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수평면에서의 진동
b. 경사면에서의 진동
실험결과
실험에 대한 고찰
1. 오차발생의 원인에 대한 분석
2.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
질문 및 토의
결론 및 검토
b. 경사면에서의 진동
실험결과
실험에 대한 고찰
1. 오차발생의 원인에 대한 분석
2.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
질문 및 토의
결론 및 검토
본문내용
그 연결 상태에 따라 탄성계수가 변한다. 직렬 연결일때는 탄성계수 K=K1+K2
로 나타내어지고, 병렬 연결 일때는 1/K=1/K1+1/K2 로 나타내어진다. (K1과 K2는 각각의 용수철 상수를 나타냄) 그러므로 앞서 계산했던 용수철 상수 K를 이용, 두 용수철이 동일하다면 직렬시 K의 두배의 값을 구하고 병렬시 K/2값을 구하면 이를 쉽게 얻을수 있을 것이다.
직렬연결시 용수철 상수의 값 = 2.171375 (N/m)
병렬연결시 용수철 상수의 값 = 8.687500 (N/m)
(2) 주어진 조건 (수평면 혹은 경사면, 수레의 초기 진폭, 수레의 질량) 에 따른 운동상태를 비교하시오
수레의 초기 진폭은 운동상태를 대표하는 측정값이었던 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레의 질량과 경사각의 존재는 실험상에서도 알수 있듯이 운동상태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수레의 질량은 주기의 제곱에 비례했음을 앞서 확인할 수 있었고, 경사각이 커질수록 용수철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가하고 그에따라 주기상에 약간의 변화가 일어났을거라 생각한다.
결론 및 검토
단조화 운동에 대한 나름대로의 개념정리와 더불어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에 운동에 대해 기술하는 방법을 깨달은 실험이었다. 운동상태를 표시해주는 척도로 사용된 용수철의 주기와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잘알아 두어야 할 것 같다. 조금씩 조금씩 물리에 대한 지식이 쌓이는 것 같아 약간의 뿌듯함을 느낀다. 하지만 개념을 일반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인 질문 및 검토에서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좀더 많은 공부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로 나타내어지고, 병렬 연결 일때는 1/K=1/K1+1/K2 로 나타내어진다. (K1과 K2는 각각의 용수철 상수를 나타냄) 그러므로 앞서 계산했던 용수철 상수 K를 이용, 두 용수철이 동일하다면 직렬시 K의 두배의 값을 구하고 병렬시 K/2값을 구하면 이를 쉽게 얻을수 있을 것이다.
직렬연결시 용수철 상수의 값 = 2.171375 (N/m)
병렬연결시 용수철 상수의 값 = 8.687500 (N/m)
(2) 주어진 조건 (수평면 혹은 경사면, 수레의 초기 진폭, 수레의 질량) 에 따른 운동상태를 비교하시오
수레의 초기 진폭은 운동상태를 대표하는 측정값이었던 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레의 질량과 경사각의 존재는 실험상에서도 알수 있듯이 운동상태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수레의 질량은 주기의 제곱에 비례했음을 앞서 확인할 수 있었고, 경사각이 커질수록 용수철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가하고 그에따라 주기상에 약간의 변화가 일어났을거라 생각한다.
결론 및 검토
단조화 운동에 대한 나름대로의 개념정리와 더불어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에 운동에 대해 기술하는 방법을 깨달은 실험이었다. 운동상태를 표시해주는 척도로 사용된 용수철의 주기와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잘알아 두어야 할 것 같다. 조금씩 조금씩 물리에 대한 지식이 쌓이는 것 같아 약간의 뿌듯함을 느낀다. 하지만 개념을 일반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인 질문 및 검토에서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좀더 많은 공부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