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는 사례광고를 분석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수의 소비자가 일반인 광고모델 기용 광고에서 신선함과 개성을 느낄 수 있다고 대답하여 일반인 광고모델 기용 광고가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둘째, 증언식 광고의 경우 응답 소비자의 반수가 불신을 표하는 결과를 얻어 선행 연구 결과들을 뒤집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광고가 일반인 광고모델을 사용하여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표방하더라도 소비자는 그것을 연출된 상황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전까지의 증언식 광고에 대한 긍정적 연구 결과들에 문제를 제기한다. 셋째, 대다수의 소비자가 일반인 광고모델을 사용한 감성광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광고를 접한 뒤 광고주 기업의 이미지 또한 향상되었다고 답변하였기 때문에 기업PR광고에 이를 활용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지니고 있다.
첫째, 앞서 증언식 광고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는데, 그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체적 원인 데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같은 기업PR용 감성광고라 하더라도 유명모델 일 때와 일반인 광고모델일 때 그 효과에서 기대되는 내용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비교도 가능할 것이라 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친근함현실감을 바탕으로 한 일반인 광고모델 사용 광고는 매스커뮤니케이션 광고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좀 더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꾀하기 위해 적극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병희(2001). 『광고콘텐츠의 신세계』. 파주: 진한도서.
마정미(2000). 『지루한 광고에 도시락을 던져라』. 파주: 문예출판사
이종호(2000). 『광고론』. 파주: 경문사.
도선재, 황장선(2008). TV광고의 모델 사용 유형에 대한 내용 분석. 『광고학 연구』, 19, 페이지 불명.
박영목(1993). 광고모델의 유명도와 메시지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여고생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이호배, 전달영(1996). 유명인 광고모델과 일반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 비교. 『광고연구』,30, pp. 151-78.
이화자(1997). 증언식 광고의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광고연구』, 36, pp. 87-108.
나성엽, 증언광고, 신뢰도 ‘쑥’, 친근감 ‘확’, 『동아일보』, (2002-10-14)
송영원, <내 가족, 내 친구도 패션모델이 될 수 있다?!>, <<한국경제 bnt뉴스>>, 2010-02-26,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002261812013&mode=sub_view
조현정, <아이오페 다시쓰는 여자이야기, 실제 이야기 CF에 \'공감\'>, <<스포츠 서울>>, 2010-01-18,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786099.htm?imgPath=entertain/broad/2010/0118/
최갑천, <평범한 몸매 ‘일반인 모델’ 통한다>, <<파이낸셜 뉴스>>, 2010-03-16,
http://www.fnnews.com/view?ra=Sent1001m_View&corp=fnnews&arcid=0921927902&cDateYear=2010&cDateMonth=03&cDateDay=16
<끼 많은 일반인 광고모델 인기>, <<프라임경제>>, 2010-07-27,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600
연구 결과 첫째, 다수의 소비자가 일반인 광고모델 기용 광고에서 신선함과 개성을 느낄 수 있다고 대답하여 일반인 광고모델 기용 광고가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둘째, 증언식 광고의 경우 응답 소비자의 반수가 불신을 표하는 결과를 얻어 선행 연구 결과들을 뒤집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광고가 일반인 광고모델을 사용하여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표방하더라도 소비자는 그것을 연출된 상황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전까지의 증언식 광고에 대한 긍정적 연구 결과들에 문제를 제기한다. 셋째, 대다수의 소비자가 일반인 광고모델을 사용한 감성광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광고를 접한 뒤 광고주 기업의 이미지 또한 향상되었다고 답변하였기 때문에 기업PR광고에 이를 활용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지니고 있다.
첫째, 앞서 증언식 광고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는데, 그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체적 원인 데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같은 기업PR용 감성광고라 하더라도 유명모델 일 때와 일반인 광고모델일 때 그 효과에서 기대되는 내용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비교도 가능할 것이라 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친근함현실감을 바탕으로 한 일반인 광고모델 사용 광고는 매스커뮤니케이션 광고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좀 더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꾀하기 위해 적극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병희(2001). 『광고콘텐츠의 신세계』. 파주: 진한도서.
마정미(2000). 『지루한 광고에 도시락을 던져라』. 파주: 문예출판사
이종호(2000). 『광고론』. 파주: 경문사.
도선재, 황장선(2008). TV광고의 모델 사용 유형에 대한 내용 분석. 『광고학 연구』, 19, 페이지 불명.
박영목(1993). 광고모델의 유명도와 메시지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여고생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이호배, 전달영(1996). 유명인 광고모델과 일반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 비교. 『광고연구』,30, pp. 151-78.
이화자(1997). 증언식 광고의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광고연구』, 36, pp. 87-108.
나성엽, 증언광고, 신뢰도 ‘쑥’, 친근감 ‘확’, 『동아일보』, (2002-10-14)
송영원, <내 가족, 내 친구도 패션모델이 될 수 있다?!>, <<한국경제 bnt뉴스>>, 2010-02-26,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002261812013&mode=sub_view
조현정, <아이오페 다시쓰는 여자이야기, 실제 이야기 CF에 \'공감\'>, <<스포츠 서울>>, 2010-01-18,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786099.htm?imgPath=entertain/broad/2010/0118/
최갑천, <평범한 몸매 ‘일반인 모델’ 통한다>, <<파이낸셜 뉴스>>, 2010-03-16,
http://www.fnnews.com/view?ra=Sent1001m_View&corp=fnnews&arcid=0921927902&cDateYear=2010&cDateMonth=03&cDateDay=16
<끼 많은 일반인 광고모델 인기>, <<프라임경제>>, 2010-07-27,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600
키워드
추천자료
광고효과 측정에 대한 이해( 광고)
광고효과 단계에 있어서 평가목표, 관여도, 태도 자신감의 조절적 작용
광고효과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광고전략수립이론,사례,효과분석
광고효과) 미샤 모이스춰 립스틱광고 효과 분석
[광고학개론]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섹스어필광고의 마케팅 효과분석
[미디어영상학과 - 광고기획제작]32-E형 광고의 효과적인 크리에이티브를 위해 갖추어야 할...
2012년 1학기 광고기획제작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광고의 효과적 크리에이티브 요소)
호스트 셀링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_맥락효과와 프로그램 전후 및 중간광고 비교
광고 효과 분석
TV광고 2편 광고효과분석
광고의 효과적인 크리에이티브
광고 캠패인 사례 중에서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광고컨셉 사례’는 무엇이고 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