진전(가공할 파괴력의 무기나 생명복제 기술 등)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과학에 대한 믿음(과학은 자동적으로 진전을 의미하고, 그리하여 이것은 우주적인 인류의 행복으로 이끄는 열쇠라는 믿음)을 의심하게 한다. 때때로 과학의 전진과 기술은 종말론적 공포에 이르게까지 하는, 어떤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퍼지고 있다. 과학 그 자체는 인간의 비물질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고 인간의 삶을 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만들어주는, 그리고 진정 인간으로 만들어주는 그런 가치들을 줄 수 없다는 것을, 프로이드는 과학을 맹신함으로써 볼 수 없었다.
) 위의 책, p.503-504
마지막으로, 가부장적인 입장에서 아버지와 아들간의 관계만에 집중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만으로 종교의 기원을 설명하려 하였다. 아버지와의 관계 이전에 먼저 관계를 맺게 되는 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해 통찰할 수 있었다면 종교에 대해 이렇게까지 부정적이지 않았을 것이고 좀 더 긍정적이고 하나님에 대한 모성애적인 면도 발견할 수 있었을 것이다.
III. 결론
프로이드는 그가 만든 가정 즉, 종교는 거짓이고 과학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정신분석 안에 인간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열쇠가 있다는 가정 때문에 그는 극히 좁은 세계 안에서 그의 삶을 마쳤다. 프로이드의 무신론은 가정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삶이란 무엇이고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일어나는가를 질문하며 산다. 또한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소망을 가지고 산다. 가장 궁극적인 소망은 무엇인가? 그것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 싶은 욕망인 것이다. 이러한 것들에는 병리학적인 어떤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집단 신경증의 존재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생각할 수 있는 힘이 있고 또한 극히 자연스러운 질문이며 인간이 가지는 소망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프로이드는 그가 생각하는 과학이 대답할 수 없는 이러한 질문의 중요성을 인정하기를 거부했다. 인간에게 있어서 이런 중요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추구하는 것은 종교의 한 근원이고 인간의 정상적인 경험의 한 부분이다. 프로이드는 이 경향을 무시했던지 또는 그것을 비정상인 것으로 취급했다. 따라서 오늘날 기독교 교육자들과 심리학자들은 적어도 프로이드가 무신론자였다는 것과 반기독자였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그의 정신분석적 심리학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찬국,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철학과 현실사, 2001)
최재락,『프로이드의 종교이해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 신학과 선교, 1998년(통권 23집), p479-504.
박노권,『프로이트의 종교이해와 그 한계』,기독교사상,1997년 10월(통권 466호),p125-142.
지그문트 프로이드, 「종교의 기원」, 이윤기 역 (서울 : 열린자료,1997)
) 위의 책, p.503-504
마지막으로, 가부장적인 입장에서 아버지와 아들간의 관계만에 집중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만으로 종교의 기원을 설명하려 하였다. 아버지와의 관계 이전에 먼저 관계를 맺게 되는 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해 통찰할 수 있었다면 종교에 대해 이렇게까지 부정적이지 않았을 것이고 좀 더 긍정적이고 하나님에 대한 모성애적인 면도 발견할 수 있었을 것이다.
III. 결론
프로이드는 그가 만든 가정 즉, 종교는 거짓이고 과학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정신분석 안에 인간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열쇠가 있다는 가정 때문에 그는 극히 좁은 세계 안에서 그의 삶을 마쳤다. 프로이드의 무신론은 가정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삶이란 무엇이고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일어나는가를 질문하며 산다. 또한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소망을 가지고 산다. 가장 궁극적인 소망은 무엇인가? 그것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 싶은 욕망인 것이다. 이러한 것들에는 병리학적인 어떤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집단 신경증의 존재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생각할 수 있는 힘이 있고 또한 극히 자연스러운 질문이며 인간이 가지는 소망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프로이드는 그가 생각하는 과학이 대답할 수 없는 이러한 질문의 중요성을 인정하기를 거부했다. 인간에게 있어서 이런 중요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추구하는 것은 종교의 한 근원이고 인간의 정상적인 경험의 한 부분이다. 프로이드는 이 경향을 무시했던지 또는 그것을 비정상인 것으로 취급했다. 따라서 오늘날 기독교 교육자들과 심리학자들은 적어도 프로이드가 무신론자였다는 것과 반기독자였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그의 정신분석적 심리학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찬국,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철학과 현실사, 2001)
최재락,『프로이드의 종교이해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 신학과 선교, 1998년(통권 23집), p479-504.
박노권,『프로이트의 종교이해와 그 한계』,기독교사상,1997년 10월(통권 466호),p125-142.
지그문트 프로이드, 「종교의 기원」, 이윤기 역 (서울 : 열린자료,1997)
키워드
추천자료
종교의례와 분석철학 ( 핑가레트의 공자 해석을 중심으로 )
종교적 현상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에서 종교의 의미(유교를 중심으로)
나이팅게일의 간호관
[무신론][신론][신][마르크스][막스][맑스][사르트르][신론의 존재][신과 무신론][마르크스의...
융의 생애와 사상
한국과 한국인에게 종교-유교의 의미
사회화 생애과정 고령화 원인및 문제점 해결방안 보고서 - 사회화 과정 및 이론, 생애과정, ...
피아제의 생애 및 이론
인본주의 이론 - 자아실현이론 : 매슬로우(Maslow)의 생애와 인본주의이론, 인본주의이론과 ...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의 생애
칼뱅사상과 실천,칼뱅주의,칼뱅주의의,루터 칼뱅 비교,루터와 칼뱅의 근본 사상,루터와 칼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