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는 권력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모는 권력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현대사회에서의 외모 지상주의
- 루키즘(Lookism)이란?
- 현대에 와서 루키즘의 문제가 심각해진 원인
① 매스미디어의 영향
② 자본주의 체제의 영향

2. 사례

3. 외모지상주의의 미래
① 경쟁적인 외모 가꾸기 지속
② 다양한 개성의 외모가 골고루 존중받음
③ 외모는 더 이상 경쟁력이 되지 않을 것

결론

본문내용

있는 시대가 오면 외모에 대한 평가의 비중은 자연히 줄어들어 결국엔 경쟁력을 잃어버리고 외적인 모습 이외의 평가기준들로 서로를 평가하게 될 것이다.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외모 지상주의의 개념과 원인, 사례, 미래모습 등을 알아보았다. 외모는 분명 타고나는, 또는 만들어가는 자신의 가치이다. 많은 부분에서 실제로 우리는 그것을 느끼고 있고, 이제는 외모 가꾸기를 무시하는 사람들은 자기관리에 게으른 사람으로 보여진다. 외모는 어느 정도의 권력이라는 현실에 동의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같은 능력을 가진 사람을 평가하는 마지막 기준이, 비록 그 상황이 외적인 모습에 관련되어있지 않은 것이라 하더라도 외적인 모습이 되고 마는 결과는 그저 받아들일 수밖에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상황이 아니라 극단적인 외모에 대한 권력화로 치닫는 경우이다. 성형 수술을 하면 인생이 바뀐다는 생각으로 외적인 치장에만 몰두하고 내적인 수양을 쌓지 않는 다면 이는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다. 외적 아름다움을 가꾸는 것과 내적인 아름다움을 가꾸는 것은 분명 둘 다 인간이 추구해야 할 이상향이기는 하나 외적인 아름다움에는 어느 정도 시간적 한계가 존재하고 내적인 아름다움은 영원히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후자에 조금은 더 비중을 실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내적인 아름다움을 가꾸는 사람에게서는 그의 외적인 모습이 조금 부족하다할지라도 내적인 아름다움이 그 외적모습까지도 보는 이로 하여금 매력적이다 라고 느끼게 만들 것이다. 인간이 본능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동물이란 점을 인정하기만 하면 인간의 아름다워지기 위한 노력을 그저 체면을 차리기 위한 과시수단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내면적 수양과 더불어 추구하는 외모 가꾸기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자기관리의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낸시 애트코프 저. 이기문 역. 미-가장 예쁜 유전자만 살아남는다 살림출판사. 2000.
김선남. 「여자는 외모로 승부하는가」. 일진사. 1998
「 사회비평 」29호. 2001. “쟁점 왜 안티미스코리아인가” - 김신명숙
한서설아. 「다이어트의 성정치」, 책세상. 2000
김삼. 「외모는 경제다」.서울미디어.1998
정연아.「나는 쿨한 여자가 좋다」, 종문화사. 2002
그외
네이버 백과사전 , ‘루키즘(Lookism)'
KBS 특강 ‘외모지상주의의 허와 실’
EBS 미래토크 ‘외모는 권력인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3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