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일반적 정보
2.수술 과정
3.질병기술
1)해부학
-골구조(Osseous Structure)
-관절외 구조(Extraarticular Structure)
-관절내 구조(Entraarticular Structure)
2)무릎주변의 활액낭염.
-병인과 병리
-슬와부낭종(Popliteal cyst)
<<약물>>
-marcaine
2.수술 과정
3.질병기술
1)해부학
-골구조(Osseous Structure)
-관절외 구조(Extraarticular Structure)
-관절내 구조(Entraarticular Structure)
2)무릎주변의 활액낭염.
-병인과 병리
-슬와부낭종(Popliteal cyst)
<<약물>>
-marcaine
본문내용
일도 드물지 않다. 때로는 Baker가 최초로 기재한 결핵이나 기타 등의 보고에서 볼수 있듯이 색소성 융모결절성 활막염으로도 합병된다.
신전위에서 popliteal region 으로 계란 크기에 소아의 주먹크기만한 파동성이 있는 부드러운 종양을 접촉하지만 한계는 그다지 명료치 않다. 굴곡위에서 종양은 불명으로 있다. 환자는 이 부위에 긴장감과 권태감을 호소함과 동시에 굴곡제한이 있어서 정좌가 곤란하게 된다. 종종 하지전체로 edema 가 보인다. 무릎관절로 삼출의 retention을 인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knee joint 및 cystoma의 조영술을 행하면 인자의 교통이 명확하게 된다.
진단에서는 이 부의 ganglion과 감별이 가장 중요하다. ganglion은 연령이 어린 10대의 학동기에 호발된다. tumor는 겨우 비둘기알 크기로 평활하며 한계는 명료하고 파동이나 압축성이 없으므로 구별된다.
그 밖에 동정맥류, 냉농양, 지방종으로 감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치료는 관절조영과 cystoma 조영의 결과를 참고로 해서 전방과의 교통이 있으면 drainage 후에 adrenal cortical steroid hormone의 주입만으로 치유될 수 있는 일이 많다. 효력이 없는 경우 cystoma의 extirpation을 행한다. 그러나 종종 arthritis가 있어서 articular capsule과 synovial burrsa의 교통 때문에 염증이 파급되어 있으므로 전방활막절제술을 병용하면 좋다.
3)Baker 낭종(Baker's cystoma)
슬와부에 보이는 낭종으로 비복근, 반막양근, 활액낭이 확장되어 생긴다. 일상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고령자의 변형성 슬관절중에 합병되는 것이지만, rheumatoid arthrosis나 슬내장등에서도 보이는 일이 있다. 확실한 동통은 없고 압박감이나 권태감이 있으며 낭종이 커지면 굴곡제한을 일으킨다. 치료는 천자배액을 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영구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므로 그다지 위험이 없으면 방치해도 좋다. 장해가 크면 절제한다.
<<약물>>
-marcaine
·약효 분류: 국소마취제(Local Anesthetics)
·효능 효과: 수술시 척수마취(예;2~3시간 소요되는 요로기계수술과 하지수술, 45~60분 소 요되는 복부수술)
·용법용량: 이 약3~4ml(염산부피바카인으로서 15~20mg)를 지주막하에 주사
·금기: 본제 또는 아마이드계 국소마취제에 대한 과민증의 기왕력자,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증상태, 주사부위 또는 그 주위의 염증, 쇼크환자, 응고기전이 손상된 환 자나 항응고제 투여중인 환자
·부작용: 두통, 알러지반응, 혈압강하, 안면창백, 호흡억제, 진전, 경련, 오심, 구토, 수 면, 담마진, 부종, 불안, 흠분, 서맥, 지속적인 마비, 근육약화 등
·Therapeutic classification: Local Anesthetics
·Mechanism of Action: Na 이온의 신경막 투과성을 감소시켜 신경자극의 발생 및 전도를 모두 억제함으로써, 그 결과 탈분극이 억제되어 전도가 차단된다.
·Clinical Uses: 말초신경 차단, 침윤, 교감신경 차단, 미측 및 경막외 차단, 안구 후방 의 차단을 위한 주사용 국소마취제
·Pharmacokinetics:마취효과 발현시간(투여경로에 의존적)-일반적으로 4~10분 이내
작용지속시간:1.5~8.5시간
대사:간대사
반감기:나이에 의존적 (신생아: 8.1시간, 성인: 1.5~5.5시간)
소실:소량(약 6%)이 신배설
·Usual Dosage:용량은 수술의 종류, 마취의 깊이, 조직의 혈관분포성, 마취지속시간, 환 자의 상태등에 따라 달라진다.
Metabisulfites가 일부 제제(epinephrine함유 주사제)에 함유되어 있다.
미측 차단. 경막외 차단시 보존제를 함유한 제제는 사용하면 안된다.
국소 침습적 마취:0.25%용액
미측 차단을 제외한 요부 경막외 차단:0.25,0.5,0.75%용액
지주막하 차단:0.75%용액
미측 차단:0.25,0.5%용액
말초신경 차단:0.25,0.5%용액
안구후방 차단:0.75%용액
교감신경 차단:0.25%용액(epinephrine 미함유)
치과적 차단:0.5%용액(epinephrine 함유제제)
·Adverse Reactions:가끔 일어나는 부작용;용량의존적
귀(이명), 근신경 및 골격계(쇠약), 눈(시야몽롱), 심혈관계( 심장마비,저혈압, 서맥, 심계항진), 위장관계(오심, 구토), 중추신경계(발작, 초조, 불안, 어지러움.), 호흡기 계(무호흡)
·Overdosage/Toxicology
치료:치료는 주로 대증요법 및 지지요법이다.
약물이 다른 부위로 침윤되거나 주사된 경우 공기 지혈대를 팽창시켜 마취를 종결 시킨다.
발작:일반적으로 diazepam이 유효하다.
저혈압:수액을 정맥주사하고 Trendelenburg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서맥(심박동수 60회/분 미만):atropine 투여로 치료될 수 있다.
대사성 산증:sodium bicarbonate를 정맥주사 및 환기 보조가 유효하다.
methemoglobinemia:mithyline blue 1-2mg/kg을 멸균증류수에 1%용액으로 희석하여 4-6분에 걸쳐 IV push 한후 총 7mg/kg까지 반복하여 투여한다.
·Contraindications
본약물 및 p-aminobenzoic acid, parabens에 과민성
Amide형 국소마취제에 과민성
쇼크
중증 근무력증
국소적 정주마취용 또는 산과 마취용으로는 사용하면 안된다.
·Precautions
반복 투여시 투여회수에 비례하여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부 제품은 sodium metabisulfite를 함유하고 있어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12세 이하의 소아에는 사용을 피해야 하며, 척수마취용액은 18세 이하에서의 사용을 피 한다.
미측 차단. 경막외 차단시 보존제를 함유한 제제는 사용하면 안된다.
0.75%용액은 산과적 마취에 추천되지 않는다.
중증의 간질환(축적의 위험이 있다.), 임신, 노인, 허약자, 급성질환자의 경우에는 주 의하여 사용한다.
신전위에서 popliteal region 으로 계란 크기에 소아의 주먹크기만한 파동성이 있는 부드러운 종양을 접촉하지만 한계는 그다지 명료치 않다. 굴곡위에서 종양은 불명으로 있다. 환자는 이 부위에 긴장감과 권태감을 호소함과 동시에 굴곡제한이 있어서 정좌가 곤란하게 된다. 종종 하지전체로 edema 가 보인다. 무릎관절로 삼출의 retention을 인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knee joint 및 cystoma의 조영술을 행하면 인자의 교통이 명확하게 된다.
진단에서는 이 부의 ganglion과 감별이 가장 중요하다. ganglion은 연령이 어린 10대의 학동기에 호발된다. tumor는 겨우 비둘기알 크기로 평활하며 한계는 명료하고 파동이나 압축성이 없으므로 구별된다.
그 밖에 동정맥류, 냉농양, 지방종으로 감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치료는 관절조영과 cystoma 조영의 결과를 참고로 해서 전방과의 교통이 있으면 drainage 후에 adrenal cortical steroid hormone의 주입만으로 치유될 수 있는 일이 많다. 효력이 없는 경우 cystoma의 extirpation을 행한다. 그러나 종종 arthritis가 있어서 articular capsule과 synovial burrsa의 교통 때문에 염증이 파급되어 있으므로 전방활막절제술을 병용하면 좋다.
3)Baker 낭종(Baker's cystoma)
슬와부에 보이는 낭종으로 비복근, 반막양근, 활액낭이 확장되어 생긴다. 일상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고령자의 변형성 슬관절중에 합병되는 것이지만, rheumatoid arthrosis나 슬내장등에서도 보이는 일이 있다. 확실한 동통은 없고 압박감이나 권태감이 있으며 낭종이 커지면 굴곡제한을 일으킨다. 치료는 천자배액을 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영구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므로 그다지 위험이 없으면 방치해도 좋다. 장해가 크면 절제한다.
<<약물>>
-marcaine
·약효 분류: 국소마취제(Local Anesthetics)
·효능 효과: 수술시 척수마취(예;2~3시간 소요되는 요로기계수술과 하지수술, 45~60분 소 요되는 복부수술)
·용법용량: 이 약3~4ml(염산부피바카인으로서 15~20mg)를 지주막하에 주사
·금기: 본제 또는 아마이드계 국소마취제에 대한 과민증의 기왕력자,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증상태, 주사부위 또는 그 주위의 염증, 쇼크환자, 응고기전이 손상된 환 자나 항응고제 투여중인 환자
·부작용: 두통, 알러지반응, 혈압강하, 안면창백, 호흡억제, 진전, 경련, 오심, 구토, 수 면, 담마진, 부종, 불안, 흠분, 서맥, 지속적인 마비, 근육약화 등
·Therapeutic classification: Local Anesthetics
·Mechanism of Action: Na 이온의 신경막 투과성을 감소시켜 신경자극의 발생 및 전도를 모두 억제함으로써, 그 결과 탈분극이 억제되어 전도가 차단된다.
·Clinical Uses: 말초신경 차단, 침윤, 교감신경 차단, 미측 및 경막외 차단, 안구 후방 의 차단을 위한 주사용 국소마취제
·Pharmacokinetics:마취효과 발현시간(투여경로에 의존적)-일반적으로 4~10분 이내
작용지속시간:1.5~8.5시간
대사:간대사
반감기:나이에 의존적 (신생아: 8.1시간, 성인: 1.5~5.5시간)
소실:소량(약 6%)이 신배설
·Usual Dosage:용량은 수술의 종류, 마취의 깊이, 조직의 혈관분포성, 마취지속시간, 환 자의 상태등에 따라 달라진다.
Metabisulfites가 일부 제제(epinephrine함유 주사제)에 함유되어 있다.
미측 차단. 경막외 차단시 보존제를 함유한 제제는 사용하면 안된다.
국소 침습적 마취:0.25%용액
미측 차단을 제외한 요부 경막외 차단:0.25,0.5,0.75%용액
지주막하 차단:0.75%용액
미측 차단:0.25,0.5%용액
말초신경 차단:0.25,0.5%용액
안구후방 차단:0.75%용액
교감신경 차단:0.25%용액(epinephrine 미함유)
치과적 차단:0.5%용액(epinephrine 함유제제)
·Adverse Reactions:가끔 일어나는 부작용;용량의존적
귀(이명), 근신경 및 골격계(쇠약), 눈(시야몽롱), 심혈관계( 심장마비,저혈압, 서맥, 심계항진), 위장관계(오심, 구토), 중추신경계(발작, 초조, 불안, 어지러움.), 호흡기 계(무호흡)
·Overdosage/Toxicology
치료:치료는 주로 대증요법 및 지지요법이다.
약물이 다른 부위로 침윤되거나 주사된 경우 공기 지혈대를 팽창시켜 마취를 종결 시킨다.
발작:일반적으로 diazepam이 유효하다.
저혈압:수액을 정맥주사하고 Trendelenburg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서맥(심박동수 60회/분 미만):atropine 투여로 치료될 수 있다.
대사성 산증:sodium bicarbonate를 정맥주사 및 환기 보조가 유효하다.
methemoglobinemia:mithyline blue 1-2mg/kg을 멸균증류수에 1%용액으로 희석하여 4-6분에 걸쳐 IV push 한후 총 7mg/kg까지 반복하여 투여한다.
·Contraindications
본약물 및 p-aminobenzoic acid, parabens에 과민성
Amide형 국소마취제에 과민성
쇼크
중증 근무력증
국소적 정주마취용 또는 산과 마취용으로는 사용하면 안된다.
·Precautions
반복 투여시 투여회수에 비례하여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부 제품은 sodium metabisulfite를 함유하고 있어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12세 이하의 소아에는 사용을 피해야 하며, 척수마취용액은 18세 이하에서의 사용을 피 한다.
미측 차단. 경막외 차단시 보존제를 함유한 제제는 사용하면 안된다.
0.75%용액은 산과적 마취에 추천되지 않는다.
중증의 간질환(축적의 위험이 있다.), 임신, 노인, 허약자, 급성질환자의 경우에는 주 의하여 사용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경계(개두술수술간호,척수수술간호)수술간호
양측성 난소낭종 - bilateral ovarian cyst
[임신중절][임신중절수술][낙태][낙태수술][분만]임신중절(낙태), 임신중절(낙태)이 필요한 ...
[제왕절개][제왕절개수술][분만]분만의 징후와 준비, 제왕절개(제왕절개수술)의 개념과 유형,...
[유방암][유방암수술][유방암수술환자][유방암환자간호]유방암 발생에 대한 학설, 유방암의 ...
수술 환자 사례 연구 ( CASE STUDY ) -위암수술 &#9642; 수술명 : Subtotal gastrectomy ...
수술전후 환자간호, 수술실 간호사 역할
낭소낭종 (Ovarian cyst)
[치의학] 구순구개열수술 CL 수술 & CP 수술 & 치조열 수술
[외과종양학개론] 악성종양(惡性腫瘍)의 외과적 치료 {악성 종양의 발생과 전이, 조직검사, ...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 스터디
수술실케이스) Laparoscopic oophorectomy 난소적출술 케이스, 난소적출술 실습, 수술실 실습
신경외과 병동 실습일지 (NS, GCS, 무의식, 두개 내 수술 종류, 수술전 수술후 간호, ICP 상...
대퇴골 경부 골절 케이스 fracture of neck of femur, part unspecified, closed 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