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고와 여성
2. 광고 속에서의 여성
1)남성, 여성의 역학 이미지의 고정화
2)의존적 모습의 여성
3)성적 대상으로서의 여성들
4)현대 광고 속에서의 여성들
3. 현대 광고가 나아가야 할 방향
2. 광고 속에서의 여성
1)남성, 여성의 역학 이미지의 고정화
2)의존적 모습의 여성
3)성적 대상으로서의 여성들
4)현대 광고 속에서의 여성들
3. 현대 광고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한 모습보다는 실제 인물이 등장하여 당당하고 전문적인 세계를 열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셋째,과거와 달라진 부부관계 속에 여성상이 새로워지고 있다.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남으로써 「남자는 바깥일,여자는 집안일 」의 벽이 허물어지고,시간적 여유가 줄어들면서 하루 2 4시간이라는 한정된 시간을 어떻게 하면 합리적으로 보낼까를 고민하게 되었다.맥심 모카골드 커피광고에서는 아침에 눈을 뜨면 침대에서 남편이 가져다준 모닝커피를 마시며 우아하게 잠을 깨는 여성을 보여준다.『일주일에 한번 난 아내가 된다 』라는,차승원이 등장하는 애경 순샘 광고는 여성이 억지로 집안일의 분담을 요구하고 남성은 마지 못해 하는 식이 아니라 여성이 오히려 말려도 자진해서 즐겁게 가사일을 분담하는,남성의 달라진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준다.
Ⅲ.현대 광고가 나아가야 할 방향
광고이든 어느 종류의 매체이든지간에 그것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느냐는 매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책임이다. 광고주나 기업가, 현장에서 직접 뛰는 광고인들이 1차적인 책임감으로 올바른 광고 문화를 형성해나가야 한다. 또한 수용자의 입장에서는 정당한 주장과 근거있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져야만 그들이 지닌 2차적 책임을 완수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시각으로 광고를 보려함은 어느 특정의 이익을 대표하고자 함이 아니다. 수용자로서 비판의 일익을 담당하고자 함이며 부정적 여성의 이미지를 시정하고 나아가 보다 다면화되고 긍정적인 여성 이미지의 구축에 그 목적을 둔다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광고가 안고 있는 여성 차별의 색채는 쉽사리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스테레오 타입과 차별 주의가 효과적인 판매 수법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매력적이고 성적인 여자가 나오는 광고는 특히 남성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할 때 주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남자나 여자나 모두들 자기가 매력적이고 성적이 다고 인식하는 인물을 바라보고 싶은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를 추구하는 욕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미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 때문에 광고의 성차별을 용납할 수 없다. 남녀 모두를 존중할 때, 전통적인 남녀 역할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당연한 과정으로 받아들일 때 그리고 광고물 제작의 모든 세부 사항이 중심적인 메시지를 확실히 보강시킬 때, 그 광고는 효과적이면서 동시에 진보적인 광고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셋째,과거와 달라진 부부관계 속에 여성상이 새로워지고 있다.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남으로써 「남자는 바깥일,여자는 집안일 」의 벽이 허물어지고,시간적 여유가 줄어들면서 하루 2 4시간이라는 한정된 시간을 어떻게 하면 합리적으로 보낼까를 고민하게 되었다.맥심 모카골드 커피광고에서는 아침에 눈을 뜨면 침대에서 남편이 가져다준 모닝커피를 마시며 우아하게 잠을 깨는 여성을 보여준다.『일주일에 한번 난 아내가 된다 』라는,차승원이 등장하는 애경 순샘 광고는 여성이 억지로 집안일의 분담을 요구하고 남성은 마지 못해 하는 식이 아니라 여성이 오히려 말려도 자진해서 즐겁게 가사일을 분담하는,남성의 달라진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준다.
Ⅲ.현대 광고가 나아가야 할 방향
광고이든 어느 종류의 매체이든지간에 그것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느냐는 매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책임이다. 광고주나 기업가, 현장에서 직접 뛰는 광고인들이 1차적인 책임감으로 올바른 광고 문화를 형성해나가야 한다. 또한 수용자의 입장에서는 정당한 주장과 근거있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져야만 그들이 지닌 2차적 책임을 완수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시각으로 광고를 보려함은 어느 특정의 이익을 대표하고자 함이 아니다. 수용자로서 비판의 일익을 담당하고자 함이며 부정적 여성의 이미지를 시정하고 나아가 보다 다면화되고 긍정적인 여성 이미지의 구축에 그 목적을 둔다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광고가 안고 있는 여성 차별의 색채는 쉽사리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스테레오 타입과 차별 주의가 효과적인 판매 수법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매력적이고 성적인 여자가 나오는 광고는 특히 남성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할 때 주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남자나 여자나 모두들 자기가 매력적이고 성적이 다고 인식하는 인물을 바라보고 싶은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를 추구하는 욕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미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 때문에 광고의 성차별을 용납할 수 없다. 남녀 모두를 존중할 때, 전통적인 남녀 역할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당연한 과정으로 받아들일 때 그리고 광고물 제작의 모든 세부 사항이 중심적인 메시지를 확실히 보강시킬 때, 그 광고는 효과적이면서 동시에 진보적인 광고가 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